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발
개척
경제
연구
발달
발전
발육
d라이브러리
"
개발
"(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상상력이 둥둥~! 인공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기술을 이용해 물 속에 부유체를 만들고, 이 부유체를 중심으로 양식장을 만드는 기술을
개발
할 예정이랍니다.그렇다면 햇빛이 들지 않는 나머지 공간은 어떻게 이용해야 할까요? 이 공간은 놀랍게도 실험실이나 공장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어요. 바다 속은 압력이 매우 높아요. 대략 10m마다 ... ...
Part 3 특종 인공번개 쏴라~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그리고 눈앞에 있던 빈 깡통을 쐈다. 깡통은 움츠러들면서 작아졌다. “내가
개발
하고 있는 전자총이에요. 작은 인공번개를 쏘아 쓰레기를 녹이지요. 핫하하!”쿵쾅쿵쾅 쉴 새 없이 울려대는 새가슴을 쓸어내렸다. 인공번개는 여러 분야에서 활약할 수 있구나…. 앞으로는 인공번개가 아닌, 실제 ... ...
PART 2 두 번의 암흑기와 세번째 봄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시스템이 시초다. 잘 알려진 전문가 시스템으로는 1970년대 미국 스탠포드대에서
개발
한 백혈병 진단·처방 프로그램인 ‘마이신’이 있다. 먼저 환자에게 다양한 질문을 던진 뒤, 의사로부터 이식 받은 의학지식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환자의 병명을 판정한다. 어떻게 그런 결론에 도달했는지 ... ...
INTERVIEW 글로벌 기업 바짝 추격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기업들이 산업을 견인해 주니까요. 마음껏 연구할 수 있게 됐습니다.”그는 “우리가
개발
한 기술이 민간에 많이 퍼졌으면 좋겠다”고 소망을 밝혔다. “본격적인 사물인터넷 시대가 열리면 음성인식 기능이 모든 사물에 들어갈 겁니다. 조만간 음성인식 시장이 확 커질 거예요. 저희는 매일 행복한 ... ...
Part 3. 빛이 있으라! 결정적 순간 5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모래의 주성분인 이산화규소로 전세계를 연결하는 광섬유의 시대를 연 것이다.광섬유를
개발
하고 몇 년 뒤, 미국에서 일하고 있던 카오에게 두 통의 편지가 도착했다. 하나는 카오가 사악한 요정(지니)을 병에서 꺼냈다며 그를 위협하는 편지였고, 다른 하나는 멀리 있는 부인에게 점심을 가져다 ... ...
소프트 로봇, 개미 산 채로 집어 들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교수팀은 지름이 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 단위인 특수한 튜브로 로봇 촉수를
개발
해 가슴둘레가 400μm인 개미를 다치지 않게 들어 올리는 데 성공했다.연구팀은 마이크로튜브가 공기를 넣으면 펼쳐지고 빼면 돌돌 말리는 성질을 이용해 촉수를 움직였다. 성능 평가 결과 반지름이 185μm인 ... ...
광장에 몇 명 모였나? WIFI로 센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관측한 것이다.연구팀은 이 현상으로부터 사람 수를 역으로 추정하는 수학 모델을
개발
했다. 실내외에서 실험한 결과 최대 9명까지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었다. 모스토피 교수는 “별도의 전파 수신 장비가 없는 사람의 숫자도 셀 수 있는 게 장점”이라며 “집에 있는 사람 수에 따라 난방 세기를 ... ...
세월호 인양7가지 질문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조류가 센 곳에서는 위치를 정확히 잡기 어렵다. 그나마 가능성이 있는 건, 최근
개발
된 해저 탐사용 게 로봇 ‘크랩스터 CR200’이다(왼쪽 위 사진, 과학동아 6월호 참조). 크랩스터는 다리 여섯 개로 몸을 지지해 초속 1m의 빠른 유속에도 버티면서 작업할 수 있다.세월호 인양에 크랩스터를 참여시킬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거듭 숙고해야 한다. 지금 우리 생활을 편리하게 만들어 준 모든 과학기술은 초기
개발
당시 그 시대의 양날의 검이었다는 역사를 기억할 필요가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터미네이터는 없다] INTRO 인공지능 유토피아 vs. 디스토피아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PART 2 두 번의 암흑기와 ...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오래전부터 이런 태양빛을 어떻게 하면 더 잘 활용할 수 있을까 고민해왔습니다. 그래서
개발
된 것이 태양의 빛을 전기로 바꾸는 태양전지입니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태양전지를 보려면 자동차를 타고 농촌에 가야했습니다. 건물 옥상으로 올라 가거나요. 하지만 요즘은 주변에서 쉽게 볼 수 ... ...
이전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