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시
조사
감시
검사
조회
목격
지각
뉴스
"
관찰
"(으)로 총 4,700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유전자 교정 시작됐다… 세계 첫 임상시험 中 연구진이 시작
2016.11.16
마친 뒤 6개월 동안 주입한 면역세포가 몸 안에서 제대로 작용하는지, 부작용은 없는지
관찰
할 계획이다. 이번 실험을 통해 중국은 유전자치료 시장에서 미국을 앞서게 됐다. 미국은 중국보다 2017년 초 임상을 시작할 예정이다. 이번 임상시험 소식을 접한 칼 준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 ...
보노보도 노안은 못 피해!
2016.11.14
영장류연구소의 연구자들은 콩고민주공화국 왐바 지역에 사는 야생 보노보 무리를
관찰
한 결과 사람과 비슷한 시기에 노안이 찾아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학교 박사과정인 류흥진 씨가 논문의 제1저자이자 교신저자다.) 연구자들은 보노보의 털 고르기 장면을 촬영해 이런 사실을 밝혀냈다. 털 ... ...
[표지로 읽는 과학]그린란드에 살던 바이킹 후손들은 15세기 왜 갑자기 사라졌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6.11.14
자란 쥐의 뇌에 이식했을 때 뉴런이 제대로 자라 다른 뉴런과 연결되는 모습을 처음으로
관찰
하고 논문으로 발표했다. 다 자란 포유류의 뇌는 사고나 질병으로 손상됐을 때 극히 재생되기 어렵다. 과학자들은 분화능력이 있는 세포인 ‘배아줄기세포’를 뇌의 상처부위에 이식해서 뉴런을 다시 ... ...
‘오늘 밤’ 역대 최대 크기 ‘슈퍼문’ 뜬다
2016.11.13
400㎞)보다 2만8000㎞가량 더 가깝다. 이번보다 더 지구와 가까워진 달은 18년 후인 2034년에
관찰
할 수 있다. 천문연 측은 “달과 지구의 물리적인 거리가 조금 더 가까워지긴 했지만 대기의 상태 같은 주관적인 부분도 작용하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큰 차이를 못 느낄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곤충로봇 이용해 나방 날갯짓의 비밀 풀었다
2016.11.10
‘박각시 나방’을 5배 크기 로봇으로 제작한 뒤, 공기가 아닌 물속에서 날갯짓을
관찰
했다. 물속에서는 로봇의 날갯짓이 실제 곤충의 속도보다 250배 느리게 움직이면서도 10배 강한 힘을 내기 때문에 물체의 운동 특성을 쉽게 분석할 수 있다. 연구진은 속도에 따른 힘의 변화를 측정하고, 날개 ... ...
질투하는 사람은 조직마다 꼭 있다
과학동아
l
2016.11.10
산체스 교수팀은 실험참가자 541명을 150개 그룹으로 나눠 문제 상황에 어떻게 행동하는지
관찰
했다. 그리고 행동 양상을 낙관형과 비관형, 신뢰형, 질투형 등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눴다. 실험 결과 연구팀은 그룹마다 네 가지 유형이 비슷한 비율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질투형이 30%로 가장 ... ...
표범의 추억
2016.11.08
때 자주 가던 파리식물원에서, 창살 너머 좁은 우리 안을 무의미하게 왕복하는 표범을
관찰
한 결과다. 당시 로댕은 젊은 릴케에게 “자연 앞에서 화가나 조각가처럼 냉혹할 정도로 사물을 파악하고 모사하려는 엄격한 훈련을 하라”며 시간이 날 때마다 파리식물원에 자주 들르라고 권했다. 이 ... ...
귀 없는 깡충거미가 소리를 듣는 방법은?
2016.11.08
확인했다고 하는데요. 깡충거미의 시각 정보 처리 방법을 연구하며 뇌 신경 기록을
관찰
하던 중 한 연구원의 의자가 삐걱거리는 소리가 났습니다. 바로 그 때, 깡충거미의 뇌 신경 기록이 튀어 올랐습니다. 이를 본 연구원은 다시 한 번 더 소리를 냈습니다. 그러자 뇌 신경 기록이 또 튀어 ... ...
우울할 땐 암산이 약이다
수학동아
l
2016.11.07
간단한 뺄셈 문제를 풀게 하면서 fMRI(기능성자기공명영상)를 찍어 뇌의 활동을
관찰
했습니다. 그 결과 뇌에서 감정 조절을 담당하는 전전두엽 피질이 활성화됐습니다. 전전두엽 피질이 반응하지 않으면 우울한 감정을 느낍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자기장으로 이 부분을 자극하여 우울증을 치료하기도 ... ...
통계적 가설 검정과 입증의 책임
2016.11.06
도입되어 일부 성공 사례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사람을 대상으로 해서 얻어지는
관찰
데이터의 특성상 엄격한 의미에서의 통제된 실험은 불가능하므로 어떠한 정책으로 인해 인과관계를 입증하기는 어려운 것도 사실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론이 최근 많이 ... ...
이전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