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랑의 신 에로스 베일 벗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큐피드로 알려졌다. 이는 현재 우주공간에서 집중탐사중인 소행성의 이름이기도 하다.
최초
의 소행성 궤도탐사선 니어-슈메이커를 통해 소행성 에로스에 대한 최신 결과가 과학전문지 ‘사이언스’ 최근호(9월 22일자)에 발표됐다. 탐사선은 지난 2월 14일 에로스에 접근한 이후, 35-3백50km 거리에서 ... ...
세계에서 가장 작은 막대자석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열분해 한 후, 특수 촉매를 사용해 나노자석을 만들었다. 그는 이번 연구가 “세계
최초
로 자성체 나노 막대입자를 균일하게 만드는 기술”이라고 밝혔다.컴퓨터를 사용하다보면 용량이 작은 디스크 때문에 데이터를 제대로 옮기거나 저장하지 못해 곤란을 겪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멀티미디어가 ... ...
두뇌의 환각현상? 실재하는 비행체?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또 독립적인 다른 UFO 목격자들에 대해서도 문제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어요.
최초
로 UFO 목격을 주장한 두사람은 린다 코틸의 관심을 끌려고 서로 싸웠다죠. 이 두사람은 어쩌면 처음부터 신문이나 그밖의 장소에서 그녀의 이야기와 얼굴을 보고서 그녀와 친해지고, 또 유명해지기 위해 그런 ... ...
꿈의 차세대 반도체 메모리F램 기술 선도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내의 전하량이 줄어드는 ‘피로현상’을 세라믹 절연체를 이용해 개선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
로 성공해냈다.이후 벨 통신 연구원에서 또다른 신뢰성 문제인 ‘비대칭성’을 선구적으로 연구했다. 비대칭성 문제는 메모리에 0과 1이 쓰여질 확률이 50%인 것이 정상인데, 어는 한쪽의 확률이 높아지는 ... ...
Ⅱ. 한국과학자가 계기 마련한 올해화학상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못했다. 독실한 몰몬교도였던 아이링 교수가 걸림돌이었다는 후문이다. 우리나라
최초
의 수상자가 나올 뻔한 순간이었다.수상자 선정의 공정성을 놓고 과학자간의 다툼이 벌어지기도 했다. 1933년 생리·의학상은 미국의 생물학자 토머스 모건에게 돌아갔다. 그러자 그의 제자였던 허먼 멀러는 ... ...
만약 태초에 우주 팽창 속도가 느렸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때 이미 생명의 비밀은 싹트고 있던 셈이다. 그리고 1백억년 정도 후에 지구에서
최초
의 생명이 태어났을 때부터 지금까지 모든 원소의 원조인 수소는 DNA의 이중나선 구조에서, 또 세포막의 구조에서 어느 누구도 대신할 수 없는 독보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세포 옆에서하나의 세포를 만들기 ... ...
입는 컴퓨터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전류를 만드는 기능을 연구중이다.▽컴퓨터 소형화 추세▽1940년대에니악(ENIAC) : 세계
최초
의 전자식 컴퓨터. 덩치가 무려 30t. 전선 길이가 1백30km다. 1946년 펜실베니아대의 모클리와 에커트가 만들었으며, 무어학교의 전기공학과에서 가동된 이후 9년간 사용됐다.1970년대데스크톱 PC : 1970년대 첫 ... ...
Ⅰ. 청량음료에도 수상업적 숨어있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우주의 특수한 환경에서 태양의 강력한 복사열에도 견딜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
최초
로 궤도비행에 성공한 존 글렌의 우주복도 테플론이 코팅된 것이었다. 우주선의 앞부분이나 기타 내열 보호막 또는 연료탱크에도 테플론이 사용되고 있다.테플론이 가장 폭넓게 쓰이는 곳은 전자산업 분야다. ... ...
고등학생이 제시한 우주쓰레기 해결방안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학생들이 올 3회 컴퓨터창의성대회에 참가했다.이 대회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1957년
최초
의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가 발사됐다. 이로부터 40여년 동안 인류가 쏘아 올린 인공위성이 무려 4천5백여개. 이 결과 지구 반대편에서 열리는 축구 경기를 실시간으로 시청할 수 있게 됐다. 그러나 지구 ... ...
① 20세기 새로운 세계관의 출발 양자가설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형태로 유도될 수 있는가 하는 것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게 됐다. 바로 이것이 독일
최초
의 이론물리학자로 인정되는 플랑크가 도전했던 문제다. 1899년 이후 플랑크는 흑체복사 현상에 있어서 빈의 법칙이 유일한 법칙이라는 것이 아직 증명되지 않았다고 생각했다. 그가 이렇게 생각하게 된 ... ...
이전
380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