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프트웨어] 컴퓨터의 원조는 나! 공학용 계산기수학동아 l2016년 12호
- 계산하고, 계산이 끝나면 저절로 결과를 저장하고 출력해 줘요. 잘못된 공식이 들어오면 큰 소리로 벨을 울려요.자료를 입력받아 계산, 저장, 출력하는 방식이 컴퓨터와 꼭 닮았죠? 해석기관은 컴퓨터의 기본적인 요소를 모두 갖추고 있었어요. 그래서 찰스 배비지를 ‘컴퓨터의 아버지’라고 ... ...
- [과학뉴스] 두 차례 사과가 더 큰 촛불 부른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현재(11월 21일)까지 박근혜 대통령은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에 대해 사과 담화문을 두 차례 발표했다. 하지만 서울을 비롯한 전국 각지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촛불을 들고 평화시위를 벌이고 있다. 진정한 사과가 아니라는 것이다. 어떤 리더들은 사과를 해야 하는 상황에서 오히려 ‘입지 강화 ... ...
- 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광천수가 유럽의 알프스, 러시아 파크카스산맥과 함께 세계 3대 광천수로 꼽히며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 백두산 광천수는 백두산 천지에 있는 20억t의 물이 지하 암반층으로 스며들어 모인 것이다. 하루에 26만m3의 물이 흘러나오는데, 생수업체들은 이 물에 각종 미네랄이 들어있다며 홍보하고 있다 ... ...
- [News & Issue] 그날 서해대교엔 무슨 일이 있었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7회째를 맞는 전국 화재조사 심포지엄은 이만큼 전국 화재조사관들 사이에서는 권위가 큰 대회다. 2007년 당시 소방방재청에서 화재조사관들의 전문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처음 제안됐고, 2010년에 1회 대회가 열렸다. 이정섭 부산소방안전본부 현장 대응과 조사관은 “해가 갈수록 대회의 수준이 ... ...
- [Knowledge] 뉴턴에 날개 달아준 여성 물리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미국 대학의 물리학과 교수 중 여성의 비율은 11%에 불과하다.연구자들은 고정관념이 큰 방해물이라고 지적한다. 18세기 볼테르는 독일 프로이센의 국왕 프리드리히 2세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에밀리는 위대한 사람이지만 그의 유일한 단점은 여성이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인식은 현재도 ... ...
- [Knowledge] 천연 스펀지로 물 찍어 먹는 침팬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보고된 아프리카 세네갈 사바나침팬지의 갈라고원숭이 사냥 행동은 연구자들에게 매우 큰 충격을 줬다. 침팬지는 날카로운 창을 만들어 나무 둥치 안에서 자고 있는 갈라고원숭이를 사냥한다. 2015년에 발표된 후속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 같은 사냥 방식은 주로 암컷들이 이용한다. 도구를 이용해 ... ...
- [Tech & Fun] 직장과 집만 고집하는 당신, 변해야 ‘동안’된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38세인 사람이라도 생체 나이는 28세부터 61세로 다양했다”며 “사람의 노화 속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경”이라고 설명했다.직장에서 받는 스트레스가 노화의 ‘적(敵)’텔로미어는 염색체 끝에서 DNA 염기서열을 보호하는 수만 개의 염기쌍을 말한다. 근육세포에서 텔로미어의 길이가 ... ...
- [Tech & Fun] 디즈니 리서치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있고, 유럽에는 스위스 취리히에 연구소가 있습니다. 디즈니 리서치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큰 곳은 미국 펜실베니아 주 피츠버그에 있는 연구소입니다. “마술이 아니다. 기술이다”엔터테인먼트 기술이 얼마나 첨단일까 반신반의할 수 있겠습니다만, 디즈니 리서치는 컴퓨터 그래픽스, 컴퓨터 ... ...
- [Career] 기발한 저온 공학 기술이 창업 아이템이 되기까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하는데, 약효가 들 때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고 고통스럽다. 김 교수의 마취기기는 조금 큰 볼펜처럼 생겼고 무게가 작은 생수 한 통 정도(500g)로 가볍다. 눈에 대기만 하면 돼 환자의 거부감이 적고 순간적으로 마취가 돼 고통도 없다. 김 교수는 “경쟁력은 확실하다”고 자신했다.UNIST는 지난 9월 ... ...
- [새 책] 재난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는…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재난이 발생한 뒤 진상규명이나 수습과정이 미온할 때 더욱 그렇다. 최근 몇 년 사이 큰 재난 여럿을 겪은 대한민국 사회가, 재난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를 점검해 봐야 하는 이유다.먼저 진실을 밝히는 과정. 2010년 3월 26일 백령도 근처 해상에서 대한민국 해군의 초계함이 침몰했다. 군 장병 46명이 ... ...
이전3763773783793803813823833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