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시
주의
응시
감시
관찰
묵시
각광
뉴스
"
주목
"(으)로 총 7,316건 검색되었습니다.
北물리학 임성진, 세계적 학술지에 논문…'대표과학자'로 우뚝
연합뉴스
l
2019.05.30
성과와 초연속체 발진의 새로운 메커니즘을 밝힌 일명 '햇빛 레이저' 이론으로 세계적인
주목
을 받았다. '우물 안 개구리'로 알려졌던 북한 과학계에서 출발해 세계 학계로 운신의 폭을 넓힌 그는 지난해 비교적 젊은 나이에도 '북한의 대표적인 과학자'로 세계 3대 인명사전인 '마르퀴스 후즈후'의 ... ...
장내 미생물이 뱉는 '포스트바이오틱스'에
주목
하라
동아사이언스
l
2019.05.30
‘포스트바이오틱스’가 치료제나 질병 진단에 효율적이라는 주장이
주목
받고 있다. 2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제3회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콘퍼런스'에서 국내 제약사 및 벤처기업 전문가들은 "포스트바이오틱스 연구가 급성장했다"며 "포스트바이오틱스를 진단용 바이오마커나 ... ...
우주기업들, 지구 저궤도 상업화 청사진 내놔… NASA도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19.05.29
찍는 세트장으로 활용하거나 스포츠 행사, 우주 관광에 활용한다는 내용이
주목
을 받았다. 우주태양광발전위성 등 대형 구조물을 제작하는 ‘공장’으로도 쓴다는 의견도 나왔다. 사람과 화물을 실어 나를 운송 서비스의 거점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제시됐다. 기업들은 이르면 2025년부터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끝)최종 보고서, 코딩교육 정말 필요한가?
2019.05.28
잣대가 될 수 없는 이유다. 오히려 코딩 교육 과정에서 아이가 얻은 2차적 효과에
주목
해야 할 것이다. 2차적 효과는 엔트리 활용 능력이 가져올 수 있는 아이의 모든 변화를 포함한다. 변화의 양상이 긍정적인지 아닌지 판단하기 위해 코딩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다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 ...
KAIST 석사 5회 졸업동문, 발전기금 20억원 쾌척
동아사이언스
l
2019.05.28
발전기금을 들고 다시 찾을 수 있게 되어 매우 뜻깊다”며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에서
주목
받는 KAIST가 될 수 있도록 모교 발전을 지속적으로 응원하겠다”고 말했다. 신 총장은 “동문들이 보내주신 사랑과 애정이 모교 발전에 큰 발판이 될 것”이라며 “KAIST는 동문의 기대와 성원에 부응할 수 ... ...
바이오마커가 못찾은 약효 통할 환자 52%…국산 의료AI 면역항암제 효과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19.05.27
면역계를 활성화시키는 암 치료법으로 부작용이 거의 없어 새로운 항암 치료방법으로
주목
받고 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지금까지 면역관문억제제의 반응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용해온 바이오마커(PD-L1)와, 루닛이 자체 개발한 AI인 '루닛스코프'로 예측한 결과를 비교했다. PD-L1으로 ... ...
뇌과학자-공학자 머리 맞대고 인체 ‘블랙박스’ 뇌 비밀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7
뇌의 ‘연결망’이 문제 해결을 위해 꼭 이해해야 할 대상으로 꼽힌다. 뇌 측정 기술이
주목
받게 된 이유다. 하지만 뇌과학 현장의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기술은 연구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 윤의식 미 미시간대 전자공학과 교수는 “뇌공학의 발견이 뇌과학의 발견을 가속화하는 시대에 ... ...
[주말N수학] 수학과 물리학을 잇는 다리를 건설하다
2019.05.25
이유로 비주류 기관에서만 연구를 이어갔다. 그러나 1980년대 초 비누막 문제를 해결하고
주목
을 받으며, 마침내 1983년 시카고대학교 교수로 자리를 잡게 된다. 이후 1988년에는 정년을 보장받는 조건으로 텍사스대 오스틴캠퍼스 수학과 석좌교수가 된다. 1990년에는 일본 도쿄에서 열린 ... ...
[Science토크] 우주를 향한 ‘골드러시’…과학자들 “태양계를 국립공원처럼”
동아사이언스
l
2019.05.25
이 연구에서도 1994년 연구와 마찬가지로 약 20년 동안 철 생산량이 2배나 늘어났다는 점에
주목
했다. 연구진은 지구와 비교적 가까운 행성과 위성 및 소행성에서 자원을 채굴하기 시작해 지금과 같은 속도로 철 생산량과 소비량이 늘어난다면 400년 뒤에는 태양계에서 약 8분의 1에 해당되는 양을 ... ...
"데이터도 꿰어야 보배" 기관 연구결과 모아 난제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4
과학계는 최근 방대한 데이터 분석만으로도 획기적인 연구성과가 나올 수 있다는 사실에
주목
하고 있다. 대표적인 게 2012년 ‘신의 입자’로 불린 ‘힉스 입자’ 발견이다. 전세계에 흩어져 있는 물리학자들은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 실험에서 나오는 방대한 데이터를 ... ...
이전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