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중
곱
뉴스
"
2배
"(으)로 총 6,372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너지 생산하고 터치 감지하는 투명 배터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23
최창순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스마트섬유융합연구실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개발한 투명 에너지 소자의 모습이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에너지 발전과 저장을 동시에 하고, 손 터치를 감지하는 투명 배터리를 개발했다. 웨어러블 기기 혹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피부 부 ... ...
"성장·상생·고용 세마리 토끼"…非메모리 초격차 전략 '시동'
연합뉴스
l
2019.04.22
를 설립했다. 업계 관계자는 "비메모리 반도체는 시장 규모가 메모리의
2배
에 달하고, 경제적 부가가치가 크기 때문에 반드시 육성해야 하는 분야"라면서 "오는 2030년에는 비메모리 시장에서도 글로벌 1위를 차지하겠다는 목표를 위해서는 정부와 업체의 치밀한 공조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
나라마다 흔한 식품 알레르기 다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2
세계적으로 식품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원인은 대부분 우유와 달걀이다. 하지만 학계에서는 국가별로 비교적 많이 나타나는 식품 알레르기원이 다르다고 보고 있다. 유전적, 환경적 요인 탓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이달부터 대한항공이 땅콩을 더는 기내 간식으로 제공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 ...
전기 흘려 물속 오염물 제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1
김종식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물질구조제어연구센터 선임연구원 연구팀은 기존 대비
2배
이상의 물속 오염물 분해효율을 보이는 촉매와 관련 공정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최근 강화된 수질 규제와 높아진 수질 개선 요구에 따라 수처리 방식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현재 상용화된 ... ...
[표지로 읽는 과학] 태양계 기원 간직한 소행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4.21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19일 우주 머나먼 곳에 있는 거대한 돌덩이의 모습을 담은 사진을 표지에 실었다. 일본의 소행성 탐사선이 찍은 소행성 ‘162173 류구’의 모습이다. 류구는 지름이 1㎞인 팽이 모양 소행성이다. 지구로부터 약 3억 ㎞ 떨어져 있다. 과학 ... ...
'양초' 성분으로 차세대 소재 그래핀 주름 없앤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전자이동도가 100배 빠르고 강철보다 200배 강하며 다이아몬드보다 열전도성이
2배
높아 활용도가 높은 전자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투명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태양전지, 연료전지에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대량생산과 고품질화를 위한 후속 연구가 이어졌지만 아직 상용화 문턱을 넘진 ... ...
스마트폰 위치 찾기 오차 30m이내로 줄어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6
확인했다. 공승현 KAIST 교수는 “5G 이동통신 환경에서 같은 기술을 활용하면 LTE보다
2배
높은 15미터 오차의 정확도로 위치 측정이 가능하다”며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기지국이나 중계기 이동설치와 추가 등으로 신호 환경이 바뀌었을 때 자동 탐지하고 데이터베이스를 빠르게 갱신하는 ... ...
더 밝고 전기 적게 쓰는 QLED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16
ETRI 연구진이 이번 연구에서 사용한 발광다이오드 용 양자점 용액이다. ETRI 제공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꼽히는 양자점 발광다이오드(QLED)를 더 밝고 전기를 적게 쓰게 만드는 기술을 개발됐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유연소자연구그룹 이현구 그룹장과 최수경 연구원 연구팀 ... ...
백두산 지진 지난해
2배
늘어…"서울도 영향권 공동연구 서둘러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4.15
북한을 포함한 국제공동연구진은 2016년 백두산 마그마방의 존재를 최초로 규명한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했다. 사진은 당시 촬영한 백두산의 모습. - Science Advances 제공 휴화산이던 백두산 주변 지진 횟수가 지난해 전 년보다 두 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는 ... ...
자연이 만든 플라스마 발생장치 '포도알'
과학동아
l
2019.04.13
플라스마는 이온화된 기체가 주변에 대기와 충돌할 때 일어난다. 마이크로의 공명을 이용해 포도알 플라스마 생성실험을 따라 해 봤다. 게티이미뱅크 포도 한 알을 반으로 자른다. 아, 그런데 완전히 두 동강 내면 안 된다. 천천히 반으로 자르다가 마지막 부분은 아주 살짝 붙어 있게 해야 한다. ... ...
이전
379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