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1. 레이저로 측정 한계 극복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수 있다.2000년 홀과 헨쉬 교수는 비슷한 시기에 이 아이디어를 실제로 구현해내는데
성공
했다. 그들의 방법에서는 세슘원자시계와 광주파수가 한 치의 오차도 없이 광주파수 빗 간격의 정수배로 연결되고, 특정 광주파수 성분은 간단한 수식으로 계산된다. 이렇게 해서 홀과 헨쉬 교수는 한번에 100만 ... ...
황새야 행운을 물어다다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내에 황새복원연구센터가 설립돼 사육을 시작했고, 6년만인 2002년에 처음으로 번식에
성공
했다. 현재 33마리의 황새가 사육 중에 있으며 유전적 다양성 확보를 위해 매년 새로운 개체를 시베리아에서 사오고 있다. 2012년 한국도 야생 방사 계획황새복원연구센터는 앞으로 7년 뒤인 2012년 시험방사를 ... ...
벼룩 닮은 슈퍼 고무 탄생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DNA에서 발견된 레실린 유전자를 대장균에 삽입해 실험실에서 레실린 단백질을 만드는데
성공
했다. 문제는 각각의 단백질을 연결해야 한다는 점이었다. 연구팀은 단백질 분자에 루테늄(Ru) 금속촉매를 넣고 하얀 빛을 약하게 비춰 단백질들이 서로 결합하도록 했다 ... ...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카메라를 비롯해 LMT에 필요한 기계는 이미 제작이 끝난 상태다.시험 결과 아즈텍은
성공
적이었다. 아즈텍으로 우리 은하 주변의 밝은 은하와 오리온성좌를 찍었다. 새로운 카메라를 제작하면 1~2년 동안은 시험하면서 기술을 보완하는 경우가 많은데 아즈텍은 별 문제가 없었다. 윤 교수는 오는 11월 ... ...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지질학자 아버는 연에 디지털카메라를 매단 뒤 땅에서부터 50~150m로 띄워 올려 촬영에
성공
했다. 비행기보다는 낮고 고층빌딩보다는 높은 중간 높이라 이렇게 독특한 색깔, 질감, 해상도를 얻을 수 있었다고 ... ...
천문학자 울린 샛별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금성과 태양간의 정확한 거리를 얻기란 그의 방법으로는 어렵다.만약 당시 관측에
성공
하고도 바라던 결과를 얻지 못했다면 르장티는 훨씬 더 낙담하지 않았을까 ... ...
우주 할아버지의 분노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교수는 “지구에서 121억 광년 떨어진 별에서 감마선 폭발이 일어나는 장면을 보는데
성공
했다”고 미국항공우주국(NASA) 뉴스에서 최근 밝혔다. 감마선 폭발은 우주에서 일어나는 여러 폭발 현상 중 가장 에너지가 높은 폭발이다. 주로 별이 죽어서 블랙홀이 될 때 주변 물질을 잡아먹으며 일어난다고 ... ...
위성영상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더 큰 문제는 국내 위성영상의 해상도 규제 기준이다. 오는 11월 아리랑위성 2호가
성공
적으로 궤도에 안착할 경우 한국은 세계에서 해상도 1m급의 정밀 위성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다섯 번째 나라가 된다.현재 정부는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의 자회사인 KAI이미지를 비롯해 아리랑 2호가 찍은 위성영상 ... ...
도둑 발목 잡는 철통보안 동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적용을 검토 중이다. 경찰과 지자체가 다양한 셉테드 기법을 시범운영한 후
성공
적인 부분을 실무매뉴얼로 만들어 지방부처, 단체와 기관에 배포해 활용하도록 권고할 예정이다.이번에 우리나라에서 셉테드 시범운영 지역으로 선정된 곳은 경기 부천시 심곡동, 소사본동, 원미1동이다. 시범지역의 ... ...
3. 생명은 빛보다 빠르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독일의 사크만과 네어 박사가 세포막에 붙어 있는 이온 통로 하나만을 떼내 연구하는데
성공
했다”고 말했다. 이들은 노벨상을 받았다.생명의 찰나를 보게 되면서 응용의 길도 활짝 열렸다. 매운맛수용체, 즉 캅사이신 수용체를 연구하고 있는 서울대 약학과 오우택 교수(통증발현 창의연구단)는 ... ...
이전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