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혈액 한방울로 범인 찾는 방법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무게는 체중의 약 8%. 몸무게가 60kg인 사람은 몸 속에 4.5L의 피(비중 1.06)가 흐르고 있는
셈
이다. 그러나 사건 현장에서 단 한방울의 피만 발견돼도 수사팀에겐 결정적인 단서가 된다.19세기까지만 해도 어떤 혈액이 사람의 것인지, 짐승의 것인지조차 구별하지 못했다. 20세기 초 오스트리아의 ... ...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오케스트라 지휘자 - 유향숙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한다. 과학을 시작했던 이유가 단지 국가에 대한 의무감 때문만은 아니었던
셈
이다. 특히 생물 분야에 대해서는 단순한 관심을 넘어서 과학적인 호기심이 왕성했다. 그녀에게 생물학은 알고 싶은 것을 해결하는 수단이었다. 고등학교 시절에는 여름방학 숙제를 할 때 용어 하나하나를 백과사전에서 ... ...
토성 1년만에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찾아온다.토성은 12월 18일 충을 맞이한다. 이번 12월이 토성을 가장 잘 볼 수 있는 시기인
셈
이다. 시리우스와 베텔게우스 중간 밝기겨울철에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인 큰개자리의 시리우스를 비롯해 유명한 별들만 손에 꼽아도 다섯 손가락이 넘친다. 이들 사이에 토성이 위치하기 때문에 ... ...
2. 현재 우리은하는 충돌중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왜소은하는 우리은하 내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우리은하가 이 은하를 잡아먹고 있는
셈
이다.1999년 영국의 과학저널 ‘네이처’에 실린 연세대 이영욱 교수팀의 연구결과는 그 동안 구상성단으로 알려졌던 ‘오메가 센타우리’(센타우루스자리 오메가천체)가 우리은하에 잡힌 왜소은하였다는 ... ...
2. 대선 공약 주요 항목으로 떠오른 과학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과거지향적이고 정치보복에 치우치기 쉬운 것들이었음을 상기하면 많은 진보를 이뤄낸
셈
이다.이번 대통령 선거에서 각 후보들이 제시한 과학기술정책은 과거에 비해 어떤 점이 달라졌으며 무슨 특징이 있을까. 이공계 기피가 화두이번 대선에서 후보들이 공약한 과학기술정책의 가장 큰 특색은 ... ...
상식에 어긋나는 흑맥주 기포의 추락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제어함으로써 액체의 흐르는 양도 조절 가능하다. 기포가 수도꼭지의 역할을 하는
셈
이다. 이처럼 기포는 마이크로 기술이 발전하면서 더욱 관심을 받고 있다.숫자가 기포로 표시되는 시계●● 좀 엉뚱해보이기는 하지만 기포를 이용한 참신한 아이디어도 나오고 있다. 1995년 미국 버지니아 ... ...
스마트무인기 기술개발사업단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지난 11월 초 세부과제의 사업자를 선정하는 절차에 들어갔다. 이제 막 출발선에 선
셈
이다.임 단장은 프론티어 사업 가운데 유일한 항공기술(ST) 분야인 스마트무인기 사업단을 운영하는데 남다른 시도를 할 예정이다. 실력있는 사람을 참여시키는 것은 기본. 사업단의 여러 과제를 평가할 때 단순히 ... ...
3. 스스로 충돌 피하고 고장 대처한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복합재료는 고강도 경량 재료이기 때문에 스텔스 비행체의 구조물 제작에 최적 재료인
셈
이다.무인기의 경우는 어떨까. 현재 미국 보잉 사에서 개발중인 무인전투기 X-45에도 적의 방공망 기지를 무력화시키기 위해 스텔스 기능이 들어갈 예정이다. 앞으로 나올 군용 무인기는 얼마나 적의 눈에 띄지 ... ...
펭귄과 친구 된 남극월동대장 장순근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전의 기후도 알아낼 수 있다. 남극은 밝혀내야 할 비밀이 무한한 ‘과학실험실’인
셈
이다.이런 비밀을 밝혀내려면 우리나라도 남극본토에 제2기지를 짓고 쇄빙선을 건조하고 비행기, 헬리콥터, 설상차 같은 운송수단을 대폭 보강해야 한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극지를 연구하는 모든 사람들의 이런 ... ...
1. 생명체는 정보의 집합체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인간게놈프로젝트는 바이오인포매틱스의 능력을 국제사회에 널리 알린 무대였던
셈
이다. 분자생물학과 바이오인포매틱스라는 황금 콤비를 통해 2002년 10월 현재 인간은 게놈의 92.5%에 대한 완성본과 5.8%에대한 초안, 합쳐서 98.3%의 정보를 알고 있다 ... ...
이전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