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휴
협동
협조
연합
합작
원조
공동 작업
뉴스
"
협력
"(으)로 총 6,435건 검색되었습니다.
4개국 주도 화성클럽 판 깬 아랍의 강소국
동아사이언스
l
2020.07.20
H2A 로켓에 실려 우주로 향한다. UAE 화성 탐사선 발사가 목표만 분명하다면 국제적
협력
과 분업을 통해 화성 탐사를 얼마든지 나설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모델이라는 점에서 눈길을 끄는 이유다. ... ...
[과학게시판] KIOST-한국야쿠르트 해양미세조류 유래 추출물 MOU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7.18
17일 밝혔다. 양 기관은 공동연구
협력
과 인프라 공동
협력
, 활용 및 인적 교류 등에서
협력
하기로 합의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7일 오후 서울 관악구 서울대에서 정병선 제1차관이 ‘시스템반도체 융합전문인력 양성센터 개소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시스템반도체 융합전문인력 ... ...
"우주 나이는 137억7천만년±4천만년"…허블상수 논쟁 해결 난망
연합뉴스
l
2020.07.17
두 편의 논문으로 정리해 온라인 저널 '아카이브'(arXiv.org)를 통해 발표했다. [ACT
협력
단/사이몬스재단 제공] CMB는 빅뱅 이후 38만년이 흘러 뜨거웠던 우주의 온도가 충분히 내려가면서 광자(빛)의 운동을 방해하던 자유전자가 수소나 헬륨 원자핵에 붙잡히면서 퍼져나가게 된 가장 오래된 빛이다. ... ...
플라즈마 이용한 '스마트' 농산물 저장시스템 전북 완주서 실증
동아사이언스
l
2020.07.17
했다. 유석재 핵융합연 소장은 “이번 플라즈마 스마트 저장시스템의 실증과 농가 보급
협력
을 시작으로 플라즈마기술연구센터에서 수행하고 있는 다양한 플라즈마 기술이 농생명 산업 분야 기술혁신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지역활성화에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
천랩,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 및 역학 추적 플랫폼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7.17
“미래에 발생할지도 모르는 신종 감염병에도 적용할 수 있는 만큼 글로벌 제약사들과의
협력
도 모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천종식 천랩 대표는 “누구나 NGS 데이터만 있으면 직접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리게 될 것”이라며 “생명정보 분야의 새로운 글로벌 표준과 대중화 시장을 ... ...
탄소배출 가장 적게 하는 국제 학술행사 개최지를 찾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20.07.16
남반구 과학자들의 콘퍼런스 참여에 지원해야 한다. 저자들은 “합리적이고
협력
적인 노력을 통해서만 새로운 모델로 전환할 수 있을 것”이라며 “코로나19가 준 교훈으로 쉽게 변경하기 어려운 관행을 놀라운 속도로 바꿔나갈 수 있다”고 밝혔다 ... ...
"백신 동등한 접근권 보장해야" 문 대통령 등 8개국 정상 기고문(전문)
동아사이언스
l
2020.07.16
자원, 전문성, 경험 측면에서의 글로벌
협력
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글로벌
협력
은 그 누구도 소외시키지 않으면서, 백신을 생산ㆍ보급할 수 있을지 여부로 진정한 시험대에 오르게 될 것이다. 이 시험을 무사히 통과한다면, 우리는 바이러스를 물리치고, 팬데믹으로부터 회복해 나갈 ... ...
제조 공정 중심에서 벗어나 사람 향한 융합기술 가치 내걸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6
한양대와 공동학과를 만들기로 했다. 로봇을 중심으로 하는 융합학과로 상당히 좋은
협력
이 모델이 될 거라 생각한다. 융합기술연구소는 AI 시대에 부응할 만한 기반을 갖추고 있다. 특히 AI의 기본 재료가 되는 산업데이터를 많이 축적하고 있다. 현재 융합기술연구소는 제조공정을 모니터링하고 ... ...
국내 연구진 북극 극초미세먼지 발생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5
북극 지역의 극초미세먼지는 더 늘어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극지연구소 윤영준 국제
협력
실장과 박지연 선임연구원, 광주과학기술원(GIST) 박기홍 지구환경공학부 교수팀은 북극 바다 하늘에 떠 있는 지름 3~1000nm(나노미터. 1nm는 10억 분의 1m)의 극초미세먼지의 기원을 밝히는 데 성공했다고 15일 ... ...
[이덕환의 과학세상]소부장2.0 성공을 기원하며
2020.07.15
대기업이 중소기업의 육성을 책임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적
협력
에 필요한 사회적 환경을 조성하는 책임은 정부에게 있다. 정부가 해야 할 일을 기업에게 떠넘겨서는 안 된다. 정부가 미래를 위한 소부장 생산 기술의 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노력은 반드시 ... ...
이전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