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d라이브러리
"
아래
"(으)로 총 5,599건 검색되었습니다.
01. 기묘한 생물 천국, 해저 5천m의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30분, 수중음파탐지기가 멀리 앞쪽에 뿌옇게 진흙이 일어난 듯 보이는 곳으로 안내하자
아래
쪽에 추, 위쪽에 해양관측부이가 달려있는 부양기가 시야에 들어왔다. 천천히 부양기에 접근한 잠수정은 로봇팔로 뚜껑을 열고 퇴적물 채취기를 집어들었다.개성 만점 생물들의 보금자리 첫번째 임무는 ... ...
당신의 주름살은 햇빛의 작품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맞아 8월의 해변을 찾은 사람들은 뜨거운 태양
아래
몸을 누인다. 대부분 선크림을 듬뿍 발랐겠지만, 이를 잊어버리거나 귀찮아하는 대범한 사람도 있을 것이다.그런 사람들은 피부가 금새 빨갛게 달아오를 뿐 아니라 심하면 피부가 벗겨지고 물집까지 생겨 고생한다. 상처가 낫고 나서도 피부는 ... ...
만약 태양이 둘이라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하지만 태양이 2개인 곳에선 이야기가 달라진다. 세상엔 태양이 2개고, 더이상 하늘
아래
유일한 존재가 되지 못한다. 유일한 사랑과 비교하기에 2개의 태양은 너무 많다. 오히려 태양이 2개 뜨는 세상에선 그 의미가 달라질 것 같다.쌍둥이처럼 닮았고 한시도 떨어지지 않고 언제나 함께 다니는 ... ...
지식의 바벨탑 코스모피디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게시판(c2.com)들이 성업 중이다. 다수가 참여하는 공개 위키 사이트 외에도 방화벽의 보호
아래
운영되는 개인 위키들도 늘고 있는 추세다. 최근에는 소셜텍스트(Socialtext, www.socialtext.com)와 같은 상업성을 표방하고 있는 응용소프트웨어들도 등장하기 시작했다.지식의 순환이 살아있는 지능을 ... ...
발사에서 도착까지 7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대부분은 이것을 이용하고 있다 기체가 화학반응에 관여 할 때 등온(等溫) · 등압(等壓)
아래
서 반응기체 및 생성기체의 부 피 사이에 간단한 정수비(整數比)가 성립한다는 법칙 기체분자의 운동에서 출발하여 기체의 성질을 논하는 이론 기체운동론이라고도 한다원자론 입장의 물성론으로서 최초의 ... ...
성(聖)스러운 시험에서 '세계의 파괴자' 로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라는 성스러운 이름이 붙여졌다. 시험을 지켜보는 이들은 모두 바닥에 엎드려 얼굴을
아래
로 하라는 명령이 떨어졌다. 하지만 아무도 이 명령을 지키지 않았다. 사진 기자들에게는 용접용 안경에 자외선 차단 로션이 지급됐을 뿐이었다. 무방비 상태로 원자폭탄의 구름 사진을 촬영했다고 해도 ... ...
대한해협 터널구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밝혔다.또 굴착기계를 사용하지 않고 발파 방식으로 터널을 뚫는다고 해도 해저 지면
아래
상당히 깊은 지점에서 발파가 이뤄지게 되므로 문제가 없다고 한다.육상에서 터널을 발파할 경우에는 인접 지역 목장이나 양식장의 위치가 고정돼 있어 가축, 어류의 이동이 자유롭지 못해 발파 진동으로 ... ...
6월 8일 금성일면 통과 현상 벌어져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대기로 인해 태양빛이 산란돼 나타난 현상이다. 왼쪽
아래
(03)는 자외선으로, 오른쪽
아래
(04)는 파장이 더 짧은 자외선으로 촬영한 이미지다.이번 금성일면 통과 현상은 1882년 이후 관찰된 이래 1백22년만에 일어났다. 다음은 2012년 6월 6일로 현재 사람들이 볼 수 있는 사실상 마지막 기회다. 그 다음은 2 ... ...
과학동아가 선정한 10대 웰빙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과학기술은 성장 위주의 정책에 끌려왔던 경향이 없지 않다. 성장 제일주의라는 구호
아래
‘돈 되는’ 상품 개발에만 연구비를 투자해왔기 때문이다. 지금도 미래 한국 경제를 이끌어나갈 차세대 성장 동력을 육성한다는 명분으로 한해 수조원의 연구비가 집중적으로 투자되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 ...
한반도는 지진의 안전지대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한번꼴”이라고 말했다.이런 주장에 대해 이 교수는 “규모 5.2인 이번 지진이 발전소
아래
에서 났더라도 별 문제는 없었을 것”이라며 “한반도에서 규모 6.5가 넘는 지진이 날 확률이 낮은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 교수는 “한반도 지진활동과 활성단층이 밀접히 연관돼 있는 것으로 ... ...
이전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