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반
평범
범용
보편
보통개념
개념
예사
d라이브러리
"
보통
"(으)로 총 5,871건 검색되었습니다.
1. 스스로 진화하는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다음 세대에 선택돼 살아남거나 자손을 생산할 확률이 더 높다. 진화 알고리즘은
보통
원하는 수준의 적합도를 가진 개체가 나타날 때까지 세대 교체를 반복한다. 미지 행성 스스로 탐사하는 로봇최근 인기를 얻고 있는 ‘스타크래프트’나 ‘리니지’ 같은 온라인 게임에 진화 알고리즘이 적용될 ... ...
주사기 없이 혈액을 검사한다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끼치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빈혈의 경우를 생각해보자. 사실
보통
사람들이 상상하는 것보다 훨씬 많은 사람들이 빈혈을 앓고 있다. 병원에 가서 혈액검사를 받기 전까지 자신이 빈혈인지 아니면 다른 증상인지 잘 모르고 지내는 경우가 많다. 지금까지 빈혈을 알려면 피를 ... ...
스파이더맨 vs 배트맨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평범한 인간이라는 이중성 사이의 경계선이다. 가면을 쓰지 않은 브루스 웨인은
보통
사람보다 좀더 몸이 날렵하고 싸움을 잘하는 정도다.‘ 배트맨2’의 가면 무도회 장면에서 유일하게 가면을 쓰지 않은 두 사람은 배트맨과 캣우먼이다. 두 사람은 춤을 추면서 가면이 지겹다고 얘기한다. 두 ... ...
2. 많을수록 똑똑해지는 분산 로봇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위에 입력부와 출력부, 그리고 중앙에 위치한 반도체칩 등으로 구성돼 있다. 언뜻 보면
보통
의 컴퓨터 기판과 비슷한 모양이지만 아직 아무런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 각 요소와 중앙연산장치를 연결하는 논리회로가 아직 구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회로는 외부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성된다. ... ...
올여름 저녁은 금성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7월과 8월에도 여전히 금성은 하늘 높이 빛난다. 이 무렵 금성의 밝기는 -4등급대다.
보통
밝다고 알려진 1등급의 별보다 무려 1백배나 더 밝은 정도다. 이렇게 빛나던 금성은 9월말 이후부턴 다시 지평선 아래로 천천히 사라져간다.날이 갠 저녁 무렵이라면 금성을 찾아보고 그 위치를 매일 같은 ... ...
곤충세계의 해커들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캘리포니아주의 모하비 사막에서 가뢰 애벌레를 관찰했다. 가뢰는 땅 속에 알을 낳는데
보통
3천마리의 애벌레가 동시에 깨난다. 애벌레들이 가장 먼저 한 행동은 땅 속에서 기어 나와 근처 나뭇가지나 풀잎 끝으로 기어오르는 것이었다. 이내 나뭇가지 끝에는 1백마리에서 많게는 1천마리의 ... ...
설탕과 알루미늄이 양초를 만났을 때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O}_{11}$은 탄소, 수소, 산소로 구성돼 있다. 따라서 적당한 조건이 갖춰지면 탈 수 있는데,
보통
의 경우 불을 붙이면 타지 않고 지글지글 녹기만 한다. 하지만 설탕을 충분히 가늘게 분쇄한 뒤 산소를 충분히 공급받을 수 있게 해주면 타는 모습을 볼 수 있다.입자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쉽게 타는 ... ...
말랑말랑한 떡을 냉동보관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심하게 뻗치고 엉키기 때문에 더욱 찰기를 띠게 된다. 찹쌀이 주원료인 인절미가
보통
떡에 비해 훨씬 찰기가 많은 이유다.한편 떡을 냉장실에 넣어뒀다가 딱딱하게 굳어져서 안타까워했던 경험이 누구나 한번쯤은 있을 것이다. 떡이 굳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알파녹말 상태의 떡이 온도가 낮은 ... ...
2. 태초에 수소가 있었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원소가 생긴 것은 아니라는 말이다.이중수소 둘이 만나면 재미있는 일이 벌어진다.
보통
수소, 즉 양성자 둘이 만나면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더욱 커지는 엄청난 반발력을 무마할 길이 없다. 하지만 이중수소는 옆에 끼고 있는 중성자 덕분에 이 반발력을 가라앉힐 수 있다. 최초의 핵융합이 ... ...
왜 허준의 행적을 들춰내려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받아들여졌는지가 여기에 속한다.최근에는 일상생활사적 관점이 추가됐다. 역사 속에서
보통
사람들이 병고와 의료 생활에 어떠했는가를 묻는 것이다. 즉 의학이 의학자와 의사라는 직업의 전유물이 아니라, 앓고 있는 환자와 시민이 중심이라는 지극히 당연한 명제가 비로소 회복된 것이다 ... ...
이전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