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뉴스
"
볼
"(으)로 총 6,941건 검색되었습니다.
얼음 왜 미끄럽지… 과학계도 갑론을박
동아사이언스
l
2018.02.23
설명했다. 압력과 온도에 따른 얼음의 형태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자연상태에서
볼
수 있는 얼음은 왼쪽 아래의 Ice Ih 뿐이다. 영하 20도 이하의 얼음을 녹이려면 2000기압 정도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
망원경 21대 모아 직경 5000km 전파 망원경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2.22
망원 경 사이의 거리는 가장 짧게는 6km, 최대 5000km 까지 떨어져있다. 가장 높은 해상도로
볼
경우 한라산 꼭대기에서 서울에 있는 동전 속 글씨를 읽을 수 있을 정도의 분해능을 갖는다. (출처: Nature Astronomy) 21개나 되는 망원경을 다양하게 조합하고, 2.3GHz에서 43GHz까지 다양한 주파수에서 작동할 수 ... ...
‘다모증 팔뚝’ 화제의 이미지
팝뉴스
l
2018.02.21
의심스러워 하지만 아무리 봐도 팔뚝 부분이다. 사진 속 사람은 한 극단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다른 극단에 무모증 사람이 있다면 반대로 털이 많이 자라는 체질을 갖고 있는 것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 ...
겨울철 미세먼지, 왜 더 독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2.20
1000~1500m 높이에 형성되는 봄철과 비교하면 훨씬 지표면 가까이에 압축돼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체된 미세먼지가 계속 쌓이게 되기 때문에 고농도 미세먼지로 발전할 가능성도 높은 셈입니다. Q. 중국 영향도 크지 않을까요? 국립환경과학원은 서울시가 최초로 수도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
2018.02.20
그의 설탕 연구가 “버터지방에 씌워진 죄를 벗겨주는데 도움이 되는 변칙 전략”으로
볼
수 도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데이터 신봉자’인 헤그스테드는 엄밀한 연구는 뒷전이고 이런 말을 하고 돌아다니는 유드킨을 지켜보며 한 동료에게 쓴 편지에서 “유드킨은 바람직한 영양 정책을 ... ...
4차산업혁명 핵심인데...올 고교 신입생은 수능 수학에서 기하 안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2.19
비판했다. 이승훈 유원대 교양융합학부 교수는 “학습부담 경감을 더 중요하게
볼
것인가, 경쟁력 약화를 더 우려할 것인가”라고 반문하며 “기하 과목이 개정되며 대폭 축소된 것은 국가경쟁력 측면에서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이날 공청회에서 나온 각계 의견을 ... ...
[팔라우 힐링레터] 바다 속 포켓몬? 피카추를 닮은 갯민숭 달팽이
2018.02.18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은 포켓 몬스터 시리즈에 등장한 귀여운 케릭터 피카추. 남녀노소 불문하고 누구나 좋아한다. 수많은 캐릭터 상품이 ... 피사체이기도 하다. 맨 손으로 잡을 수도 있다. 왜냐하면 이 피카추는 몸에서 10만
볼
트의 강력한 전기와 번개가 방출되지 않기 때문이다. ... ...
우리 아이 뼈 건강은 구기종목이 책임진다!
2018.02.18
한 아이들의 골밀도는 다리에서 7%, 몸 전체에서 3% 증가해 뼈 건강이 향상되었음을
볼
수 있었는데요. 8~10세 아이들의 골밀도가 향상되면 근력과 신체 균형도 좋아져 훗날 골다공증과 같은 질병을 예방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결국 건강에는 좋은 음식을 먹는 것만큼이나 운동이 ... ...
평창 동계올림픽 무대로...마침내 모습 드러낸 5세대 이동통신
2018.02.16
뷰 등의 기술이 더해지면서 앞으로 새로운 통신 기술이 만들어낼 환경을 미리 경험해
볼
수 있습니다. 5세대 이동통신이 바라보는 미래는 이전까지의 통신 환경과는 많은 부분이 다릅니다. 그 목표는 단순한 속도 경쟁이 아닙니다. 우리가 그동안 네트워크의 한계 때문에 스스로 머릿속에 만들어낸 ... ...
냉동인간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8.02.16
뇌는 냉동인간 기술의 난제로 남아있는 만큼 냉동인간 기술의 돌파구가 제시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한국에 들어온 냉동인간 기술이 처음 접목될 분야는 이식용 냉동 장기다. 신장, 폐, 심장 등의 고형 장기가 체외에서 생존할 수 있는 시간은 4~8시간 정도다. 이식을 받아야 할 환자들이 있어도 ... ...
이전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