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내"(으)로 총 10,295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 살아 움직이는 미로 메이즈 러너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원 안쪽을 색칠하면, 원이 안과 밖으로 나누어진다는 점을 알아낸 것이다. 조르당은 이 내용을 확장해, ‘원처럼 도형을 그릴 때 시작점과 끝점이 만나 하나의 도형을 이루면, 이 도형은 안과 밖으로 나눌 수 있다’는 사실을 ‘조르당 곡선정리’라는 이름으로 정리했다. 여기서 조르당 곡선이란 ... ...
- [참여] 서로 소통하고, 협력하라! 제4회 청심ACG수학대회수학동아 l2014년 10호
- 보통 수학대회에서는 학년별로 다른 수학 문제를 푼다. 그런데 여기, 여러 학년이 함께 같은 문제를 푸는 특별한 수학대회가 있다. 바로 지난 8월 31일, 청심 ... 나간 후부터 한 가지 길만 고집하지 않고 숨겨진 여러 가지 길을 발견해 문제를 풀어내는 게 수학의 재미라고 생각하게 됐어요 ...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한다. 내 진정한 끝은 여기일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이 곳 조차 아직 다른 별보다는 내게 가깝다. 보이저 1호는 여기서 1만 년은 더 여행해야 비로소 나와 결별할 수 있다. 그 때에야 나와 다른 별(AC +79 3888, 일명 글리제 445)과 가까워지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그 별의 품에 드는 것도 아니다. 우주는 ... ...
- [박경미 교수의 수학캠핑] 선행학습의 감옥에 갇힌 학생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바꾸지 않는다.내쉬가 실제로는 어디에서 영감을 받았는지 모르지만, 영화 속에서 내쉬는 금발 미녀를 둘러싼 남학생들의 심리적 역학관계에서 섬광 같은 아이디어를 얻는다. 어느 날 그는 네 명의 친구와 바에 앉아 있는데, 금발 미녀 한 명과 흑갈색 머리의 여성 네 명이 들어온다. 남성들은 모두 ... ...
- PART 3. 세계는 생물자원 전쟁 중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찾은 김창무 국립생물자원 관 미생물자원과 박사는 "해외 생물자원을 대체할 수 있는 국 내 자생생물자원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올해 부터는 우리 땅에서 찾은 신종 생물을 바이오산업에 활용할 방 법을 찾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신종헌터의 어깨가 무겁다. 신종은 '돈'이 된다2002년 ... ...
- [knowledge] 루게릭병,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사무국장이 “그저 감사하고 고마울 뿐”이라고 말한 이유는 그래서다.“환자들은 몇 년 내에 반드시 사망한다는 절망 속에서 투병합니다. 그런데 요즘엔 루게릭병이 무엇인가를 알기 위해 저희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사람이 매일 1만 명이 넘습니다. 환자들은 그 관심이 반갑고 고맙다고 ... ...
- [life & tech] 과학자와 예술가의 만남 2014 아티언스 오픈랩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등산이 취미인 박세일 양자측정센터 책임연구원은 계룡산을 주제로 만든 영상 ‘내 마음의 산’이 만족스럽지 않자 수차례 다시 오르며 재촬영을 이어갔다. 과학자만의 집요함이 엿보이는 장면이다.박창용 시간센터 책임연구원의 작품 ‘인간측정기’도 인상적이었다. 손가락 사이를 이용해 ... ...
- [생활] 아이스버킷 챌린지 열풍의 비밀 복잡계 연결망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어떤 사람이 마당발일까? 이를 알아내기 위해 각 연결망이 갖는 특성을 이해하고, 연결망 내에서의 정보 확산이 어찌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그래야 진짜 마당발을 찾아 전략을 펼칠 수 있기 때문이다.교통부터 안보까지! 다양한 복잡계 연구교통망, 전력망, 인터넷과 같은 공간 ... ...
- [인터뷰] 이진형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 교수 “처음 하는 일은 모두가 반대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인재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융합형 인재가 무엇이라고 정의를 내리는 순간부터 그 테두리에 갇혀서 더 이상 발전할 수 없다. 테두리를 부수고 경계를 허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개인적으로 세상에 천재는 없다고 생각한다. 소위 사람들이 천재라고 부르는 이들은 사실 ‘생각을 ... ...
- [fun] “질병 최전선에 있는 학자”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달려들었다. 과학자들은 천연두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을 만들었고, 페스트의 원인을 밝혀내 항생제로 치료할 수 있도록 했다. ‘페스트와 콜레라’는 바로 이 페스트균을 발견한 프랑스의 의사 알렉상드르 예르생의 일대기를 그린소설이다.페스트는 세균의 일종인 예르시니아 페스티스(Yersinia pestis ... ...
이전3813823833843853863873883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