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리광학
광학
물리학
뉴스
"
물리
"(으)로 총 5,292건 검색되었습니다.
컬링 선수의 빗자루질 뒤에
물리
학이 있다
2018.02.12
스톤들이 충돌할 때도 또 다른
물리
학의 작용이 일어납니다. 미국 플리머스 주립대학의
물리
학자인 조지 튜틸은 “두 스톤이 충돌하며 운동 에너지가 이동되는 순간은 관중을 더욱 흥분시키는 요소가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출처 및 참고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761524/ http://www ... ...
[표지로 읽는 과학] 태양 폭발, 강력한 태양 자기장 뚫을 수 있어야 나타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2.11
자기장과 관계된 일러스트가 장식했다. 타하르 아마리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 이론
물리
센터 연구원은 태양 표면의 폭발 현상을 설명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해 과학전문학술지 네이처 2월 8일자에 발표했다. 맨틀과 외핵 등 일부가 유체, 나머지는 고체로 구성된 지구와 달리 태양은 표면에서 ... ...
영화 다운사이징처럼 내 키가 12.7cm라면?
과학동아
l
2018.02.09
어려워 엔트로피 문제도 걸린다. 박용섭 한국
물리
학회 대중화 위원회 위원장(경희대
물리
학과 교수)은 “사람뿐 아니라 물체의 크기를 기하급수적으로 늘리거나 줄이는 기술은 존재하지 않는다”면서 “영화의 설정처럼 사람의 크기가 마술처럼 줄어든다면 무질서한 정도를 의미하는 엔트로피의 ... ...
지진 조기 탐지의 진화...위성 정보로 대형 지진 정밀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18.02.09
집중적으로 설치해 대형 지진을 감시한다. 헤라르도 수아레스 멕시코국립자치대 지구
물리
연구소 교수는 지난해 9월 멕시코 남부 해안에서 규모 8.2의 강진이 발생했을 때의 실제 경보 발령 사례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수도 멕시코시티에 지진파가 도착하기 2분 전에 경보가 발령됐음을 확인했다. ... ...
“암세포 되기 전 퇴치” 종양줄기세포 찾아 없애는 물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02.07
종양줄기세포에만 결합하는 형광물질 TiY를 찾는 데 성공하고 그 기능을 확인해 독일응용
물리
학회지(앙게반테케미) 1월 26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자체적으로 구축한 형광 유기 물질 데이터베이스에서 종양줄기세포에 결합할 가능성이 있는 후보물질 1만 종을 추렸다. 그 뒤 이들 가운데 ... ...
佛연구팀, 눈송이의 비밀 수학으로 풀었다
수학동아
l
2018.02.06
모형을 컴퓨터에 넣고 가상으로 눈결정을 성장시키자 놀라운 결과가 나타났다. 일본
물리
학자 나카야 우키치로가 정리한 ‘눈결정 도표’에 있는 가장 복잡한 눈결정까지 모두 3차원으로 재현하는데 성공한 것이다. 나카야 우키치로는 일생을 눈 연구에 바쳐 눈 결정의 형태를 분류했으며, ... ...
[도전!섭섭박사 실험실] 스트링 아트 조명등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2.06
하다가 전선 주변에서 나침반이 이상하게 움직이는 걸 발견했어요. 이후 1831년, 영국의
물리
학자 ‘마이클 패러데이’가 이 발견을 바탕으로 ‘전자기 유도 법칙’을 발표했답니다. 전자기 유도 법칙은 자기력의 변화가 전기를 만들어 낸다는 내용을 담고 있지요. 조명등에 달린 손잡이를 잡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
2018.02.06
붕괴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면 그 동위원소에 고유한 반감기가 나온다는 건
물리
학의 미스터리 가운데 하나다. 흥미롭게도 연구자들은 논문에서 벌거숭이두더지쥐의 반감기를 언급하고 있다. 즉 늙지 않는 동물의 경우 최대수명은 의미가 없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대신 나이에 관계없이 ... ...
[영재교육원 탐방] 내 안에 있는 영재성을 찾는 곳, KAIST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8.02.06
프로젝트 수행을 위해 카드를 이용한 확률 계산을 하고 있다. - 고호관 제공 수학,
물리
, SW가 중요해 1993년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이 생긴 이래 수학과 교수가 원장을 맡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작년에 부임하고 보니 화학이나 생물 쪽 교육의 비중이 컸습니다. 아무래도 초중등 학생이 많은 ... ...
‘위성은하’가 우주에서 줄 맞춰 도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8.02.02
일정하게 회전하고 있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올리버 뮐러 스위스 바젤대
물리
학과 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은하의 위성은하들을 관측한 뒤 움직임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일자(현지시간)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지구에서 ... ...
이전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