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밤에 더 빛나는 구름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한쪽 반구의 온도에 변화가 생기면 반대쪽 반구에 떠 있는 야광운도 바뀐다는 것. 러셀
박사
는 “구름이 계절에 따라 계속 변하면서 날씨를 만들듯이 대기 중간층에 떠 있는 야광운도 계절에 따라 변한다”며 “일반 구름의 변화와 야광운의 변화는 서로 연관이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 ...
유전자 쏙 빼니 암컷이 수컷으로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하지만 난소에서 변한 정소는 정자를 생산하지는 못했다.연구를 이끈 리처드 앤더슨
박사
는 “이번 연구로 성별이 결정된 뒤에도 난소는 자신의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다음 연구 주제는 난자에 정자 줄기세포를 넣어 정자를 만드는 ... ...
문어도 도구를 사용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배웠는지, 아니면 조상에게 물려받는 습성인지 아직까지 알아내지 못했다. 핀
박사
는 “천적의 눈에 띄기 쉬운 곳에서 살아오면서 습득한 자연선택의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지난 12월 14일 발행된 생물학 분야의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실렸다 ... ...
달리는 인간형 로봇 휴보2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뒀던 모든 수치를 다시 계산하고, 일일이 실험해 보는 수밖에 없었다.이 과정에서 조
박사
는 새로운 기능을 개발해 넣었다. 휴보2가 안정적으로 달릴 수 있는 이유 중 하나인 중심회복 능력이다. 달리던 휴보2를 앞이나 뒤에서 손으로 밀어도 잠시 주춤거리다 곧 중심을 회복하고 그대로 다시 달릴 수 ... ...
과학관이 살아 있다는 걸 보여주겠습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인연이 남다르다. 그는 서울대 약대에서 암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고 자신의
박사
논문으로 전국 최우수 논문상을 받았다. 변리사를 전국에서 1년에 한 명 뽑을 때 10개월간 공부해 변리사 시험에 합격했는데, 지금도 깨지지 않는 최고 점수를 기록했다.국회의원에 당선된 뒤에도 과학과 ... ...
풀지 않고 필요한 정보 알아내는 암호 체계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마치 환자가 옷을 벗지 않은 채 수술을 받는 것과 같다고 비유했다.아쉽게도 젠트리
박사
의 암호 체계를 바로 적용하기는 어렵다. 새로운 알고리듬은 엄청난 계산량을 필요하기 때문이다. 즉 이 방법을 쓰면 암호를 해독해 데이터를 계산하는 경우보다 1억 배 정도로 시간이 더 든다. 물론 새로운 ... ...
정신적 에너지 보충하는 행위 꿈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편집자 주이번 호부터 신경과·정신과 전문의 양창순
박사
의 ‘심리학 테라피’ 연재를 시작한다. 일상에서 체험하는 다양한 감정이나 행동의 배경이 되는 심리 메커니즘을 관련 임상사례를 들어가며 구체적으로 설명해 나갈 예정이다. 인간은 자기가 통제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 본능적인 ... ...
핵재료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하는 분야에 대한 많은 고민이 선행돼야 한다. 석사과정에서는 재료에 대한 연구를 하고,
박사
과정에서는 재료를 갖고 고온 또는 극저온, 고압의 조건에서 대형 실험을 진행한다. 환경에 민감한 핵물질 관리와 핵비확산을 비롯한 정책분야를 전공하는 학생은 석사과정 이후에 정치외교, 법학 등 ... ...
진화의 실험실, 갈라파고스에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도착한 곳은? 바로 다윈에게 진화에 대한 영감을 주었던 갈라파고스였답니다. 그 곳에서
박사
님은 무엇을 보았을까요? 함께 따라가 봐요.오늘 아침에는 돌고래 떼가 계속 따라왔다. 호기심 많은 어미 돌고래가 아기 돌고래에게 배 뒤에 달려 있는 탐사 장비를 보여 주고 있는 듯하다. 권상수 대원이 ... ...
한반도 호랑이 복원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야생동물보존협회 러시아 지부장인 데일 미켈
박사
는 한 가지 아이디어를 냈다. 미켈
박사
는 “가장 현실적이고 좋은 방법은 극동러시아와 연해주에 사는 호랑이의 개체 수가 늘어 자연스럽게 한반도까지 서서히 퍼져 나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그렇게 하면 숲에 호랑이가 산다는 사실에 ... ...
이전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