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림"(으)로 총 4,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라늄·플루토늄·핵무기의 삼각관계과학동아 l1994년 07호
- 우라늄235)보다 생성된 핵연료(플루토늄239)가 더 많아지기 때문에 증식로라고 부른다(그림2). 고속증식로는 우라늄 자원의 활용도를 60배 이상 높일 것으로 전망된다. 고속증식로는 프랑스 일본 러시아 영국 등이 확보하고 있다. 재처리의 핵심재처리를 한마디로 표현한다면 다 쓴 핵연료에서 ... ...
- (3) 지름 1백m 소행성, 1만년 한번꼴 지구 충돌과학동아 l1994년 07호
- 것일까.우선 눈에 띄는 특징은 궤도반지름 분포에 일정한 틈새가 나타난다는 것이다(그림1). 주행성대(2AU-3.5AU) 안에 소행성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 있다는 뜻. 이 틈새를 발견자의 이름을 따서 '커크우드틈새'라고 부른다. 또한 주소행성대 바깔쪽으로 소행성들이 집단으로 몰려있는 지역이 ... ...
- PART.1 두눈 시각차 이용, 환상의 3차원 영상 만든다과학동아 l1994년 07호
- 오른쪽 눈에는 청색의 이미지가 각각 보여진다. 그 결과 뇌에서는 이를 완전한 하나의 그림으로 해석해 3차원 이미지 효과를 느낄 수 있다. 적청방식은 간단하게 3차원을 감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완벽한 컬러이미지를 볼 수 없다는 점과 고스트현상(한쪽눈이 다른쪽 눈의 이미지까지 같이 ... ...
- 생명의 기원 탐구는 영원한 논쟁과학동아 l1994년 07호
- 일 두었더니 미생물이 발생하였다.(2) 효모 추출액을 플라스크에 넣고 플라스크 주둥이를 그림과 같이 S자로 구부려 가열한 다음 냉각시켜 방치해 두었더니 미생물이 발생하지 않았다.(3) S자로 구부린 주둥이 부분을 잘라버렸더니 플라스크 속에 미생물이 발생하였다.[1] 실험 Ⅰ에서 알 수 있는 것은 ... ...
- '컴퓨터 전국 입체지도, 2001년 완성과학동아 l1994년 06호
- 수치부호로 입력, 컴퓨터그래픽에 의해 입체화상으로 연출돼 각종 국토정보를 생생한 그림으로 보여주고 면적 길이 부피까지도 수치데이터로 제공된다. 원하는 특정분야만을 꺼내볼 수도 있어 국가기간시설지도 관광지도 운전지도 하천지도 산림지도 인구지도 농업지도 등으로 국한해 다목적으로 ... ...
- 문화 전승 발전 두뇌는 '좌뇌형'과학동아 l1994년 06호
- 충남 전북형 이마에서는 측면 윤곽선이 직선형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마의 등고선형과 그림그리기형을 대조해보면 삼각형형중 측이마 직선형은 시각형의 그리기 빈도가 높았다. 삼각형형의 측이마 둥근 형과 아치형의 측이마 둥근형도 개념형 그리기의 빈도가 높았으나 예술형 그리기형은 주로 ... ...
- 숫자 0이 인류문명 바꿨다과학동아 l1994년 06호
- 남미의 잉카에서도 15세기에서 16세기까지, 매듭으로 수를 표시하는 방법이 통용되었다(그림1). 매듭은 숫자 사용의 시작이었을 것이다. 새끼가 흔하지 않은 곳에서는 칼로 나무에 자국을 내어 수를 표시했다. 우리말의 '긋는다'는 말도 여기에서 유래된 것이라 한다.처음부터 1,2,3,…과 같은 세련된 ... ...
- 생물 - 빛·공기·물의 오묘한 조화, 광합성과학동아 l1994년 06호
- 양으로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우선 온도와 광합성의 관계를 조사하는 실험을 살펴보자.그림과 같이 하여 일정 시간당 나오는 기포수를 측정하면 광합성 속도의 차를 알 수 있다.보통 온도보다 저온으로 만들 경우 얼음을 넣어 수온을 내리고, 고온일 때의 광합성 속도를 조사하고자 할 경우는 더운 ... ...
- 1. 지구질량 318배, 수소·헬륨의 가스행성과학동아 l1994년 06호
- 목성의 암모니아 구름층 밑에 상어와 같은 어류들이 살고 있는 것으로 묘사하기도 한다(그림2).암모니아 구름층 밑은 아직 직접 관측이 안돼 신비에 싸여 있다. 1995년에 목성에 도착할 갈릴레오 우주선이 탐사기구를 목성 대기에 투하시켜 직접 탐사를 하게 되면, 아마도 이런 신비의 베일이 어느 ... ...
- 지평선 위의 태양이 찌그러지는 이유과학동아 l1994년 06호
- 고도의 각과 관계가 있다. 눈으로 인식되는 하늘의 모양을 알아보기 위해 사람들은 (그림1)에서 나타낸 것처럼 천정을 지나는 수직원에서 호의 중점의 고도를 측정하였다. 사람의 눈으로 정확한 호의 중점을 정하고 그 고도를 측정하는 데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그렇지만 여러번의 측정을 통해 ... ...
이전3773783793803813823833843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