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프로필
프로파일
알선
피난
철수
명도
추천
d라이브러리
"
소개
"(으)로 총 5,121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쇠솥으로 지은 밥은 왜 맛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오래전부터 뛰어난 주조기술과 제작 경험을 축적해왔음은 이미 사료를 통해 충분히
소개
돼왔다. 무쇠솥도 오랜 경험과 정확한 계산에 의해 제작된다. 일단 주재료인 쇠에 대한 이해와 경험이 없고서는 양질의 솥을 만든다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솥 하나를 완성하기까지 보통 네단계를 거친다. ... ...
퀴리부부, 라듐의 존재를 입증하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이런 연구가 알려진 이후 세간에 라듐이 암과 피부병, 다른 만성 질병의 특효약으로
소개
돼 라듐산업 붐이 일어나기도 했다.라듐을 이용한 치료법은 그후 ‘퀴리 요법’으로 알려지게 됐다. 하지만 이 라듐은 교통사고로 남편을 여의고 홀로 남은 마리 퀴리에게 방사능 오염에 의한 만성 백혈병을 ... ...
회의주의자들의 사전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그러면 어떻게 버뮤다 삼각지대 미스터리가 생긴 것인가?답변이 궁금한 사람들은 이번에
소개
하는 ‘회의주의자들의 사전’에서 ‘버뮤다 삼각지대’를 읽어보기 바란다. 미국의 한 대학 철학과 교수가 운영하고 있는 이 사이트의 매력 중 하나는 한글로 번역된 홈페이지가 있어 언어장벽에서 ... ...
② 영화의 완성도, 과학자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물리학전문지 ‘피지컬 리뷰’에 곧 실릴 예정인 음파발광 관련 최신 실험결과를
소개
하기도 했다. 미국 렌셀러공대의 리처드 라헤이 박사와 오크리지국립연구소의 루시 테일야칸 박사가 머그잔 크기의 시험관에 초음파를 쏘자 작은 기체방울이 생겼다가 터지면서 엄청난 에너지를 발산했다는 ... ...
과학책과 연애하는 행복한 번역가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쉬웠다”는 말이 빠지지 않는다. 결국 “자신이 읽은 좋은 책을 다른 사람들에게
소개
하는 이 일을 기쁘게 즐기면서 한다”는 태도가 독자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는 비결 아닌 비결인 셈이다.책벌레와 드라마광 사이원래 이 교수의 전공은 ‘원자에 레이저를 쏘면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와 같은 ... ...
세계 최대의 온라인 가상연구소 '이노센티브' 출범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바꿀 10가지 발명품’ 이란 특집 기사에서 이노센티브를 10가지 미래기술과 함께
소개
하기도 했다.세계적 제약회사 일라이 릴리가 투자해 만든 이노센티브는 현재 화학과 생명과학 관련 기업과 과학자를 인터넷으로 연결해주고 있다. 한국어 사이트 개설을 기념해 내한한 이노센티브의 대런 J. 캐럴 ... ...
무선 네트워크에 번개가 뜬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아니라 재해 발생 지역이나 재난 구조 현장 등으로 응용범위가 넓혀졌다. 그러나 처음
소개
되고 상당한 시간이 흘렀지만 그 개념을 현실화할 수 있는 휴대용 컴퓨팅과 무선통신 기술의 부족으로 시장에서는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이 기술이 다시 조명을 받게 된 것은 1990년대 중반. 당시 기반 ... ...
로또 당첨확률 높이려면?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대신 이번 수학퍼즐에서는 수학을 이용해 그럴듯하게 로또의 확률을 높이는 방법을
소개
한다. 퍼즐마니아 조창연 님의 작품이다.지금 당신 앞에 검은 양말과 하얀 양말이 여러 켤레 놓여있다고 가정하자. 눈을 감은 채 양말을 골랐을 때, 같은 색 양말 한켤레를 확실하게 만들려면 최소 몇짝의 ... ...
3. 배아 줄기세포 치료이용, 그 머나먼 길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온라인뉴스는 일본 도쿄대 요시무라 연구팀이 개발한 새로운 유방성형 수술법을
소개
했다. 실리콘이나 식염수보형물 대신 환자의 엉덩이에서 뽑아낸 지방을 가슴에 넣었다는 것이다.사실 생화학적으로 보면 유방은 70%가 지방세포로 이뤄진 지방덩어리다. 따라서 빈약한 가슴에 환자 자신의 지방을 ... ...
살아 숨쉬는 갯벌에서 느끼는 감동과 전율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다양한 삶과 변화를 담아 호평을 받았다.전작 ‘갯벌은 살아있다’ 는 갯벌 생물들을
소개
하고 갯벌의 존재를 부각시키는데 큰 역할을 했지만, 제작여건의 한계로 갯벌 생물들의 다양한 모습을 다루지 못한 아쉬움이 있었다. 그래서 ‘갯벌, 그후 10년’을 기획하며 도움을 요청한 PD에게 백 소장은 ... ...
이전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