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험실
사무실
서재
lab
연구소
사무소
영업소
뉴스
"
연구실
"(으)로 총 1,693건 검색되었습니다.
[르포] 원자 수놓아 맥주잔 그린다…獨 막스플랑크 양자광학연구소 가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23.08.21
연구기관이 모여 시너지를 내고 있다. 막스플랑크 양자광학연구소(MPQ) 양자인터넷
연구실
에서 연구원이 양자통신 실험을 하는 모습. MPQ 유튜브 캡처. 뮌헨(독일)=한국과학기자협회 ... ...
태양광 건물·차량 심미성 높인다…다양한 색 내는 태양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8.21
개발했다. 한국재료연구원(KIMS)은 21일 권정대 나노표면재료연구본부 에너지전자재료
연구실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이 같은 태양전지를 구현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투명전극인 알루미늄을 도핑한 산화아연 재료에 수소를 주기적으로 혼합해 굴절률 차이를 만들어 단일재료로 반사색을 ... ...
'우주 원자력' 경쟁 본격 시작됐다...한국도 합류
동아사이언스
l
2023.08.14
진입하기 위해 속도를 줄일 때 다시 켜서 속도를 줄이는 방식이다. 김찬수 원자력연
연구실
장은 "우주용 원자력 발전은 단기간 출력을 급격히 높였다 줄이는 방식을 적용해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운전을 목표로 하는 지구상에서의 원자력 발전과는 다른 방식의 접근이 ... ...
LK-99 검증위 “2주 내 재현 시료 나와…결과 신속 발표할 것”
2023.08.11
PbSO4)가 다음 주 초에 확보될 예정이다. 이후 제작 완료까지는 검증위에 참여한 각
연구실
의 사정에 따라 대략 2주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한다. 검증 결과는 나오는 대로 신속하게 발표할 예정이다. Q. LK-99 초전도성을 검증하기 위한 대표적인 측정항목은 무엇인가. 특정 온도에서 전기저항이 ... ...
레이저·수압으로 차량용 반도체 쉽게 정밀 가공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8.08
비용 절감 등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기계연구원은 안상훈 광응용장비
연구실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가공이 어려운 고강도 물질을 자유롭게 가공할 수 있는 레이저·워터젯(높은 압력으로 물을 분출하는 장비) 융합가공기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차량용 반도체는 전자장비, ... ...
한국초전도저온학회 "한국 개발 상온 초전도체 검증위 구성"
동아사이언스
l
2023.08.02
회원의 소속 연구기관에서 교차 측정할 예정이다. 현재 고려대, 성균관대, 서울대 등의
연구실
에서 LK-99 재현을 위한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최경달 한국초전도저온학회 회장은 "상온초전도체임이 검증된다면 이는 과학기술 분야에 매우 큰 영향을 주는 획기적인 연구 결과다"라고 말했다. 이어 ... ...
[사이언스게시판] 국립중앙과학관, '나의 과학관 답사기'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7.20
철도시설물 자동화 점검기술 국제세미나‘에서 윤혁진 한국철도기술연구원 ICT대중교통
연구실
장이 철도교량 무인점검 기술을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 철도연 제공. ■ 국립중앙과학관이 25일부터 다음 달 31일까지 ‘나의 과학관 답사기 만들기’ 행사를 한다. 참가자들은 전시관별 활동지를 ... ...
해양산성화 억제 위한 '알칼리' 성분에도 끄떡없는 식물플랑크톤
동아사이언스
l
2023.07.20
5000마이크로몰이었다. 해양의 알칼리도는 킬로 당 약 2300~2400마이크로몰이다. 며칠 후
연구실
에서 배양한 식물플랑크톤인 규조류와 인편모조류를 물에 넣었다. 플랑크톤의 생리학적, 생화학적 변화와 바닷물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규조류와 인편모조류는 모두 알칼리성 처리에 중립적인 반응을 ... ...
"코로나19 中 유출 은폐 vs 자연 발생"...기원 놓고 '갑론을박'
동아사이언스
l
2023.07.12
미 공화당 의원들이 "미국국립보건원 고위관료의 지시로 코로나19가 중국 우한의 한
연구실
에서 유출됐다는 내용이 보고서에서 삭제됐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날 청문회에는 크리스티안 앤더슨 스크립스 연구소 소속 진화생물학 박사와 로버트 개리 미국 툴레인 의대 박사가 출석했다. 이들은 ... ...
3D 바이오프린팅 기술로 암세포 없앤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7.11
‘바이오소재 리서치’에 발표했다고 11일 밝혔다. 박수아 기계연 자연모사응용
연구실
책임연구원, 김태돈 생명연 책임연구원 공동 연구팀은 암 치료에 쓰이는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자연살해(NK)세포를 머금은 하이드로젤을 프린팅했다. NK세포는 인체에 해로운 세포를 골라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