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논문
뉴스
"
박사 학위 논문
"(으)로 총 497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최연소로 ‘노벨상 펀드’ 받는 김성연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7.03.20
김 교수는 미국 스탠퍼드대 신경과학과에서
박사학위
를 받았고, 미국신경과학회가 수여하는 ‘최우수
학위논문
상’을 받았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박사
후연구원을 거쳐 2015년 9월 서울대 교수로 부임했다. 김 교수는 뇌 과학 분야 석학들의 지도를 받으며 실력을 키웠다. 빛으로 뇌 반응을 ... ...
입양아의 기억 속엔 한국어가 남아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8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 연구로 2014년
박사학위
를 받았고, 이후 한양대로 자리를 옮겼다. ... 평가하는 실험을 하는 등 연구를 보강해
논문
을 펴냈다. 이 연구는 세계적 학술지인 ‘영국왕립학회지’ 올해 1월 18일자에 실렸다. 입양인들을 만나는 과정은 쉽지 않았다. 네덜란드 한국인 ... ...
故 신중훈 KAIST 교수에게 바치는 마지막
논문
동아사이언스
l
2017.02.16
말했다. 신 교수는 공동 연구를 마치고
논문
을 작성하던 지난해 9월 불의의 교통사고로 ... 물리학과를 졸업한 뒤 캘리포니아공대에서 석·
박사
통합
학위
를 받았다. 27세였던 1996년 당시로서는 최연소 KAIST 교수로 임용됐다. 광대역 통신의 핵심 기술을 개발해 ‘제8회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젊은 ... ...
[ESC의 목소리 (10)] 내가 꿈꾸는 과학관
2017.02.13
가장 중요한 연구기관이기까지 하다. 심지어
박사학위
를 직접 수여하기도 한다. 과학관의 기본 기능은 ... 자기가 얻은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도 실패하고
논문
을 쓰고 게재 허락을 받는 데도 실패한다. 매일 실패하다가 어쩌다 한 번 성공한다. 그게
논문
으로 남는다. 누가 많이 읽어주는 것도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 샤프론 단백질 분야를 개척한 수전 린드퀴스트
2017.01.02
1976년 하버드대에서 분자생물학 연구로
박사학위
를 받았다. 그 뒤 1978년부터 2001년까지 시카고대에 ... Conrad Waddington)이 1942년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
에서 기술한 ‘수로화(canalization)’라는 개념에 주목했다. 와딩턴은 개체발생이 강력한 과정이기 때문에 사소한 유전형의 변이는 묻혀 형태로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7) 과학자들의 키다리아저씨 조셉 버만
2017.01.01
미쳤다. 1952년 콜롬비아대에서 이론물리학으로
박사학위
를 받은 버만은 통신기업 GTE의 연구소에서 ... 예측 등 이론고체물리학 분야에서 탁월한
논문
들을 발표했다. 중견 과학자로 자리를 잡은 버만은 핍박받는 과학자들을 돕는 데로 관심을 돌렸다. 1970년대 소련과학원의 초청으로 소련을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0) 현장에 개입해 핵심종 개념을 만든 로버트 페인
2016.12.24
‘살아있는’ 화석인 개맛을 연구해 1961년
박사학위
를 받았다. 1962년 시애틀에 있는 워싱턴대 ... 스승인 스미스와 동료 연구자들은 1960년 발표한
논문
에서 식물을 먹으로 하는 초식동물의 수는 결국 포식자에 의해 조절되므로 녹색세계가 유지되려면 포식자가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1963년 페인은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8) 힉스 메커니즘을 제안한 토머스 키블
2016.12.21
두었다. 미국 하버드대에서 입자물리학 연구로
박사학위
를 받고 1963년
박사
후연구원으로 ICL에 온 제럴드 ... 질량을 부여하는 힉스 메커니즘을 제안하는
논문
으로 결실을 맺었다. 이들의
논문
은(앞서 나온 두
논문
을 포함해서) 당시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다. 1967년 키블은 학술지 ‘물리학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7) 메타개체군 연구를 심화시킨 ‘일카 한스키’
2016.12.20
분석한
논문
들을 모아 또 분석하는 메타분석
논문
도 부쩍 늘었다. 생태학에도 메타개체군 ... 가 옥스퍼드대에서 쇠똥구리의 생태 연구로
박사학위
를 받았다. 헬싱키대에 자리를 잡은 한스키는 수많은 호수와 섬이 있는 핀란드에 딱 적합한 메타개체군 연구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참고로 ... ...
[ESC의 목소리(7)]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과학기술정책 제안
2016.12.17
띄게 감소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최고
학위
인
박사학위
를 취득하는 인력들조차 안정된 연구 환경에 ... 급감하였으나, R&D 예산의 확장에 따른 양적 지표(
논문
수 등)의 증가로 그나마 6~7위권을 유지했다. 컨트롤타워 부재 상태에서 R&D 예산 증가세도 정체될 경우, 향후 과학경쟁력 하락이 우려된다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