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체
그룹
team
소집단
선수
티임
편
뉴스
"
팀
"(으)로 총 4,912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다에 유출된 기름, 시간당 2만 L 빨아들이는 기술 개발
2016.04.13
연구 결과는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 2월 29일자 온라인 판에 실렸다. 연구
팀
이 개발한 방제장치의 기름 회수 과정. 파란 색으로 부유하던 기름을 다공성 그래핀을 이용해 장치 내부로 회수한다. - 서울대 ... ...
[4·13 총선]투표는 원래 스트레스다?… 뇌과학으로 보는 선거
2016.04.12
일반인에 비해 여러 정보들을 종합해 결론을 내리는 데 미숙하다는 것이다. 연구
팀
이 LOFC 손상 환자와 일반인을 비교한 결과, 환자들은 다방면의 정보를 종합하는 대신 외모나 매력에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펠로우 연구원은 “다양한 정보를 종합해 후보자를 고르는 과정에 LOFC가 ... ...
지구사랑탐사대 현장교육 100배 즐기기
동아사이언스
l
2016.04.12
베테랑 대원들은 이미 준비가 완벽합니다. 올해도 스태프로 참가한 ‘파워에너지’
팀
을 처음 만났을 때 모습은 지금도 기억에 생생합니다. 이태경, 이태규 대원은 전문적으로 농사를 짓는 분들이 입는 가슴장화를 장비하고 있었습니다. 가슴장화는 방수천으로 된 멜빵바지에 고무 장화까지 ... ...
일산화탄소 먹고 수소 뱉어내는 심해 고세균
2016.04.11
데 성공했다. 강성균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생명공학연구센터 책임연구원
팀
은 일산화탄소가 풍부한 심해에서 서식하는 고세균 ‘NA1’의 일산화탄소 적응 현상을 적용해 바이오수소를 생산하는 균주 ‘156T’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해양 심해열수구 인근 고온에서 서식하는 NA1은 크기 ... ...
생존률 36.8%, 유방암 전이 일으키는 범인 찾았다
2016.04.11
연구
팀
은 유방암 전이 조직에서 다량 발견되는 마이크로RNA인 miR-5003-3p에 주목했다. 연구
팀
은 암 세포가 서로 뭉치게 해 전이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카데린(E-cadherin) 단백질과 암 전이를 유도하는 단백질(Snail)을 분해하는 MDM2 단백질의 발현이 이 마이크로RNA에 의해 억제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 ...
인공아가미 ‘트리톤’ 개발은 사기?...크라우드펀딩 위험 피하려면 이렇게!
2016.04.09
펀딩 사기 사례 헌데 인디고고나 킥스타터 같은 크라우드펀딩 사이트에서 사기를 치는
팀
들이 사실은 꽤 있습니다. 펀딩만 받고 잠적해버리거나 애초에 후원자들에게 약속한 것과는 전혀 다른 제품을 내놓거나 하는 경우죠. 후자의 경우는 딱 잘라서 사기라고 말하기 어려울 수도 있겠습니다만, ... ...
[강원도 춘천 여행] 고민 많다면? 춘천호, 게스트하우스로!
2016.04.07
없다고 했으니까. 혼자가 아닌 친구와 함께 하는 것이니 용기를 냈다. 앞서 출발하는
팀
을 보면서 과연 잘 탈 수 있을까 두려움이 커지는 순간 - 고기은 제공 드디어 출발이다. 생애 첫 카약여행이 시작되었다. 물 위에 둥둥 떠 있는 상태가 되니 마음은 초긴장 상태가 되었다. 머리는 백지상태가 ... ...
[리우를 향해 뛴다!] 금메달의 과학…생체시계를 리우에 맞춰라
동아일보
l
2016.04.07
이내에 시차적응이 이뤄지지 않으면 오랜 시간 생리적 이상현상이 발생하므로 개인 및
팀
사정에 맞게 멜라토닌과 빛을 적절히 사용하고 카페인 등을 이용하는 방법도 고려해야 한다. ● 최고의 경기력을 위한 에너지원 유지 인체에 필요한 영양소 중 활동량이 많은 운동선수에게 주 에너지원으로 ... ...
초신성 폭발로 지구 생명체 죽는 ‘킬존’은 어디까지
2016.04.07
“이 기간 동안 여러 개의 초신성이 연쇄적으로 폭발했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연구
팀
은 650만~870만 년 전에도 비슷한 방식으로 다른 초신성이 폭발한 사실도 알아냈다. 두 초신성은 모두 지구에서 약 300광년 거리에 떨어져 있고, 크기는 태양의 약 9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이드리언 ... ...
뇌 신경세포 실시간 관찰하는 바이오센서 ‘파도’ 개발
2016.04.06
파도를 이용하면 형광 색 변화를 통해 간단하게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실제로 연구
팀
은 인간 세포에 파도를 연결해 1초 이내의 찰나의 순간에 생긴 산성도 변화를 1000분의 1초 수준으로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또 파도에 전기적 자극을 가해 산성도를 조절하면 주변 다른 세포 산성도에도 ... ...
이전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