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말"(으)로 총 12,947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당신의 스마트폰은 안전합니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테러방지법으로 국민의 자유가 억압된다’, ‘사적인 공간인 메신저에서도 말을 가려 해야 한다’ 등의 반응을 보이며 정부의 감청 남용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있다. 이런 우려가 계속되는 건 스마트폰에 상당한 개인정보가 담겨 있고, 스마트폰을 열어볼 수 있는 ‘마스터키’가 존재할 가능성이 ... ...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주장했다면, 과학기술의 발전이 야기하는 변화들은 훨씬 더 근본적인 수준에서 근대의 종말을 알리고 있다.과학기술은 그 자체로 우리를 더 ‘나은’ 존재로 만들거나 행복한 삶을 보장해 주지 않는다. 아마도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일은 인공지능 등 다른 존재들과 구분되는 인간의 우월성을 ... ...
- [Tech & Fun] 이래도 사람, 저래도 사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영역이라 생각했던 그 과정이 사실은 ‘하기 나름’이라고, 최신 유전학 연구 결과들이 말한다. 아빠가 먹는 음식과 생각, 마음가짐이 아이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었다. 그런 점에서 아빠가 아이에게 물려주는 절반의 유전자는, 아빠가 태어날 때 가진 것이 아니라 아빠의 삶이 담긴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젤리 가게 주인 ‘ 안질리나 젤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젤리 홍보 중?!젤리 벽이 무너지지 않게 되자 비로소 안질리나 젤리는 아까부터 하려던 말을 할 수 있었다. 사실 부모님의 유언은 이 가게를 동생과 함께 해 나가는 것으로, 간판도 미리 다 준비해 놓았다는 것!“흑~, 언니~! 그런 줄도 모르고~!”썰렁홈즈는 자매가 화해한 모습에 감동을 받아 홍보를 ... ...
- [한자 과학풀이] 한자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담글 석’으로도 읽을 수 있답니다.염도는 물에 소금이 얼마나 있는지는 나타내는 말이에요. ‘소금 염(鹽)’은 ‘소금 노(鹵)’와 ‘볼 감(監)’으로 이루어진 글자로, 소금이 제대로 만들어졌는지를 본다는 의미랍니다. 과거에는 소금이 무척 귀했어요. 그래서 바닷물을 증발시켜 소금을 만들 때 ... ...
- PART 3 나도 데이터과학자!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좋고 아니겠어요?이것으로 저의 이야기를 마치겠습니다. 데이터 분석이 어렵다 생각하지 말고, 일단 도전해보는 건 어떨까요? 데이터 분석이 여러분의 실생활 속 문제를 해결해줄지도 모릅니다.데이터과학자가 되는 첫걸음이처럼 데이터 분석은 누구든지 직접 해볼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 ...
- [지식] 알고 쓰면 과학, 모르고 쓰면 사기 P-value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없다는 가정을 기각합니다. 그럼에도 대립가설이 옳다거나 연구에 효과가 크다거나 하는 말은 할 수 없어요. 지난 3월 7일 미국통계학회(이하 ASA)는 P-value를 제대로 알고 사용하자는 의미를 담은 성명서를 발표했습니다. 론 바서스타인 ASA 회장은 “P-value를 잘못 사용하는 사례가 많아지면서 통계학 ... ...
- [과학뉴스] “ 아직도 내가 사람으로 보이니”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미국의 한 대학 연구팀이 온라인 학습을 돕는 조교로 인공지능을 도입한 결과, 4개월간 누구도 이를 눈치채지 못했다고 미국 일간지 ‘월 스트리트 저널’이 5월 6일 보도했다. 미 ... 왓슨이 등록한 답변에서 개성을 찾아볼 수는 없었지만, 조교에게 원하는 건 정답뿐이었다”고 말했다 ... ...
- [과학뉴스] 떠내려가는 난센빙붕 포착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시각은 한국시간으로 4월 7일 오후 1시부터 4월 8일 오전 8시 사이다. 전문가들은 2013년 말~2014년 초 이상고온의 영향으로 빙붕의 균열이 커진 것을 원인으로 보고 있다. 빙붕의 이동은 육상에 남아있는 빙하에도 영향을 미친다. 빙붕이 많이 깨져나갈수록 빙하의 이동 속도가 빨라져 해수면 상승을 ... ...
- [News & Issue] 젊은 물리· 천문학자들이 송유근 학생에게 보내는 조언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스스로 논문을 쓰는 과정을 거쳐야 독립된 연구자인 ‘박사’로 홀로 설 수 있다는 말이었다.박사과정 학생으로서 다른 연구자들과 활발히 연구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다. 송유근 학생과 같은 분야의 전문가들은 “송학생이 학회에서 발표하는 것을 거의 보지 못했다”면서 “연구자는 동료들과 ... ...
이전38038138238338438538638738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