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뉴스
"
뇌
"(으)로 총 4,462건 검색되었습니다.
STEM, 과학자 양성 위한 최적의 교육일까
2015.07.19
속
뇌
를 형상화한 그림이 실렸다. 사이언스 표지를 장식한
뇌
는 세포로 이뤄진 사람의
뇌
와는 달리 전선으로 구성됐다. 이는 인공지능(AI·Artificial Intelligence)을 표현한 것이다. 인공지능은 이제 사람과 체스 경기를 두거나 주식시장을 분석할 수 있을 만큼 발전했다. 하지만 과학자들이 바라는 ... ...
과거 떠오르게 하는 ‘마들렌’ 같은 영화
2015.07.19
보며 나도 모르게 뒤로 기댄 자세를 취하게 됐다면 영화의 추억팔이 기능이 성공해
뇌
가 시간 여행을 경험했다는 증거일 것이다. 영국 연구진은 2010년 ‘심리과학저널’에 사람은 과거나 미래를 생각할 때 자세의 차이가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해 크론에스테시아의 존재를 밝혀냈다. 연구팀은 ... ...
‘바이오해커’를 아십니까
2015.07.19
패권을 거머쥘 수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한양대 생체공학과 교수인 저자는
뇌
공학 연구의 현주소를 생생한 예를 들어 설명한다. 기계가 생각을 읽고, 생각만으로 컴퓨터 자판을 두드리며, 사람의 마음을 읽어내는 것이 어떻게 가능한지 보여 준다. 시그마프레스 제공 ■ 과학자가 되는 ... ...
[동정] 한국
뇌
연구원 제2대 원장에 김경진 DGIST 교수 선임
2015.07.19
DGIST 제공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17일 제47회 임시이사회를 열어 부설기관인 한국
뇌
연구원(KBRI) 제2대 원장에 김경진 DGIST
뇌
·인지과학전공 교수를 선임했다. 김 신임 원장은 한국
뇌
학회와 한국
뇌
신경과학회 회장 등을 역임한
뇌
과학 분야의 석학이다. 23일 취임하며 임기는 3년이다. ...
꺅! 비명 소리만 들어도 무서운 이유
2015.07.17
반응을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장치로 촬영했다. 그 결과 비명을 들었을 때 사람의
뇌
에서는 청각피질과 함께 공포를 느끼는 편도체 부위가 눈에 띄게 활성화됐다. 도와달라는 소리를 들었을 때에는 청각피질만 반응했다. 또 연구진이 대화를 하거나 노래를 부를 때 나타나는 진동수를 ... ...
뇌
과학으로 분석한 영화 ‘인사이드 아웃’
2015.07.17
교수는 “만 3~4세 유년기에는 기억을 담당하는
뇌
부위가 완전히 성숙하지 않아
뇌
발달 과정을 거치면서 제대로 저장되지 못한다”면서 “이를 ‘아동기 기억상실’이라고 부른다”고 설명했다. 유년 시절의 잃어버린 기억을 성인이 된 뒤 되살릴 수 있을까. 김 교수는 “기억이 제대로 저장되지 ... ...
인간 줄기세포로 만든 0.5mm 심장이 뛰기 시작했다
2015.07.15
만든 미니심장처럼 작은 장기를 ‘오가노이드(organoid)’라고 부른다. 2013년 ‘미니
뇌
’가 만들어진 이후로 오가노이드는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갑상선, 간, 췌장 등이 만들어지고 이번 연구로 심장이 새롭게 추가됐다. 유승권 고려대 생명공학부 교수는 “아무리 크기가 작아도 심장세포가 ... ...
운동하며 물 ‘벌컥벌컥’ 건강에 악영향?
2015.07.13
인해 수분이 혈액으로 이동하게 된다. 특히
뇌
세포 안으로 수분이 이동하면 전체적으로
뇌
가 부어 다양한 신경정신과적 증상을 일으킨다. 가볍게는 두통이나 구토 등의 증상을 보이지만, 심하면 발작, 정신착란을 일으키고 아주 심한 경우엔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연구팀은 땀 분비량보다 많은 ... ...
정부 내년 R&D에 12조6380억 투자
2015.07.12
올해보다 1.4% 증가한 1조3821억 원을 투입하기로 결정했다. 이밖에도 치매와
뇌
혈관 장애 극복기술 같은 고령화 대비 연구개발은 지난해 보다 19.8% 증가한 528억 원이, 개인정보 보호와 사이버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정보보호 원천 기술 개발에는 작년보다 37.7% 증가한 412억 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 ...
뇌
3개 연결해
뇌
하나처럼 쓴다
2015.07.10
밝혔다. 임창환 한양대 생체공학부 교수는 “브레인넷을 통해 장애인과 정상인의
뇌
를 연결하면 신경재활 훈련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자폐증처럼 소통에 장애가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데도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온라인 자매지 ... ...
이전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