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마하 15 극초음속 시대를 열어라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돌린다. 그리고 남은 에너지로 비행기를 추진시킨다. 하지만 생산한 에너지의 많은
부분
을 정작 비행기를 날리는 데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효율 면에서 떨어졌다.터보제트 엔진의 이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나온 대안이 램제트 엔진과 스크램제트 엔진이다. 이 엔진들은 초음속 상태로 날아드는 ... ...
마스크와 손 씻기 신종플루 예방효과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사용할 때와 불충분하게 사용할때 결과에 차이가 컸다. 이는 세균이 많이 분포하는
부분
을 제대로 세정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또 항균 성분 외에 다른 첨가 물질의 함유량이 많아 항균 성분의 농도가 낮아졌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⑤ 고형 비누는 사용 전보다 사용 후 손의 세균 수가 더 증가했다. ... ...
사회기반시설 '평생 주치의'는 정보기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구축했다. 컴퓨터 모니터로 교량의 3차원 모형을 여러 시점에서 볼 수 있고 관심이 가는
부분
을 클릭하면 어떤 부품이 언제 어떻게 쓰였고 마지막 보수는 언제 했나 같은 구체적인 정보가 화면에 뜬다.“지금은 이런 걸 보려면 설계도와 관련 문서를 일일이 뒤져야 합니다. 이래서는 도저히 체계적인 ... ...
영화 ‘내 사랑 내 곁에’ 루게릭병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면역 반응을 일으킨다.루게릭병에서 일어나는 선택적인 운동신경세포 사멸이 상당
부분
이런 이웃 세포들에 의해 조절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돼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2003년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SD) 루드비히 암연구센터의 돈 클리블랜드 박사팀은 운동신경세포와 이웃한 세포들이 ... ...
고체 핵자기 공명 분광기로 연료전지 효율 진단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지금까지는 연료전지를 분석하기 위해 양극과 음극, 고체 고분자전해질막의 세
부분
으로 나눠서 고체 핵자기 공명 분광기에 넣어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그는 “연료전지를 해체하지 않고도 분석하는 ‘연료전지 제자리(in situ) 진단장치’를 개발해 각종 연료전지를 진단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 ...
사과를 가장 효율적으로 쌓는 법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다른 형태이면 어떤가 하는 문제도 흥미롭다. 예를 들어 물질을 이루는 분자의 모양은 대
부분
공 모양이 아니기 때문이다. 사실 이런 경우는 케플러의 문제보다도 더 어렵다. 과학저널 ‘네이처’ 8월 13일자는 크기가 같은 정사면체를 가장 빽빽하게 쌓은 세계 신기록을 표지 논문으로 다뤘다. 미국 ... ...
은빛 비늘에 뒤덮인 두툼한 속살 갈치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시집 못 가겠네’과거 섬지방 처녀들이 명절 때 부르던 강강술래 매김 소리 중 한
부분
이다. 처녀가 시집이라는 중대사를 앞두고 가장 생각난다고 할 만큼 갈치 뱃살은 맛이 있다. 갈치의 참맛은 가운데 토막이라고 하는 이유도 그 때문이다. ‘위도 큰애기 갈치 꼴랑지 못 잊어 섬을 못 떠난다’라는 ... ...
혈액형 진실게임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혈액을 원심분리하면 크게 세포성분인 혈구
부분
과 액체성분인 혈장으로 나뉜다. 이때 혈장에서 혈액응고에 관여하는 피브리노겐(섬유질) 성분을 제거하면 혈청을 얻을 수 있다. 혈청은 오줌 색깔과 비슷한 옅은 노란색을 띤다. A형 혈액의 혈청이나 B형 혈액의 ... ...
한글, 21세기를 위한 15세기 발명품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특히 시각정보를 처리하는 후두엽과 언어정보를 처리하는 좌뇌의 전두엽과 측두두정엽
부분
이 활성화된다. 그런데 난독증인 사람의 뇌를 보면 좌뇌의 활동성이 뚝 떨어져 있다. 즉 독서를 할 때는 보통 좌뇌가 우세한데, 난독증인 사람은 우뇌가 우세하다는 뜻이다. 그 결과 시각정보가 언어정보로 ... ...
세계 최대 익룡발자국 국내서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뼈화석이 추가로 발견될 가능성도 높아졌다.전 세계에서 발견된 거대 익룡 화석들은 대
부분
백악기 후기, 즉 공룡이 멸종하기 바로 직전(약 8000만~6500만 년 전)에 남겨진 것으로 밝혀졌다. 이전까지 가장 큰 익룡 발자국 화석이었던 해남이크누스의 발자국도 백악기 후기 지층에서 발견됐다. 이번에 ... ...
이전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