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금주
이주
뉴스
"
이번주
"(으)로 총 442건 검색되었습니다.
애플이 AIDS 퇴치 운동에 참여하는 법
2016.12.01
에이즈 퇴치에 쓰이기 때문에 숫자 자체가 크게 달라지지는 않습니다. 크리시는
이번주
에 발표된 정보를 소개해주었습니다. 현재 1820만 명이 에이즈 치료 약을 먹고 있고, 에이즈를 극복하고 있습니다. 2000년에는 약을 먹을 수 있는 사람이 70만 명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10년 전에는 HIV를 갖고 ... ...
선생님 몰래 잠자는 기술 ‘웃음’
2016.11.06
제공 위는 ‘강의 시간에 잠자기 영상’의 일부입니다. 영상은
이번주
해외 네티즌들에게 가장 큰 웃음을 준 영상 중 하나로 평가됩니다. 미국의 한 고등학교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모두 열심히 앞을 바라보며 공부합니다. 예외가 없습니다. 뒷줄 가운데의 한 남학생은 자세도 바르고 눈빛도 살아 ... ...
딸이 학교를 빼먹자, 아빠의 응징
2016.10.29
않았다는 것을 친구들에게 보여주었다. 딸은 울상이다. 위 사진은 한 미국인 아빠가
이번주
인터넷에 공개해 화제가 된 것이다. 왜 딸은 울상이었을까. 왜 괴로워했을까. 아빠의 옷차림 때문이다. 원피스에 슬리퍼를 신은 상태였다. 딸은 얼마나 창피했을까. 아빠의 잔인하면서 유머러스한 응징을 ... ...
지각구조 이해할 새 도구 찾았다… ‘폭풍 지진파’ 첫 탐지
동아사이언스
l
2016.08.28
제공
이번주
‘사이언스’ 표지는 ‘날씨 폭탄(waether bomb)’으로 불리는 거대한 북대서양 폭풍 사진이 장식했다. 하늘에서 내려다 본 폭풍의 모습은 미리 정해진 규칙을 따르기라도 하듯 균형감이 느껴진다. 이런 폭풍이 ‘지진파’를 만든다는 사실이 새롭게 발견됐다. 아주 희미한 진동이어서 ... ...
이번주
스크린 맞대결: ‘제이슨 본’ vs ‘인천상륙작전’ 승자는 누구?
2016.07.28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는 휴가철, 극장으로 피서를 온 관객들은 대부분 좀비들과의 사투를 벌이기 위해 ‘부산행’ 열차를 탔다. 이번 주에도 좀비들의 공격이 거셀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극장가 성수기 시즌을 공략하기 위해 등장한 신작 영화들을 소개한다. 거대 자본이 투입된 대작 두 편 ... ...
규제 없는 시장이 열대바다 물고기 씨 말리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7.24
미국 플로리다키스제도의 산호초지대. - 미국해양대기관리처 제공
이번주
‘네이처’ 표지에는 열대 바다 속 생태계를 그린 화려한 그래픽이 실렸다. 호주 제임스쿡대 사회과학과 조슈아 시너 교수팀을 비롯한 39명의 국제공동연구진은 전 세계 산호초 지대를 조사해 어류시장 크게 형성된 ... ...
왜 유라시아판은 크고, 필리핀판은 작나
2016.07.10
태평양판이나 유라시아판처럼 큰 판도 있는 반면, 필리핀판처럼 작은 판도 있다.
이번주
‘네이처’ 표지에는 판의 크기가 천차만별인 이유를 밝힌 연구성과가 실렸다. 니콜라스 콜티스 프랑스 리옹1대 지구과학과 교수팀은 판의 크기를 결정하는 두 가지 요인이 해구의 위치와 판의 강도라는 ... ...
‘에이즈 1위’ 국가가 벌이는 ‘에이즈와의 전쟁’
동아사이언스
l
2016.07.03
사이언스' 7월 1일자 표지에는 에이즈 치료약이 실렸다. - Science 제공
이번주
‘사이언스’ 표지에는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에이즈) 치료약이 담겼다. 이 약은 10년 넘게 에이즈와 전쟁을 벌이고 있는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의 거의 유일하면서도 강력한 ‘무기’다. 남아공은 전 세계 에이즈 ... ...
소수성-친수성, 두 가지 성질 동시에 갖는 신소재 개발
2016.07.03
성질은 물과 기름처럼 서로 상극이다. 한 물질이 두 가지 성질을 동시에 갖기는 어렵다.
이번주
‘네이처’ 표지에는 물체의 표면에 소수성과 친수성 성질을 모두 갖게 하려는 연구자들의 성과가 실렸다. 스티즌 머텐스 벨기에 루벵대 연구원 팀은 스위스 취리히대 연구진과 ... ...
中 과학기술의 현주소를 짚어 본다
2016.06.26
세계에서 가장 많은 수의 과학자를 보유하고, 가장 빠른 과학적 성장을 이룬 나라 중국.
이번주
‘네이처’ 표지에는 중국 과학기술의 현 주소를 분석한 논문이 장식했다. 중국의 과학기술 연구개발(R&D) 투자는 유럽 국가들의 3분의 2 수준이다. 하지만 임금이 낮은 것을 고려하면 유럽을 뛰어넘을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