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2,392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세먼지 극성 부리는 대기오염, 자살률도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14
한다고 지적했다. 펑장 홍콩 중문대
교수
와 선천 미국 산타바바라 캘리포니아
교수
가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중국에서 초미세먼지(PM2.5) 농도와 자살률 증감의 연관성을 확인한 연구 결과를 12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속가능성'에 발표했다. 대기오염은 정신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 직경 2. ... ...
[과기원NOW] UNIST, 수소 고밀도 저장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2.13
UNIST 화학과
교수
. UNIST 제공.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오현철 화학과
교수
가 보통의 대기압에서도 수소를 고밀도로 저장할 수 있는 ‘나노다공성 수소화붕소마그네슘 구조’를 제시했다고 13일 밝혔다. 수소를 저장하거나 운송할 때 문제가 되는 낮은 수소저장용량을 고밀도 흡착기술로 개선했다. ... ...
완두가 흡수한 미세플라스틱, 열매 통해 후세대로 전달
동아사이언스
l
2024.02.13
미세·나노플라스틱에 노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이끈 안윤주
교수
는 “이번 연구는 미세·나노플라스틱에 노출된 식물이 생산한 열매와 그 열매로부터 기인하는 후세대 식물로의 미세·나노플라스틱의 순환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 ...
영하 40도에도 안 어는 아연전지…"전기차 성능 저하 막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2.13
성능이 떨어지는 전기차의 고질적인 배터리 문제를 해결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교수
는 “이번 연구는 물 기반 전해질의 고질적인 저온 성능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극저온 환경에서 기존 리튬이온전지 성능을 넘어설 수 있는 기술을 제시했다”며 “특히 최근 전기차 시장 확대를 가로막는 큰 ... ...
100큐비트급 양자컴으로 푼 조합 최적화 계산데이터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4.02.13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데이터(Scientific data)'를 통해 무료로 접근할 수 있다. 안
교수
는 “이번 연구를 통해 100큐비트급 양자컴퓨터를 활용한 난제 계산 결과 및 계산 프로그램을 모두 공개해 그동안 양자컴퓨터에 접근이 어려웠던 연구자를 비롯한 많은 사람이 양자 컴퓨팅 연구에 참여할 수 ... ...
환경오염 물질이 꽃향기 분해…곤충, 꽃 못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12
농업까지 위협할 수 있을 것으로 우려했다. 제프 리펠 미국 워싱턴대 생물학과
교수
연구팀은 오염물질이 꽃향기를 분해해 곤충들의 후각에 교란을 일으키고 있다고 8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벌이나 나비 등의 곤충들은 꽃에서 꿀을 찾는다. 이 때 꽃 수술의 화분을 ... ...
“의대 증원 무산 막겠다”는 정부…의료계 “정부 조치 지나쳐 투쟁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2.12
지난 2020년 전공의 집단행동은 의대 증원을 막는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대학병원
교수
등 의료계 인사들은 SNS를 통해 의대 증원 방침에 대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전공의 연락처 확보 및 단체행동 금지 명령 등은 지나친 조치라는 의견부터 의협을 ‘식물협회’로 칭하며 비판하는 목소리, 정부의 ... ...
육식공룡 고르고사우루스 마지막 식사는 공룡 뒷다리
과학동아
l
2024.02.11
살 미만의 아기 공룡 두 마리의 뒷다리가 들어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젤레니츠키
교수
는 보도자료를 통해 “고르고사우루스가 작은 먹이의 (살이 풍부한 부위인) 뒷다리만 먹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지금까지 티라노사우루스류 육식공룡의 성체는 일반적으로 거대 초식공룡을 ... ...
샴페인 터지는 '뻥' 소리에 담긴 비밀
과학동아
l
2024.02.11
발생한다. 이 충격파는 소닉 붐을 만든다. 연구에 참여한 베른하르트 UCL 수학과 명예
교수
는 “우리의 수학 모형은 유체역학 방정식에서 초음속 현상이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것을 보여주며, 시뮬레이션 결과 역시 실험과 매우 잘 일치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2월호, [과학뉴스] ‘뻥 ... ...
[표지로 읽는 과학] 포식자 죽음이 생태계 파괴로 이어지진 않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10
능력은 인간의 예상보다 뛰어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사이먼 타이 미국 아칸소대
교수
연구팀은 호수 생태계에서 포식자의 대량 폐사 이후 오히려 먹이사슬이 안정화 됐다는 연구결과를 8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식물성 플랑크톤과 동물성 플랑크톤, 그리고 물고기로 ... ...
이전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