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혼란
혼잡
잡담
분류
혼란복잡 구문
복잡한 사물
분규
d라이브러리
"
복잡
"(으)로 총 4,502건 검색되었습니다.
맞춤법교정 다양한 편집기능 돋보여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소프트웨어 조차 맞춤법교정기능을 자연스럽게 제공하고 있지만 영문 보다 훨씬
복잡
한 우리 한글에서 이러한 기능을 구현했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미가 있다.현재 발표된 내용으로 보면 네가지 선택사항을 통해 교정이 가능하다. 프로그램 내부의 사전에는 약 6만단어가 등록되어 있으며 자주 ... ...
오늘날의 로봇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비교대상이 되는 물체의 형상을 받아들이고자 레이저광선을 이용하는데 그 과정이
복잡
하다. 이러한 '접속변환 상관기'는 변하는 물체들을 매우 빠른 속도로 선별할수 있다. 개발자들이 이 접속변환상관기로 하여금 구조적 시각시험을 통과할 수 있도록 만들 수만 있다면 좋겠지만 아직은 물체들의 ... ...
1 우리 은하 태양도 초속 220㎞로 은하중심을 돈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0km로 회전하고 있는 분자고리가 있으며, 이 분자고리의 안쪽에는 뜨거운 전리된 가스가
복잡
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곳에서는 매우 에너지가 높은 X선 감마선도 관측됐다. 특히 전자와 양전자의 결합에서 방출되는 감마전이 발견됨으로써 이 지역에서 전자-양전자쌍을 만들 수 있는 격렬한 ... ...
지구한랭화를 주도하는 대빙하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기후의 반복현상이 자주 발생, 기온의 변화는 아가시즈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복잡
한 양상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제4기 대빙하기는 지금부터 약2백만년 전에 시작됐다. 그 마지막 빙기가 사라진 것은 약 1만년 전으로 추정된다. 설원으로 변한 만년설그러면 빙하란 무엇이며 또 어떻게 ... ...
「제3의 물리학 혁명」혼돈이론의 실체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된다.준주기(quasiperiodic)경로에서는, 그러한 진동수의 숫자가 점점 늘어나서 종국에는
복잡
한 운동, 즉 혼돈운동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진동수가 둘인 운동 다음에 곧 혼돈운동으로의 전이가 일어난다는 것이다. 이때 두 진동수가 서로 유리수 관계에 있지 않아서 계가 전이하기 전에 준(準)주기적 ... ...
(2) 컬러모니터와 비디오카드 슈퍼 VGA카드 상용화 한창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이용 설계) 수학분야 등에서는 비디오 보드 내에 그래픽처리 전용 프로세서를 장착해
복잡
한 기하학적 표현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현재 베사에서는 그래픽 프로세서의 개발 작업에 들어가 조만간 호환성이 높은 프로세서가 발표될 예정이다. 70~72Hz 제품 선택하도록비디오 보드는 ... ...
머리좋은 생물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연결되었는데 하나는 중력, 또 하나는 각가속도를 감지해서 오징어나 문어가
복잡
한 기동력을 발휘할수 있도록 해준다. 둘째, 두족류의 눈은 우리의 눈과 똑같지는 않지만 매우 유사하게도 영상을 받아들이는 망막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문어는 감금상태에서 빠져나오는 길을 찾는데 천재적이다. ... ...
오존측정용 과학로켓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있다.방송통신위성은 지구촌 반대편의 경기를 생중계하기 시작했고 기상위성은
복잡
한 대기의 움직임을 수시로 체크해 일기예보의 정확성을 대폭 향상시켰다. 전쟁이 일어나지 않는 상황에서도 정찰 첩보위성들은 지구촌 곳곳을 한치의 빈틈도 없이 감시하고 있고 자원탐사위성은 어느 곳의 ... ...
한국신경과학학회 초대회장 박찬웅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하는 역할을 뛰어넘어 아주 복합적인 일을 하게 됩니다. 그러나 사실 뇌에 대해서는
복잡
한 일을 한다는 것 이상 구체적으로 무슨 일을 어떻게 한다는 것이 밝혀진 게 거의 없습니다. 인체내의 다른 장기에 대해서는 상당부분이 밝혀져 있음에도 뇌기능은 아직 그렇지 못해요. 솔직히 뇌에 대해서 ... ...
(1) 대중화 단계에 접어든 컬러 컴퓨터 그래픽의 진수를 맛본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물론 이 정도 수준의 일을 하기 위해 혼자서 공부하기는 벅찬 것이지만, 요즘에는 이렇게
복잡
하고 전문적인 작업말고도 일반 컴퓨터 사용자들이나 회사원들이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많이 나와 있다. 그렇다면 사람들은 왜 붓이 아닌 컴퓨터로 그림을 그리는 것일까.우선 컴퓨터 그림은 ... ...
이전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