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새롭게 주목 받는 ‘환경 곤충’,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과학동아 l2017년 06호
- 100마리를 PE 비닐봉지에 담아두고 관찰을 시작했다. PE 비닐봉지는 40분 만에 구멍이 나기 시작했고, 12시간 뒤에 무게가 92mg 줄어들었다. 92mg이 아주 적은 것 같지만 그간 밝혀진 플라스틱 생분해 속도에 비하면 획기적인 수준이다.플라스틱 분해 방법 중 가장 빨라2016년 3월 ‘사이언스’에는 ... ...
- [Issue] 이게 맥주야? 커피야? 질소 커피의 인기 비결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이디야 커피의 질소 커피는 출시 20일만에 20만 잔이 판매됐으며, 올해 4월부터 판매를 시작한 스타벅스 역시 질소 커피를 판매하는 가맹점 수를 계속 늘리고 있다. 식품계의 얼리어답터라 자부하는 기자가 질소 커피를 마셔보고, 인기 비결을 분석했다.맥주인 듯 맥주 아닌 맥주 같은 커피!질소 ... ...
- [Origin] 명상은 과학이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코흐 교수를 수석연구원으로 영입하면서 인간의 뇌에 대해 알아보는 야심찬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코흐 교수팀은 인도 남쪽에 있는 티베트의 승려를 만났다. 그들은 수 년 동안 일상을 떠나 인간의 근원에 대해 명상하며 지낸다. 명상을 할 때 이들의 뇌에서는 일반인과 확연히 다른 고주파 신호가 ... ...
- Part 3. 암 치료, 두 가지 트렌드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우리나라는 지난 3월부터 암 환자가 NGS 검사를 할 수 있도록 건강보험을 적용하기 시작했다. 암 진단을 받지 않은 건강한 사람이 암 여부를 알기 위해 NGS 검사를 하는 것은 포함되지 않지만, 장기적으로는 건강한 사람에게도 확장될 가능성도 있다.의학을 공부하다 보면 우리 몸의 치밀하고 꼼꼼한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3] 농구 선수 ‘ 순시카네 꼬를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마음으로 농구공을 던질 준비를 하고 있던 그때! 갑자기 관중석에서 응원이 쏟아지기 시작했다. 300호가 나오기까지 지난 날의 퍼즐 대결이 떠오르며 감격에 겨워 눈물이 핑 돈 썰렁홈즈. 하지만 ‘순시카네 꼬를너’는 무언가 계산을 하느라 바쁜 모습인데….아슬아슬하게 퍼즐을 먼저 풀었지만,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공주의 결혼 상대 찾기! 공주가 돌아올 시간을 예측하라수학동아 l2017년 06호
- 3시 이전에 공주가 돌아온다는 쪽에 걸면 오후 12시가 되자마자 이길 확률이 줄어들기 시작하기 때문에 분명히 후회할 거야. 이런 후회를 하지 않으려면 오후 3시 이후에 공주가 온다는 쪽에 걸어야 할 걸? 내 말을 믿어봐 ... ...
- Intro. 딴따라 수학과 똑똑이 음악의 듀엣 타임!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들어봅시다. 음악이 수학을 만들고 수학이 음악을 만드는 닭과 달걀 같은 이야기가 시작됩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딴따라 수학과 똑똑이 음악의 듀엣 타임!Part 1. 음악, 수학을 만들다Part 2. 수학, 음악을 ... ...
- [Issue] 이번엔 윈도우10? 랜섬웨어 재습격 예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울고 싶지만(wanna cry), 잘못된 사실은 가려내야 2차 공격도 막아낼 수 있지 않겠습니까. 시작해보겠습니다.백신이 알아서 막아준다?시중에 판매되는 백신은 랜섬웨어뿐만 아니라 다양한 악성코드(바이러스, 트로이 목마 등)를 막을 수 있게 설계됐습니다. 하지만 이것들이 동일한 취약점을 이용하지 ... ...
- [Future] 조산아의 희망, 인공자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계획이다.2004년 우리나라도 인공자궁 만들었다사실 인공자궁 연구는 꽤 오래전부터 시작됐다. 1997년 일본 준텐도대 연구팀은 플라스틱 통으로 만든 인공자궁에서 염소 태아를 3주 동안 성장시켰다. 2004년에는 송창훈 조선대 의대 산부인과 교수와 이국현 서울대 의대 마취통증의학과 교수가 일본에 ... ...
- [Interview] “확신과 추진력이 큰 발견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수 있었다”고 말했다. 1986년 텍사스대 사우스웨스턴의학센터에서 본격적으로 연구를 시작한 뒤, 1998년에는 LPS의 유전자 분석까지 마쳤다. 보이틀러 교수는 “수행비서까지 연구를 도울 정도로 모두가 목표를 향해 똘똘 뭉쳤다”며 “오랜 연구에서 성과를 얻었을 때 느낀 만족감은 그 어떤 ... ...
이전3773783793803813823833843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