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4,292건 검색되었습니다.
50만년전의 숨결 북경원인의 고향, 주구점을 보고
과학동아
l
198909
북한 고고학자들에 의해 이룩된 최대의 성과이다. 이를 계기로 한반도 안에서 살았던
최초
인류의 거주양상과 체질 등을 파악할 수 있게 된 것이다.금년으로 북경원인이 발견된지 꼭 60년이 되었다. 이를 기념하여 북경에서는 올 가을 대규모 국제학술대회를 열 예정이며, 여기에는 세계적인 ... ...
녹색 식물의 탄생 How Green Plants Began?
과학동아
l
198909
견해를 갖고 있다. 그때까지 행성지구는 이미 32억년동안 존재해 왔다. 따라서
최초
의 세포들이 진화했을만한 긴 기간이 있었던 것이다.이러한 세포들의 진화 전단계에 보다 작고 원시적인 세포가 단순한 생명체의 형태로 아마 20억년동안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 작고 원시적인 세포는 ... ...
실제로는 정부지원 얻어내자는 속셈인듯
과학동아
l
198909
'막스 퍼루츠'교수는 "버널의 책이 나왔을 무렵에도 자유방임주의의 영국에서
최초
로 원자핵을 분리했고 동위원소를 발견했으며 중성자와 반물질의 존재를 확인했다"고 말하면서 결코 집권적인 제도는 산만하게 보이는 자유주의제도보다 우월할 수 없다고 주장.그는 근년의 예로서 유전자가 DNA로 ... ...
자유로이 에너지형태 바꾸는 현대판 부싯돌 압전 세라믹스
과학동아
l
198909
전기적에너지로, 전기적에너지를 기계적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마법의 돌'인류가
최초
로 전기적 현상을 발견하게 된 동기는 마찰에 의한 인력을 관찰하면서 부터이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이러한 마찰에 의해 생기는 신비한 인력의 원인을 일렉트론(elektron)에 의한 것으로 생각하였다. 그후 인류의 ... ...
3천미터 심해탐사선을 목표로
과학동아
l
198909
무려 1948년에 1천4백미터급 잠수성 FNRS Ⅱ호를 개발한 경험이 있으며, 1954년에는 세계
최초
의 심해잠수정이라고 일컬어지는 FNRS Ⅲ호를 개발해냈다. 지난 1985년에는 첨단 장비를 탑재한 6천미터급 노틸(Nautile)호를 개발하여 일본해의 조사에 사용한 바 있다. 또한 이 원격조종선을 태평양의 망간단괴 ... ...
PART Ⅱ 태양전지와 태양광 발전의 원리
과학동아
l
198909
이끌어그러면 국내의 응용 및 보급현황에 대해 알아보자.1972년 해운항만청에서 국내
최초
로 무인등대 전원용 소형시스템을 설치한 이후 1988년말까지 국내에 설치된 태양광발전시스템은 1천2백65개소, 총 3백86KWp에 이른다.태양광발전시스템의 장점을 열거하면, 첫째 무한정한 태양에너지의 이용, ... ...
진시황의 지하무덤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8908
여산의 북쪽 산록에 만들어진 거대한 능묘내에서 영원히 잠들어 있는 사람이 중국
최초
의 황제인 진시황제(BC 259년~210년)이다 (시황제릉은 여산의 산록에 있기 때문에 여산릉이라고도 불리운다.).‘천고일제’(千古一帝)로 칭송되었던 이 인물은 살았을 때 용맹을 떨치면서 6개국을 병합, 중국을 ... ...
리드프레임 소재
과학동아
l
198908
올라가고 연신율도 함께 증가되기 때문이다.이같은 아이디어의 구체화작업이 곧 한국
최초
의 리드프레임 개발과 연결되었다. 새로 개발된 이 리드프레임은 PMC-102로 명명하였는데 기본 화학조성은 Cu-1.5Ni-0.3Si-0.03P였다. 한편 미국 동(銅)개발협회(CDA)에서는 이를 CDA 190이라고 따로 불렀다. CDA번호는 ... ...
기이한 거인상과 암벽화
과학동아
l
198908
이르게 된다는 것이 통설이다. 그들은 카스피해 북부연안지역에
최초
의 근거지를 두고 있었던 민족이라는 것도 언어학적으로 유력한 설이다.난폭할때의 말씨로 보아서는 ‘유럽인은 모두 러시아인’이라는 견해도 있다. 그들이 말을 길들여 싸움과 동화를 되풀이하면서 북으로 이동하여 갔다고 ... ...
식민통치와 한국의 과학발전
과학동아
l
198908
물학과와 이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연희전문은 전문학교이기는 했으나 우리나라
최초
의 수물학과 응용화학과 농과를 가졌을 뿐 아니라 이곳에서 배출된 졸업생(1919~1945년간 2백73명)들은 주로 중등학교의 수학 물리 화학 생물교사로서 후배양성에 이바지했다. 이들은 암흑기에 우리나라 ... ...
이전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