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뉴스
"
최초
"(으)로 총 6,407건 검색되었습니다.
열 받으면 수축하는 대신 늘어나는 '스마트 섬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액정은 길쭉한 액정분자가 규칙적으로 배열돼 층을 이룬 구조의 액정 소재다. 세계
최초
로 열에 감응해 길이가 늘어나는 섬유를 연속적인 용융방사 공정으로 생산하는 데도 성공했다. 온도가 상승하면 30% 이상의 변형률로 길이가 늘어나고 온도가 낮아지면 원래의 길이를 가역적으로 회복했다. ... ...
염증에 관여하는 단백질 발견…암 신약 개발 단서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별개로 작용해 핵이 아닌 골지에서 염증 반응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최초
로 확인했다. 대식세포 내에서 톨유사수용체(TLR)라는 단백질의 자극을 받아 TAZ가 골지에 축적되면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 MCP-1 등이 분비돼 만성 염증과 면역세포 유입이 촉진됐다. 반면 TAZ를 결핍시킨 대식세포에서는 ... ...
韓, 5G보다 10배 빠른 6G 무선연결 세계
최초
시연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공동연구기관이 함께 노력한 결과"라고 밝혔다. 백용순 ETRI 입체통신연구소장은 "세계
최초
로 200Gbps급 6G PoC 시스템 시연에 성공해 한국이 6G 기술을 선도하고 있음을 증명했다"며 "글로벌 6G 표준화·산업화를 주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6G는 2025~2028년 3GPP에서 표준규격을 제정한 뒤 203 ... ...
박테리아와 상호작용 활용해 유해 미세조류 독성 억제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또 퍼시피컴이 영양분의 공급 환경에 따라 스스로 대사 전략을 선택할 수 있음을 전 세계
최초
로 규명했다. 영양분이 충분한 환경에서는 고에너지를 소모하며 저독성의 패독을 합성하고 영양분이 제한된 환경에서는 고에너지의 소모를 억제하며 고독성의 패독으로 합성을 전환한다는 사실을 ... ...
[SW가 여는 의료의 미래]③ 수면제 대신 앱만으로 불면증 고통 벗어나
동아사이언스
l
2025.01.23
건강정책과에서 공중보건의사로 일했고 대기업에서 근무했던 이력도 있다. 삼성전자
최초
의사 출신 직원이다. 삼성전자 헬스개발그룹에서 근무하다 사내 벤처 프로젝트를 통해 웰트 창업에 나섰다. 강 대표는 “불면증은 다른 질환보다 상대적으로 가볍고 리스크가 적기 때문에 택했다"고 ... ...
[사이언스영상] 12시간 정지했다 재개한 틱톡
SEIZE
l
2025.01.23
안 된다는 법안이 시행됐다. 이는 미국 정부가 틱톡 사용을 법률적으로 금지한
최초
의 사례다. ● 2024년 미국 전역으로 퍼진 틱톡 금지 2024년 4월 바이든 대통령이 '틱톡 금지법(적대국이 통제하는 SNS 금지법)'에 서명했다. 바이트댄스가 270일 안에 틱톡을 매각하거나 미국 법인을 새로 만들지 ... ...
[과기원NOW] 바이오머티리얼즈 젊은 연구자상에 장진아 포스텍 교수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1.22
■ 포스텍은 장진아 기계공학과·생명과학과·IT융합공학과·융합대학원 교수가 한국인
최초
로 재생의료 및 생체재료 연구 분야의 세계적 권위 학술지인 '바이오머티리얼즈(Biomaterials)'의 '2025 젊은 연구자상'을 수상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수상은 국내 연구진으로는 첫 사례로 장 교수가 국제 ... ...
18회 아산의학상에 칼 다이서로스·안명주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흉부종양학회지’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난해 유럽종양학회(ESMO)에서 한국
최초
로 ‘여성 종양학상’을 수상한 안 교수는 미국암연구학회, 미국임상종양학회, 유럽암학회, 세계폐암연구협회 등에서 적극적인 학술활동을 펼치고 있다. 젊은의학자부문에는 박용근 교수와 최홍윤 ... ...
재사용 가능한 차세대발사체 개발…한화와 갈등 지재권 제도개선안 마련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품목 및 절차에 대한 고시를 3월 제정할 계획도 내놨다. 탐사 분야에서도 세계
최초
L4 지점 태양권 우주관측소 구축사업을 체계적으로 기획해 우주환경예보·태양물리연구의 국제협력 주도 기반을 마련한다. 독자 기술로 2032년 달 착륙을 위한 핵심기술과 착륙선 개발도 올해 본격 추진한다. ... ...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세계 최고 우주망원경 일부 '실명' 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망원경 4개로 구성된 최첨단 광학망원경이다. 천문학자들은 VLT를 통해 태양계 밖 행성을
최초
로 촬용하는 등 천문학 역사에 길이 남을 만한 굵직한 연구를 진행해 왔다. 문제는 파라날로부터 불과 3~10km 떨어진 지역에 AES 코퍼레이션의 남미 지역 전력 생산 업체인 'AED 안데스'가 재생 수소 제조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