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6,064건 검색되었습니다.
천문학자들, '10번째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0404
위해 만든 이론 12개의 기본입자와그 힘을 매개하는 입자를 설정하고 있다 작고한 이휘소
박사
도 표준이론 설립에 큰 공헌을 했다태양계 형성 직후 만들어진 지름 수 km크기의 작은 천체들이 서로 부딪히면서 소행성이 만들어졌다 소행성은 주로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에 많으며 1km 이상인 ... ...
수천종 미생물 게놈 한꺼번에 분석
과학동아
l
200404
성공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미국 버클리 소재 캘리포니아대의 질리언 밴필드
박사
팀은 캘리포니아주의 버려진 철광산에서 오수를 채취해 메타게놈을 분석했다. 여기서 서로 연관되는 유전자를 분리해 5종의 미생물 게놈을 다시 찾아냈다. 이 가운데 4종은 처음 발견되는 것이었다.미생물들은 ... ...
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네안데르탈인
과학동아
l
200404
의해 멸종됐음을 지지하는 연구결과를 발표해 주목을 끌고 있다. 스반테 파보
박사
가 이끄는 연구팀은 4만여년 전 네안데르탈인과 호모사피엔스의 미토콘드리아 DNA를 비교분석한 결과 둘의 염기서열이 뚜렷이 다르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미토콘드리아 DNA는 모계를 통해 전달되는데, 위의 결과는 두 ... ...
독심술 기계 나온다
과학동아
l
200404
웹 검색엔진에 넣어 관련 정보를 찾는데 성공했다.연구팀을 이끌고 있는 척 조젠슨
박사
는 “실제 말하지 않고 혼잣말이나 상상만 해도 생체신호가 발생한다” 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말을 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한 우주비행사가 도움을 청하거나 탐사차량을 부르는 수단으로 사용될 전망이다.영국 ... ...
세계에서 가장 작은 눈사람 제작
과학동아
l
200404
눈사람을 만들어 화제가 되고 있다. 화제의 주인공은 광주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과의
박사
과정 대학원생 구혜영씨.구씨는 몸통 크기 1백nm(나노미터, 1nm=10억분의 1m)에 머리 크기 50nm로 엄청나게 작은 눈사람 모양의 ‘콜로이드 다층구조’를 제작했다. “이것은 세계에서 가장 작은 눈사람일 ... ...
대중에게 다가서는 뇌과학
과학동아
l
200404
20일까지 전국 9개 도시에서 공개강연이 열렸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신희섭
박사
는 “뇌과학은 생물학뿐만 아니라 사회과학과도 연결되는 융합적인 학문입니다. 그래서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을 위해 마련된 이 강연회가 더 의미있는 것입니다”라며 자부심을 나타냈다.뇌기능연구사업단장인 ... ...
6번째 멸종기 다가오나
과학동아
l
200404
에도 대멸종이 일어났다.이날 사이언스에 함께 실린 영국 개방대의 칼리 스티븐스
박사
연구팀의 논문에 따르면 최근의 대규모 개체수 감소는 축산업과 화석연료가 원인이었다. 영국의 초지 68군데를 조사한 결과 화석연료의 연소나 가축의 배설물을 통해 토양에 축적된 과도한 양의 질소가 ... ...
② 영화의 완성도, 과학자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404
했다. 미국 렌셀러공대의 리처드 라헤이
박사
와 오크리지국립연구소의 루시 테일야칸
박사
가 머그잔 크기의 시험관에 초음파를 쏘자 작은 기체방울이 생겼다가 터지면서 엄청난 에너지를 발산했다는 내용이다.연구팀은 이를 핵융합반응이라고 주장했다.하지만 영화 체인 리액션의 설정은 다소 ... ...
01. 맨틀에서 탄생한 한반도
과학동아
l
200404
약 5억년 전까지”라고 말했다.당시 한반도는 적도 20도 아래 남반구에 있었다. 그런데 이
박사
는 “최근에 한반도에서 초대륙 로디니아의 숨겨진 지구 역사의 실마리를 풀어줄 수 있는 단서들이 제시되고 있다”고 말한다. 백령도에서 당시의 기록이 남아있는 오래된 암석을 찾아낸 덕분이다. ... ...
4층 높이 전자현미경 대덕에 등장
과학동아
l
200404
초고전압투과전자현미경 사업을 이끄는 나노환경연구부 전자현미경팀의 김윤중
박사
는 “한 시료를 3가지 방향으로 움직여 서로 다르게 보이는 이미지를 획득한 것은 세계적으로도 전례가 없는 일”이라며 자부심을 나타낸다. 초고전압투과전자현미경은 3차원 구조를 모르는 단백질을 여러 ... ...
이전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