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래는 컴퓨터에게서 노인의 지혜를 얻는 세상과학동아 l2014년 01호
- 것이죠.Q. 컴퓨터공학부를 졸업한 학생들은 어디로 취직하나요?A. 컴퓨터가 있는 모든 곳이 직장이 될 수 있습니다. 컴퓨터공학부에서 논리적 사고훈련을 했기 때문이죠. 앞으로는 컴퓨터공학자가 더 이상 보조적인 역할에 머물지 않고 각 분야 전문가가 동등한 위치에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 ...
- Part 3 '코리아늄' 찾는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개발에 열을 올리는 이유다. 아직 70%가 발견된 적이 없는 미지의 원소 영역. 그곳에 진출할 가장 좋은 기회가 열리기 때문이다.“가령 ‘코리아늄’을 찾을 수도 있겠죠.”김 단장이 말했다. 코리아늄은 사업단이 개발 중인 중이온가속기 라온으로 발견할 미지의 새 원소를 부르는 가상의 이름이다. ... ...
- 옥토끼, 달에 중국 국기를 꽂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마치고 지구, 달, 태양 사이에 있는 라그랑주 지점도 다녀왔다. 라그랑주 지점은 세 곳에서 작용하는 힘의 균형이 맞아서 가만히 머무를 수 있는 지점이다. 우주정거장 등을 세우기에 이상적이다. 창어2호가 바로 그 자리에 서 있는 실험을 해 보았다. 그 후 가까운 소행성으로 접근해 관측을 하고 ... ...
- [화보] 찰나의 순간, 수학을 포착하다!수학동아 l2014년 01호
- 힘든 현상이다. 또한 땅속에서 갑자기 뜨거운 물이 터져 나오는 간헐천은 지구상의 몇몇 곳에서만 어쩌다 한 번 볼 수 있는 말 그대로 ‘간헐적인’ 현상이다. 이처럼 경이로운 자연 현상의 원리를 연구하는 과학자들도 수학을 활용한다.수학자들은 점(0)과 선(1), 면(2), 그리고 입체(3) 등 정수 단위로 ... ...
- 기자가 필요 없는 세상이 온다? 미래는 알고리즘 시대수학동아 l2014년 01호
- 안 쓰이는 곳이 없을 정도예요. 각종 컴퓨터 프로그램과 스마트폰의 어플 등 안 보이는 곳에서 알게 모르게 위력을 발휘하고 있지요. 알고리즘 덕분에 굳이 사람이 없어도 많은 일들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됐어요. 이제 사람들은 단순 작업에 들이던 시간과 노력을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의미 ... ...
- 눈의 나라에서 온 반짝반짝 눈꽃선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에 가면 더 많은 눈꽃을 볼 수 있답니다.눈꽃을 피우는 ‘토양’은 구름눈꽃이 피어나는 곳은 차가운 구름 속이에요. 대기 속의 아주 작은 먼지 같은 ‘응결핵’에 달라붙은 수증기가 얼고, 여기 다시 수증기들이 모이면서 결정이 자라나지요. 눈꽃이 항상 여섯 개의 꽃잎을 활짝 피우지는 않아요. ... ...
- 목성 위성 유로파에 높이 200km 분수가?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지구보다 두 배나 많은 바닷물이 있어 태양계에서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가장 큰 곳이다.이번 물기둥은 미국 남서부연구소(SWRI) 로렌츠 로스 박사팀이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촬영한 유로파의 자외선 방출 패턴을 분석해 찾아냈다. 물기둥이 중요한 이유는 표면의 두꺼운 얼음층을 뚫고 나오기 ... ...
- 비트코인도 털린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공지 없이 갑자기 문을 닫았다. 연구팀이 결과를 발표한 시점에 남아있는 환전소는 4곳뿐이었다. 폐업한 환전소들이 환불해 주었다는 증거는 거의 없었다. 연구팀은 “비트코인 환전 거래는 평균 381일간 유효하며 현찰을 받지 못할 확률은 45%”라고 분석했다.비트코인 진짜 돈 될까?그럼에도 ... ...
- 와이파이보다 100배 빠른 라이파이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먹으면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 숨어서 도·감청을 할 수 있지만, 라이파이는 눈에 보이는 곳까지만 통신이 가능하다. 강태규 실장은 이런 기대를 던졌다.“10년 안에 가시광통신을 모르는 사람이 없게 될 겁니다. 생활공간을 가득 채우고 있는 조명들이 전부 통신장비로 바뀐다고 상상해보세요. ... ...
- Part 2 한국인이 제안한 미스터 입자3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액시온은 곧 강력한 암흑물질 후보로 꼽히게 됐다.오늘날 액시온을 관측하는 곳은 두 곳이다. 미국 워싱턴대에서 에이디엠엑스(ADMX)라는 연구장비를 만들어 실험하고 있다. CERN의 ‘액시온태양망원경(CAST)’도 한 때 태양 내부에서 나오는 액시온을 검출하고자 시도했지만, 현재는 중단된 상태다 ... ...
이전3803813823833843853863873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