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면
측근
옆면
사이드
경사면
근처
언저리
뉴스
"
옆
"(으)로 총 1,29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리의 상대성 이론에 관하여
2020.05.26
기자들의 요청에 아인슈타인은 “난로 위에 있으면 1분이 한 시간처럼 느껴지고 미인
옆
에 있으면 한 시간이 1분처럼 느껴진다”고 재치있게 답했다. 즉 심리의 상대성 이론으로 우리도 늘 경험하는 현상이다. 그렇다면 ‘깨어남’에 등장하는 기면성뇌염으로 인한 파킨슨증 환자들에서 보이는 ... ...
도심 장인들의 협력으로 태어난 '청계시소' …'메이드 인 청계천·을지로' 신화 계속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5.16
등 새로운 도시를 만들겠다는 계획이 담겨 있었다. 생태계 파괴는 세운상가
옆
입정동 일대 세운 3-1, 3-4, 3-5 구역이 2018년 10월 전면 철거에 들어가며 본격화됐다. 한순간에 내몰리게 된 청계천과 을지로 일대 상인과 장인, 이를 이용하던 메이커와 예술가들은 철거를 중단하고 일대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관계의 어려움
2020.05.16
line effect)라고 하는데, 바로 다음이 내 순서이기 때문에 무슨 얘길 할지 고민하다가 바로
옆
사람 이야기를 다 놓쳐버리는 것이다. 관계에서 자신을 신경쓰는 정도가 심할수록 이런 현상들이 더 다양하고 심하게 나타나고 내가 그랬다. 함께 성장하는 관계 VS. 나의 결핍을 채우기 위한 관계 ... ...
스마트폰에 중독된 여자친구
팝뉴스
l
2020.05.15
제공 여자 친구와 운동을 갔다고 한다. 유연성을 기르는 동작을 연습하다가
옆
을 보니 여친은 믿기 힘든 ‘짓’을 하고 있었다. 몸을 반으로 접은 상태에서 스마트폰을 보고 있었던 것이다. 시청만 한 것이 아니라 때로는 문자도 입력해 보냈다고 한다. 스마트폰에 심하게 중독되었다고 ... ...
언밸런스 다리의 주인은 누구일까?
팝뉴스
l
2020.05.14
것 같다. 그런데 상의는 포멀한 정장이고 하의는 치마라니 너무 이상하다. 제 3의 여성이
옆
에 서 있는 것일까? 그것도 아닌 것 같다. 그렇다면 앞에 있는 여성의 다리가 거울에 반사된 것일까? 그럴 확률이 아주 높기는 하지만 다리가 너무 가늘고 또 남자 직원의 자세와 절묘하게 어울려서 ... ...
대한민국 엔지니어에 김동훈 부장·조현규 전무
동아사이언스
l
2020.05.11
세운 뒤 아치 형의 트러스 구조 빔을 가로지른 ‘뼈대’에 투명 지붕을 씌웠다. 양
옆
에는 가로 판 형태의 흡음재를 설치하고, 천장에는 직각 흡음재를 설치해 방음을 한다. 이 공법은 기존 방음터널에 비해 자재비를 줄여 공사비를 절감했으며 구조물 경량화를 달성해 안전성도 높였다. 공사 기간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코로나19 시대를 살아가는 학생들에게
2020.04.25
화상채팅을 켜두고 각자 할 일을 하다가 간간히 대화를 나누는 것도 좋습니다. 실제로
옆
에 같이 있는 것 같은 느낌을 주거든요. 무엇이든 혼자가 아니라는 느낌을 주는 활동을 찾아봅시다. Q. 경제 상황도 나빠지고 일자리도 줄어들고 있는 등의 상황을 보고있노라면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 ...
태양계 첫 성간 천체 '오우무아무아'는 별에 찢긴 천체 파편
연합뉴스
l
2020.04.14
80분의 1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 천체 파편은 길쭉한 모양에다 건조한 표면을 갖고 별
옆
을 지날 때 가속하는 등 오우무아무아에서 나타난 '이상한' 현상들을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발표됐다. 연구팀은 별의 조석력으로 찢긴 천체 파편의 장·단축 비율이 10대1 이상이 될 수 있는 것을 확인했다. ... ...
"코로나19 바이러스, 공기 중 최대 4m까지 전파 가능"...현 권장거리 '2m'의 두 배
동아사이언스
l
2020.04.13
대표적으로 공기 중 전파되는 병원체다. 코로나19가 공기 감염할 경우 감염자와 바로
옆
에 있었던 사람 외에도 식당이나 영화관, 기차 칸, 학교 교실 등 같은 공간 안에 있었던 모든 사람들에게 감염됐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현재 의학계에서는 공기 감염의 가능성에 대해 의견이 분분한 상태다. ... ...
호암상 과학상에 '중성미자' 연구자 김수봉 교수·공학상에 디지털영상 전문가 임재수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4.08
변환상수는 마지막까지 풀리지 않던 난제였다. 김 교수는 전남 영광의 한빛원자력발전소
옆
에 원전에서 생성되는 중성미자를 검출하는 실험시설인 ‘원전중성미자실험(RENO)’을 구축하고 2012년 세 번째 변환상수를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중성미자는 각각 3가지의 형태로 바뀐다. 변환 비율을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