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태양
손해
손상
햇빛
불리
훼손
상해
d라이브러리
"
해
"(으)로 총 13,04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장난감 연구하는 수학자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만화책은 이사할 때마다 버리는 경향이 있어요. 만화는 과거에 불량도서로 치부
해
많이 불태우기도 했고요. 사실 이 모든 게 우리 고유의 문화유산인데 말이에요. 오래된 장난감 하나만 봐도 그 시대를 엿볼 수 있잖아요. 어떤 색감이 유행했고 어떤 만화 캐릭터가 인기가 있었는지 말이에요. 그래서 ... ...
[과학뉴스] 인공 자궁 속에서 음메~!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이용하면 초미숙아들도 건강하게 자랄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 장치를 계속 개선
해
서 실제 미숙아를 대상으로 임상 시험을 할 예정”이라고 말했어요 ... ...
[공룡은 왜?] 공룡이 돌을 먹는다고? 용각류 위석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용각류는 공룡 중에서 몸집이 가장 큰 초식공룡이에요. 기린처럼 긴 목으로 나무 꼭대기에 있는 잎을 따 먹지요. 그런데 용각류 공룡들이 식물 이외에 돌도 먹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 하지요. 과연 위석은 어떤 역할을 했을까요? 앞으로 밝혀질 새로운 연구 결과를 기대
해
주세요 ... ...
Part 2. 사람이 만들고 바람이 키운 산불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동쪽으로 내려가면서 강한 바람이 불게 되죠. 우리나라의 역대 최대 산불이었던 2000년 동
해
안 산불과 1996년 고성 산불 모두 이 양간지풍이 키운 것이랍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긴급취재, 산불을 막아라!Part 1. 72시간 동안 태백산맥이 활활~!Part 2. 사람이 만들고 바람이 키운 ... ...
Part 1. 北 핵실험, 백두산 분화 가능성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장비에서 수집한 신호가 화산 활동과 관련된 것은 맞지만, 신호가 잦거나 많다고
해
서 곧바로 분화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아직 학계에서는 화산 분화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신호를 확인하지 못했다. 오펜하이머 교수는 “화산 분화 예측은 언제 어디서 일어날지 모르는 지진 예측 ... ...
[Origin] 이기적 유전자는 왜 중요한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많은 이들이 리처드 도킨스가 ‘이기적 유전자’를 통
해
이룬 학문적 업적을 깎아 내린다. 그러나 ‘복제자’와 ‘운반자’ 개념을 구분
해
자연 선택의 단 ... 일관되게 통합시켰다. 도킨스가 지난 이십여 년간 과학의 대중화에 몰두했다고
해
서 그가 일군 업적까지 깎아 내릴 필요는 없다 ... ...
Part 2. 무리생활을 하는 동물의 게임이론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나온 한 마리가 아닌 무리 전체를 뒤쫓을 수 있기 때문에 자칫하면 무리 전체가 위험
해
질 수도 있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수학탐험 동물왕국의 능력자Part 1. 기이한 술법 3가지Part 2. 무리생활을 하는 동물의 게임이론Part 3. 둔갑과 은신을 위한 ... ...
잇고! 끊고! 즐기고! 스위칭 게임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걸 밝혔어요. 따라서 헥스 정리가 참이니 부동점 정리도 참이 되고, 부동점 정리를 이용
해
게임이론의 핵심내용인 ‘내시 균형이 항상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힐 수 있었죠. 수학에서는 재미있는 게임이 때때로 엄청난 발견으로 이어집니다. 여러분도 게임을 수학적으로 분석하다 보면 새로운 ... ...
[쇼킹 사이언스] 과학자들도 풀지 못한 파도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올록볼록한 모양이 반복되는 신비한 파도를 본 적 있나요? 이 파도는 ‘
해
빈 커습(beach cusps)’이라는 현상이랍니다.
해
빈 커습은 보통 모래나 자갈이 많은 ... 단점이 있어요.이처럼 수많은
해
양 과학자들이 이 문제를 풀기위
해
도전했지만, 아직까지도
해
빈 커습은 난제로 남아 있답니다 . ...
Part 5. 숲 속의 다람쥐는 언제쯤 돌아올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속도는 식물의 회복 속도에 달려 있다고 말하고 있어요. 동물이 먹는 식물이 우선 건강
해
야 한다는 것이죠. 그래서 동물들의 회복은 산림 생태계 전체의 회복을 보여 주는 지표랍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긴급취재, 산불을 막아라!Part 1. 72시간 동안 태백산맥이 활활~!Part 2. 사람이 ... ...
이전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