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d라이브러리
"
거리
"(으)로 총 4,485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람을 멈추게 한 거문고 소리
과학동아
l
199107
성운은 14등급으로 작은 망원경으로 찾기에는 너무 어둡다. 이 성운은 약 1천광년의
거리
에 있으며 가장 가까운 행성상 성운에 속한다. 미남별, 견우여름이 깊어 가면서 하늘 낮은 곳에 머무르던 밤하늘의 미남별 견우도 하늘 높은 곳으로 자리를 옮긴다. 그리고 이 무렵이면 이 별과 직녀별, 그리고 ... ...
태양표면 폭발로 지구 자기폭풍발생
과학동아
l
199107
적도까지 오로라가 내려간 일도 있었다. 또 자기폭풍은 단파(短波)를 이용하는 원
거리
통신에 장애를 일으키는데 이 현상을 최초로 발견한 사람의 이름을 따서 '델린저'현상이라고 부른다 ... ...
세계 과학기술력의 판도가 바뀌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07
의해 이 낙관론은 여지없이 무너졌다. 연구상의 진보는 기술 개발과는 상대적으로
거리
가 먼 지구과학이나 환경분야에서 이뤄진 것이고 기술개발의 핵심분야인 컴퓨터과학 전기공학 통신공학 로보틱스 기계공학 등은 오히려 80년대 후반이후 급격한 쇠퇴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소의 ... ...
더 빠르게 더 강력하게
과학동아
l
199107
최소화한다.이런 이유때문에 부품들은 일렬로 늘어선 형태가 아니라, 서로가 최소한의
거리
로 연결되기 위해 원통형으로 모아졌다. 모든 배선의 길이는 1.2m가 넘지 않도록 꾸며졌고, 배선을 위해서 조그마한 몸집의 조립여공이 원통속에서 작업을 했다. 게다가 복잡한 배선을 감추기 위해 원통의 ... ...
(3) 창조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07
수 있다. 이러한 지역 간에는 비슷한 환경일지라도 서로 다른 종들이 살고 있다. 서로
거리
가 멀면 멀수록 그 지역들에 사는 생물들 사이의 차이는 더 커진다. 창조론에 따르면 생물이 한 시기에 창조됐고 그 후 한차례 있었던 천재지변에 의해 많은 생물들이 죽고 노아의 방주에 탄 생물만 살아 ... ...
1백m를 10초내에 주파한다
과학동아
l
199107
5백㎏ 정도의 2족보행 공룡(텍사스에서 발자국 발견)의 12m/초. 이 수치는 가장 우수한 단
거리
선수의 기록보다 약간 빠른 것이다. 대형공룡의 속도는 여기에 훨씬 미치지 못한다. 대형인 사우로포드류는 약 1m/초로 사람이 걷는 속도에 불과하다.대형 육상동물이 어떻게 자기 몸무게를 유지했을까에 ... ...
금성이 반달처럼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199107
때문에 결코 태양으로부터 어떠한 각
거리
이상 멀어질 수 없다. 바로 이 한계가 되는 각
거리
를 내행성의 최대이각이라고 한다. 내행성이 태양의 동편, 서편에 있을 때의 최대이각을 각각 동방최대이각, 서방최대이각이라고 부른다. 행성들의 궤도는 거의 원에 가깝기 때문에 동방최대이각과 ... ...
동물계의Mr. 클린 오소리 "나와 너구리를 같이 취급하지 말라"
과학동아
l
199107
받은 뒤 동물원에 기증되기도 했다.그러나 이제는 기증자도 없을 뿐만 아니라 시장
거리
에서 판매되는 경우도 거의 찾아 볼 수 없다. 이러한 현상은 오소리가 살만한 장소가 농경지로 개간돼 점차 멸종돼 가고 있기 때문이다.포유동물인 오소리는 식육목(目) 족제비과(科) 오소리아과(亞科) 오소리속 ... ...
현장경험 강조하는 독일의 실용공학
과학동아
l
199107
졸업했고, 그 전공을 더 발전시키려 했던 것은 아니다.한국에서의 내 전공은 공학과는
거리
가 먼 독문학이었다. 그러나 대학 진학 후 줄곧 전공에서 느껴야했던 몸에 맞지 않는 옷과 같은 느낌때문에 결국 3학기가 끝나갈 무렵 나는 독일 유학을 선택하게 됐다. 독문학도였던 내게 독일은 그리 낯선 ... ...
2 헛발질할 때도 있는 「세계정상」
과학동아
l
199106
간섭에도 영향을 받기 십상이다.특히 빌딩과 움직이는 물체로부터의 반사는 기장 큰 골칫
거리
다. 아날로그신호가 빌딩에 반사할 때는 스크린에 '고스트'(多重像)로 비치는데 이것이 실상과 근사하면 그런대로 봐줄만하다. 그러나 디지털신호의 경우에는 단 한번의 반사도 그림을 완전히 망가뜨릴 수 ... ...
이전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