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념
자신
소신
견해
의견
신뢰
학설
뉴스
"
확신
"(으)로 총 61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손가락 비율은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
2019.06.11
1에 가까울수록 측정하기 쉬운 하나를 알면 측정하기 어려운 다른 하나의 특성을 더 큰
확신
을 갖고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측정하기 쉬운 손가락 비율이 지표로 쓰인 논문이 1400여 편이라는 건 상관관계가 큰 특성들이 그만큼 많다는 것일 텐데 어떤 필연성을 떠올릴 수 없는 필자로서는 영 믿음이 ... ...
"홍릉 지역, 강소연구개발특구 신청한 7곳보다 준비 수준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19.05.29
것”이라고 밝혔다. 강소연구개발특구는 연구개발로 신기술을 창조하고 그 성과를
확신
시켜 사업을 촉진시키기 위해 조성한 지역으로 대표적인 연구개발특구로는 대전광역시 유성구의 대덕연구단지가 있다. 강소 특구로 지정되면 개발사업 인허가 관련 법령 이행을 일괄 처리할 수 있으며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11) 깔끔하게 코드 정리하기
2019.05.18
지저분한 것을 보면 저 시절 개발을 했던 것이 분명하다. 삐딱하게 앉은 자세마저 이
확신
에 힘을 실어준다. 그뿐만이 아니다. 자판 두드리는 것마저 대단히 귀찮아한다. 한 타라도 적게 치기 위해 갖가지 매크로를 설정하고 각종 플러그인들을 찾아 헤맨다. 이쯤 되면 컴퓨터로 밥 벌어먹는 사람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포기할 줄 아는 용기
2019.05.18
외치고 다른 잘 할 수 있는 무엇을 찾아 떠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런 반면 자신에 대한
확신
이 없는 사람들의 경우 한 번 해보고 안 되면 바로 그만두거나 아니면 계속 해도 안 되는 무엇에 매달리는 모습을 보였다는 것이다. 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날까? 연구자들은 한 가지 원인으로 목표를 추구하는 ... ...
수의사1人당 실험동물수 선진국 10배…"학대는 한국 연구환경의 예견된 문제”
동아사이언스
l
2019.05.15
벌어지기도 했다. 그럼에도 그는 동물실험에 이 정도의 노력과 비용은 들여야 한다고
확신
한다. 그는 “, 동물실험을 하며 사람들이 이득을 많이 보는데, 동물이 받는 고통은 계속되고 있다”며 “과학자로서 이를 알면서도 외면해서는 안 된다. 동물실험을 줄이려는 여러 노력과 별도로 실험 윤리 ... ...
강아지를 닮은 구름
팝뉴스
l
2019.04.26
나온다. 해외 네티즌들 중 일부는 실제 저런 구름이 얼마든지 존재한다며 조작을
확신
하면 곤란하다고 주장한다. 반론도 만만찮다. 구름 전체가 아니라 코와 입은 포토샵으로 만들었다는 것이다. 사진을 보면 볼수록 헷갈려 논란은 끝이 없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조현병, 지척에 치료법이 있다
2019.04.20
견딜 수 없습니다. 처음에는 자신의 망상이나 환청에 저항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점점
확신
은 강해집니다. 심지어 환청과 대화를 하기도 합니다. 복잡한 마음이 들어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합니다. 점점 고립됩니다. 친구를 만나지도 못하고, 직장에 다니지도 못합니다. 게다가 정서는 메말라가고 ... ...
두 개의 태양 뜨고 지는 케플러-47에서 세 번째 행성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있을 수도 있다고 짐작했었다"며 "하지만 당시에는 천체면을 통과할 때의 신호가 약해
확신
하지 못하고 지금까지 추적 관측을 해왔다"고 밝혔다. 결국 이번에 두 행성 사이 궤도에서 별을 공전하고 있는 케플러-47d를 발견했다. 이 행성은 지구보다 7배 크며 케플러-47b와 케플러-47c보다도 각각 3. ... ...
[Science토크] 철학자와 과학자들 인간의 자유의지 실체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7
연구를 시작했다. 신경과학자들은 당시만 해도 뇌에서 행동의 기원을 밝힐 수 있다고
확신
했지만 30년을 훌쩍 넘긴 현재까지도 답을 찾지 못했다. 신경과학자들이 자유의지 연구를 본격화한 계기는 1983년 생리학자인 벤자민 리벳이 행동에 앞서 뇌 신호가 먼저 발생한다는 사실을 발견한 ... ...
무선 전자기기 전성시대...과연 건강은 괜찮을까
2019.03.24
어느 화학물질보다 증거가 탄탄히 쌓여 있다”며 논쟁의 대상이 아니라고 할 정도로
확신
이 강하다. 숱한 휴대용 무선 전자기기를 매일 쓰는 요즘. 하지만 건강 영향을 너무 염려할 필요는 없다. 고재원 기자 ●“무선이어폰 전자파 휴대전화보다 낮아” 전자파는 자연에 없는 특이한 현상이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