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측정"(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나이, 몇살인가과학동아 l1995년 06호
- 미국 카네기천문대에서는 허블 망원경으로 M100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이 결과를 이용해 허블상수를 구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우주의 나이는 1백억년이 채 안되는 80억년. 한편 연세대에서는 NASA의 자외선망원경 관측결과를 이용해 거대타원은하 내에 있는 구상성단의 나이가 2백억년에 ... ...
- 2 거대타원은하 내 가장 오래된 별은 200억살과학동아 l1995년 06호
- 없다.현재 가장 큰 문제는 이론과 관측을 비교할 때 필요한 절차인 구상성단까지의 거리측정에 관련된 것이다. 여기에는 최대 15%(약 20억년)까지의 오차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론적인 불확실성과 다른 모든 오차를 합해도 20%(30억년) 이상을 초과하지 못한다고 생각된다. 이 허용오차를 최대한 ... ...
- 표본추출방법따라 결과 180도 달라지는 통계의 속임수과학동아 l1995년 06호
- 가질 뿐이다. IQ 또한 통계이며 그것도 매우 불확실한 통계이기 때문이다.지능검사가 측정하는 내용이 지능이 아니라는 점은 논외로 하더라도, IQ가 의도하고 있는 것은 지능에 관한 표본추출이다. 그러므로 IQ 역시 확률적 오차를 포함하는 숫자이다. 가장 유명한 '스탠포드 비네'식 지능검사법의 ... ...
- 삼국시대 천체관측기록과학동아 l1995년 06호
- 있다. 금성을 낮에 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어서 오랜 기간에 걸쳐 금성의 위치 변화를 측정하여 낮에도 금성의 위치를 제대로 알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 위치를 주의깊게 관찰하여야만 금성을 찾아낼 수 있다. 따라서 태백주현 기록이 있다는 사실은 이 시기에 고도의 관측기술을 지닌 ... ...
- MRI 고자기 초전도형만이 최선 아니다과학동아 l1995년 06호
- 것으로 자석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으로 생명체 내에 존재하는 물분자의 양성자 공명을 측정해 생체내부를 촬영하는 장치이다. 물이 많은 부분에서는 강한 신호가, 적은 부분(뼈)에서는 약한 신호가 방출되므로 이 차이를 이용한다. 이 영상은 X선 CT보다 선명하게 나타나며, X선 피폭을 피할 수 있어 ... ...
- 1. 별 10만개, 지능가진 생명체 있을 가능성과학동아 l1995년 05호
- 수록한 천체 목록을 발표했다. 그는 단순히 별들의 숫자만 센 것이 아니라 별들의 위치를 측정해 우리 은하가 어떤 구조를 이루고 있는지를 그림으로 그렸다(그림1). 허셸의 시도 이후 우리 은하의 구조가 볼록렌즈의 모습을 하고 있다는 것이 드러났으며(그림2, 표1) 태양은 은하 중심에서 3.2만 광년( ... ...
- 귀화 식물과학동아 l1995년 05호
- 이들이 자연파괴도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식물(指標植物)이 될 수 있다.자연파괴도 측정하는 지표식물무엇이 귀회식물인가. 이 질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외국에서 들어온 식물', '미국자리공처럼 무서운 해를 가져오는 식물' 등으로 답하고 있다. 그러나 엄밀한 의미에서 귀화식물이란 다음 세가지 ... ...
- 사냥명수 카멜레온의 눈은 고배율 렌즈과학동아 l1995년 05호
- 이는 카메라의 조리개처럼 카멜레온의 눈동자는 밝은 장소에서도 크게 열린 채여서 거리측정 조건이 좋기 때문이다.오토박사 연구진이 '네이처'지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카멜레온은 이밖에도 거리를 정확하게 잴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대상이 되는 사냥감이 망막상에 보다 큰 상을 ... ...
- 자외선 우주망원경 아스트로 2과학동아 l1995년 05호
- Experiment)는 구경 0.5m f/10인 카세그레인식 망원경이며 16등급까지 천체의 밝기와 편광을 측정했다. WUPPE는 1천4백-3천3백 Å에 대하여 몇가지 파장대를 동시에 관측했는데, 성간물질이나 뜨거운 별들, 활동성 은하핵 등 다양한 천체들이 관측대상에 포함되었다. 이 망원경은 위스콘신 대학에서 ... ...
- 태양 닮은 주변의 별들과학동아 l1995년 05호
- 미국 피츠버그 대학의 그레이프가 광전소자를 갖춘 망원경으로 이 별까지의 거리를 정밀 측정했다. 거리는 8.25+0.02광년. 위치는 큰 곰자리에 있다.◆ 울프 359질량이 태양의 0,6배인 적색왜성. 밝기가 급격히 변화하는 섬광별이지만 실제로는 매우 어둡다. 온도가 낮은 것으로 추측된다. 행성을 가질 ... ...
이전37938038138238338438538638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