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거절
부인
사절
낙방
낙선
부결
퇴사
스페셜
"
거부
"(으)로 총 42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신은 칼슘맛을 느끼십니까
2018.02.13
설탕물의 염화칼슘 농도가 10mM이 넘으면 묽은 설탕물을 찾았다. 그만큼 칼슘맛에 대한
거부
감이 크다는 뜻이다. 연구자들은 미각을 감지하는데 관여하는 유전자가 고장난 다양한 돌연변이 초파리들을 대상으로 묽은 설탕물과 염화칼슘 농도가 25mM인 진한 설탕물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했고 그 ... ...
강력한 폭발 전력 백두산...남북 공동 연구 필요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2.01
2015년 세번째 제안이 있었지만 2016년 1월 북한의 4차 핵실험으로 이때는 우리 정부가
거부
해 결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외교부 등 정부측 인사와 지질학계 전문가들이 백두산 남북 공동연구에 대해 토론하고 있다.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이렇게 정치적 문제로 협력이 지속되기 ... ...
사랑 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
2017.05.13
생길거라는 등 다양한 이유를 대며 나로부터든 남으로부터든 자신을 향한 따듯함 전반을
거부
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자신이 행복하고 기뻐하길 허락하지 않는 모습이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그 원천이 무엇이든 자신에 대한 따듯함을 받아들일 수 있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이 있으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왜 어떤 사람들은 오이를 싫어할까?
2017.04.18
웬만하면 먹고살기 마련이라는 것이다. 그럼에도 오싫모의 경우처럼 어떤 음식을 강하게
거부
한다면 거기에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을 것이고 아마도 그 배경에는 생물적 기반이 있을 것이다. 자신의 감각세계 경험을 일반화할 수 없다는 사실을 인식한다면 다른 사람들의 취향을 존중할 수 있게 되지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아니요. 저는 뽀뽀하기 싫어요!”
2017.04.09
솔직히 이야기하면 까칠한 사람으로 여겨지는 등. 예컨대 누가 악수나 하이파이브를
거부
해도 나를 싫어하나? 또는 '왤케 까칠해'라고 생각하기보다 "저 사람의 바운더리가 그렇구나"하고 넘어가면 되는 일이 아닐까? 나의 바운더리도 존중되길 기대하면서 말이다. GIB 제공 관련해서 높은 친밀함을 ... ...
권력형 성폭력, 어떤 경우에 더 많이 일어날까?
2017.03.12
많이 보였다. 여성을 통제하고 싶은 마음이 더 강했다는 것이다. 이들은 여성들이 자신을
거부
하는 것에 대해 긴장, 걱정, 두려움 등 다른 부정적 감정에 비해 ‘공격’적 정서인 화, 분노, 짜증, 복수심 등의 감정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치 “드디어 권력을 얻었는데 감히 네가 나와 ... ...
[사이언스 지식IN] 면역세포? 줄기세포? 첨단재생의료법은 뭐지?
동아사이언스
l
2017.01.07
무릎 연골이 닳아 없어지거나, 척수가 손상됐을 때 환자의 줄기세포를 이용하면 면역
거부
반응 없이 치료할 수 있다. 현재 줄기세포 치료제 임상연구의 97%가 성체줄기세포를 이용한다. - 과학동아 제공 Q4. 유전자 치료란? 유전자 치료는 세포핵에 들어있는 유전자를 바꿔 세포를 고치는 기술이다.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7) 과학자들의 키다리아저씨 조셉 버만
2017.01.01
중국에도 도움의 손길을 뻗쳤다. 부르주아 사상이라며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도
거부
했을 정도였던 혁명의 광풍이 가신 1983년 미국물리학회를 대표해 중국을 방문한 버만은 중국의 중견 물리학자 60명을 최대 3년까지 미국에 머물며 연구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을 중국과학원과 체결했다.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1) 컴퓨터를 활용한 아동 교육의 선구자 ‘시모어 페퍼트’
2016.12.26
페퍼트는 어릴 때부터 남아공의 극단적인 인종차별정책인 아파르트헤이트에 강한
거부
감을 가졌다. 지역의 흑인노예를 위한 야학을 운영하다 당국과 충돌하기도 하면서 결국 출국금지자 목록에도 올랐다. 비트바테르스란트대에서 1949년 철학으로 학사, 1952년 수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페퍼트는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7) 메타개체군 연구를 심화시킨 ‘일카 한스키’
2016.12.20
‘상당한 지적 기여’를 했다고 판단하지 않는 한 논문에 공동저자로 이름을 올리는 걸
거부
했다. 후배 과학자들이 하루 빨리 경력을 쌓아 독립하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뛰어난 학자이자 존경받는 스승으로 학계에서 널리 인정받고 있던 한스키는 그러나 2014년 암 진단을 받았다. 그 뒤 그는 자신의 ... ...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