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뫼비우스의 띠 0.58:1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붙이면 여러 조각의 삼각형이 얽히고 설킨 특이한 곡면을 얻는다. 이 곡면은 경계의 모
양
이 삼각형으로 곡면의 일부가 삼각형의 안쪽을 통과한다. 이상해 보이지만 이 곡면도 뫼비우스의 띠다. 전개도는 동아사이언스 홈페이지(www.dongaScience.com)에서 다운받아 출력할 수 있다 ... ...
미래 과학자 하나로 묶는 여름 축제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한국 학생들의 모습이 인상적이었다”며 “LIYSF가 미래 과학자를
양
성하고 서로를 묶어주는 지렛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과학혁명의 출발지인 런던에서 열린 LIYSF는 미래 과학의 ‘희망’을 엿볼 수 있는 멋있는 여름 축제였다 ... ...
우주왕복선의 열손상 대처법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파동의 2중성을 고전적 입장에서 이해하기 위해 1927년에 W 하이젠베르크가 유도한 원리
양
자역학에서는 계의 상태를 가장 세밀하게 규정한 순수상태에서도 물리량을 측정한 결과는 반드시 일정 값을 주지 않고 여러 가지 다른 값이 각기 정해진 확률로 계산된다 1685~1731 영국의 수학자 I 뉴튼의 직접 ... ...
거꾸로 굴절하는 빛, 법정에 서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부르는데, 빛이 파악한 물체의 정보 중 빛의 파장보다 작은 크기에 대한 정보는
양
의 굴절률을 갖는 물질을 통과하면서 소멸되기 때문에 발생하죠. 그런데 저처럼 음의 굴절률을 갖는 물질은 이 정보를 거꾸로 증폭시킬 수 있습니다. 그래서 원리적으로 무한히 작은 물체도 정확히 볼 수 있습니다 ... ...
힘들지만 즐거운 아이디어 발전소!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감긴 코일을 진동시켜 전기를 만들자”는 의견을 제시했다. 하지만 조은별(학남중 1년)
양
은 반대했다. “소리의 진동을 전달하려면 고막이나 북처럼 넓은 판이 필요하다”는 이유였다.이들 ‘SD(SounD)워너비’팀은 코일에 진동판을 붙여 코일이 잘 진동할 수 있게 만들기로 의견을 모았다. 자석에 ... ...
강 돌고래가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회로를 구성하며 기판에는 이런 회로요소를 결합하여 집적회로를 만들기 위한 소정의
양
식이 미리 진공증착(眞空蒸着) 등에 의해 박막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리 기판(基板) 위에 진공증착법(眞空蒸着法) 등으로 형성한 반도체박막(半導體薄膜)을 사용하여 만든 트랜지스터 TFT라고도 ... ...
북극에서 찾은 지구열병 특효약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5. 친환경적인 삶을 살자 : 작은 실천이 지구의 온도를 낮춘다.- 나무를 많이 심자.- 태
양
광 전지 같은 대체 에너지원에 관심을 갖자.- 겨울에는 따뜻하게 옷을 입어 실내난방온도를 낮추자.- 여름에는 자연 바람이나 부채를 이용해 에어컨 사용을 줄이자 ... ...
DNA바코드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Barcode of Life)가 시작된 것이다. 우리나라도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을 포함해 한국해
양
연구원, 고려대 식물DNA 은행 3개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과학자들은 생물의 ‘이름표’에 정보를 담아 국제생물바코드협력체(CBOL, Consortium Barcode of Life)의 중앙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 CBOL의 홈페이지에는 전세계 .. ...
지구 대규모 생물 멸종은 태
양
계의 공전 궤도 탓?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지구 생물의 대규모 멸종이 우리은하 중심을 도는 태
양
계의 궤도와 관계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미국 캔자스대 ... 뮤온입자로 이뤄진 방사선이 생물체 속의 DNA에 손상을 줬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태
양
계는 우리은하 중심을 회전목마처럼 위아래로 진동하며 돈다 ... ...
화성으로 향한 피닉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약 111광년의 거리에 있는 최근성(最近星)의 하나 실시연성(實視連星)이며 84AU 떨어진 태
양
의 반 정도의 질량을 가진 적색왜성으로 약 750년 주기로 공전하고 있다 백조자리 61번성은 1792년 당시부터 주목되었다 1976년 소련의 드브나 원자핵연구소의 유(Yu), 오가네시안 등이 발견해 보고한 초우라늄 ... ...
이전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