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인터내셔널
세계
국제개발협회
개발
협회
국제경쟁력
d라이브러리
"
국제
"(으)로 총 5,59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인이 두려워하는 질병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속 백혈구의 조성이 달라져 면역체계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뜻이다.한국 우주인이
국제
우주정거장에서 머무는 시간은 대략 일주일이다. 고독감이나 향수를 느낄 만한 ‘여유’는 없다. 하지만 그 일주일을 보내기 위해 러시아의 스타시티에서 훈련을 받는 시간만 1년이 넘는다. 한 달 동안 7500m의 ... ...
PART1 실험동물 복지시대 열리나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확보하는 밑거름이 되기 때문이다.박재학 교수는 “‘사이언스’ ‘네이처’ 등
국제
유명 과학저널에 논문을 싣기 위해서는 반드시 동물실험위원회의 승인이 있어야 한다”며 “윤리적인 동물실험이 연구결과의 과학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데도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동물실험 근거 없다 ... ...
우주정거장서 초파리 1000마리와 뒹군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저녁 9시 뉴스.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우주센터 기지에서 러시아 우주선 소유즈를 타고
국제
우주정거장(ISS)으로 출발한 한국 최초의 우주인이 메인 뉴스를 장식한다. 이어 며칠 뒤 고비사막에서 발원한 황사가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 전역을 덮친다는 소식이 뒤따른다. ‘우리나라 최초 우주인이 ... ...
제6회 여성과학기술자상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공학분야 수상자인 안 박사는 산업현장에서 생기는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기술을 연구해
국제
학계에서도 인정받았다. 진흥분야에서는 줄기세포 논문조작사건의 진실을 파헤친 공로로 노 교수가 수상했다.안 박사는 포상금으로 받은 1000만원 전액을 계룡산자연사박물관이 발족한 지구환경 및 ... ...
숨바꼭질 잘하는 색맹 원숭이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색깔을 구별 못하는 ‘흰목꼬리감기원숭이’가 색 위장술을 쓰는 곤충을 잘 찾는다고
국제
동물행동학회가 발간하는 ‘동물행동학회지’ 1월호에 발표했다. 곤충은 천적의 눈을 피하기 위해 신체 색상을 서식지의 색과 비슷하게 바꾸는 경우가 많다.원숭이는 저마다 색을 구별하는 능력이 다르다. ... ...
외계에서 온 '블랙 다이아몬드'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담은 프러포즈를 하고 싶은가. 그렇다면 ‘블랙 다이아몬드’를 선물하라. 미국 플로리다
국제
대 조세프 가라이 교수는 블랙 다이아몬드가 초신성 폭발로 형성된 물질이라는 연구결과를 지난 12월 20일 ‘미국 천체물리학지’에 발표했다. 초신성은 무거운 별이 폭발하며 죽는 단계로 우주 진화의 ... ...
14년 우정이 만든 빛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1000만명도 안 되는 작은 나라지만 세계 1, 2위하는 기업이 여럿 있다. 그럴 수 있는 것은
국제
협력 때문이다. 우리가 혼자 못하니까 서로 협력한다는 생각이 바탕에 깔려있다”고 밝혔다.‘스와치’로 대표되는 정밀시계 산업은 물론 제약분야에서도 두드러진 성과를 보이고 있다. 인구 50만명밖에 안 ... ...
MEMS는 미래기술의 해결사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미러에만 빛을 비춰 화소사이의 틈새를 없애는 기술은 윤 교수의 독보적인 기술로
국제
특허출원을 마치고 제품 실용화를 추진하고 있다.윤 교수는 “지식 창조, 기술 축적, 바른 사용이 연구실의 좌우명”이라며 “디스플레이와 메모리, 무선통신 분야에 MEMS를 접목시켜 세계적인 연구실로 ... ...
우주의 기원을 밝혀줄 암흑물질 지도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안보이는 암흑물질의 지도가 완성됐다. 미국, 유럽, 일본 과학자로 구성된
국제
연구팀은 우주 공간의 22%나 차지하면서도 정체를 알 수 없었던 암흑물질의 3차원 입체지도를 구현하는데 성공했다고 ‘네이처’ 온라인판 1월 7일자에 발표했다.우주의 암흑물질은 질량은 있지만 별처럼 스스로 빛을 ... ...
3주년 맞은 NASA의 화성탐사로봇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 식물이 해당된다 생물 기상학의 개념이 학문으로서 체계를 갖추게 된 것은 1955년 파리
국제
생물기상학회의 제1회 총회에서 「생물기상학이란 대기의 물리적 · 화학적 환경 조건이 생체에 미치는 직접 · 간접의 영향을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정의한 이후부터이다 물리학적인 방법과 법칙성을 ... ...
이전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