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쥐도 표정이 있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2
뒤로 뉘었어요. 또, 코도 툭 튀어나오고 수염도 몸 가까이 착 달라붙었지요.크레이그
교수
는 표정 지도로 실험실의 동물들이 받는 고통을 줄일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답니다 ... ...
고집 센 외톨이 수학자
수학동아
l
201012
난 매우 고집이 센 수학자였어. 늙으면 고집이 세진다고 하지만 난 젊어서부터 내 주장을 쉽게 굽히지 않았지. 그래서인지 내 주변엔 친구나 함께 연구하려는 사람이 없었네. 내가 택한 길이지만 외로웠던 건 사실이야. 이제 와 드는 생각이지만 다른 사람의 이야기도 듣고 많은 연구를 함께할 수 ... ...
'한국의 필즈상'올해 수상자는?
수학동아
l
201012
10월 22일 대한수학회는 ‘상산 젊은 수학자상’ 올해 수상자로 KAIST 권순식
교수
와 타이완과학원 수학연구소 노세은 박사를 선정했습니다. 상산 젊은 수학자상은 35세 이하 ... 한편 2011년부터 2년 동안 임기를 맡는 대한수학회 차기 회장으로 KAIST 수리과학부 서동엽
교수
가 당선됐습니다 ... ...
스크램제트 엔진
과학동아
l
201012
이용한 엔진 개발에 뛰어들 계획이다. 이 밖에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김규홍
교수
팀이 스크램제트 엔진을 연구하고 있다.스크램제트 엔진을 장착한 여객기(상상도) 스크램제트 엔진 여객기는 꼬리날개가 없는 델타익(삼각날개) 형태가 될 확률이 높다. 음속의 6배가 넘는 공기저항을 이겨내기 ... ...
우리 손으로 그린 첫 남극 그림지도
과학동아
l
201012
우리 손으로 그린 첫 남극 그림지도인천을 출발한 비행기가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닿았다. 여기서 비행기를 갈아타고 칠레 산티아고에 내렸다. 다시 비행기를 타고 칠레 ... 각종 공모전의 심사 의원위촉을 30여회 이상 역임했다. 현재 배재대 비주얼아트디자인학과
교수
로 재직 중이다. ... ...
산타의 기적, 첨단과학이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12
것이다. 그 결과 썰매는 에너지도 적게 들이면서 부드러운 비행을 할 수 있다. 실버버그
교수
는 산타가 시공간 구름을 이용해 미래형 썰매를 타고 다니며 하룻밤 사이에 8000만 가구를 돌아다닐 것으로 보고 있다.집과 집 사이를 이어 주는 웜홀그렇다면 몬의 생각은 어떨까. 몬에 따르면 산타는 현대 ... ...
우주의 비밀을 풀어 줄 반물질 실험
과학동아
l
201012
물질만 남아 있는지 밝혀낼 계획이다.덴마크 아르후스대 물리천문학과 안드레센
교수
팀은 우주 탄생 초기에 양성자와 함께 나타났다 사라진 반입자인 반양성자와, 전자의 반입자인 양전자를 자기장 안에서 충돌시키는 방식으로 반물질 수소 원자 38개를 만들고 지속시간을 측정해 ‘네이처’ ... ...
과학동아 특집 ‘코리아노사우루스’ 정식 학명 됐다
과학동아
l
201012
공룡이다. 이 명칭은 EBS가 2008년 방영한 ‘한반도의 공룡’ 프로그램에서도 사용됐다.허
교수
는 “요즘 공룡의 연골 화석에서 DNA를 뽑아내 새와 공룡의 진화 과정을 유전자로 밝혀내는 연구를 시작했다”며 “화석에서 DNA를 뽑아내는 게 굉장히 어렵지만 한국 공룡을 통해 세계적인 연구 성과를 ... ...
익룡은 장대높이뛰기 선수
과학동아
l
201012
바람을 받아 대륙을 가로지를 만큼 긴 거리를 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위튼
교수
는 “몸집이 큰 새는 대부분 날개짓을 하기 전에 두 발로 달린 후 뛰어오른다”며 “몸집이 작은 새만 정지 상태에서 날 수 있다”고 덧붙였다.연구팀은 “익룡은 화석이 거의 남아 있지 않아 거의 한 세기 ... ...
1991년 사이먼 르베이 박사의 동성애자 뇌구조 차이발견
과학동아
l
201012
특정 조직이 남녀에 따라 크기가 다르다는 발견은 상당히 그럴듯했다.사실 코르스키
교수
팀의 실험 역시 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바탕을 두고 있다. 즉 쥐의 시상하부에서도 특정 영역의 크기가 암수차이가 난다(물론 수컷이 더크다)는 연구 결과가 있었다. 더욱 흥미로운 사실은 수컷의 뇌에서 이 ... ...
이전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