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반
평범
범용
보편
보통개념
개념
예사
d라이브러리
"
보통
"(으)로 총 5,871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이스크림 튀겨 먹는 비법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반죽할수록 글루텐의 활성을 막아주므로 반죽용 물에 얼음을 섞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보통
튀김옷의 반죽은 달걀 노른자 1개와 차가운 물 1컵을 섞은 뒤 박력분 1컵을 살살 뿌리면서 가볍게 섞어 살짝 흐를 정도의 농도로 만든다.기름의 온도를 조절하는 일도 중요하다. 일식 요리 전문가들은 1백50- ... ...
감정 표현하는 휴먼로봇 아미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한 도우미가 김대중 대통령을 맞이하면서 건넨 말이다. 키 크고 늘씬한
보통
의 도우미와는 달리, 이 도우미는 키 1백55cm, 몸무게 1백kg으로 상당히 작고 뚱뚱한 편이다.이처럼 용모미달인데도 도우미로 선정된 이는 과연 누구일까. 사실 이 도우미는 사람이 아니라 휴먼로봇이다. 이름은 아미인데, ... ...
왜 극저온 상태를 얻으려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액체 위에 떠있는 기체의 양들이 적어지기 때문에 강제 증발도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보통
의 헬륨을 이용할 경우 증발에 의해 대략 1K 정도까지 내릴 수 있다. 그런데 헬륨의 동위원소 중 헬륨4(원자량이 4인 헬륨)보다 가벼워 휘발성이 좋은 헬륨3(원자량이 3인 헬륨)을 이용할 경우 1K보다 낮은 0. ... ...
크기 1.6광년 슈퍼개미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모습은 이전에 예측했던 태양 최후의 시나리오에 도전장을 내민다. 개미성운이
보통
행성상 성운처럼 고리 모양이 아니기 때문이다. 왜 그럴까. 공처럼 생긴 별을 부풀린다 해도 공 모양이 돼야 하는데(물론 2차원적으로는 고리 모양으로 보인다), 그렇지 않으니 말이다. 개미성운의 머리와 몸통은 ... ...
1. 사이버 공간에서 탄생한 무령왕릉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야간에 10시간만에 끝냈다. 사실 이 정도 규모의 발굴이라면 짧아도 6개월은 걸리는 게
보통
이다. 그런데 10시간이라니? 심지어 큰 유물만 대충 발굴하고 나머지 유물은 삽으로 자루에 쓸어 담는 황당함까지 더해졌으니 무슨 할말이 있겠는가.이로 인해 얼마나 많은 유물들이 파손됐을까. 그래서 ... ...
테러범 잡는 탐지견의 세계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종류는 바로 독일의 셰퍼드다.다 자란 셰퍼드의 경우 후각세포가 분포하는 상피면적이
보통
개보다 많은 1백70cm2 정도다. 일단 후각능력은 아주 우수하다는 얘기다. 더욱이 셰퍼드는 복잡한 훈련을 잘 소화하는 영리한 개에 속한다.그런데 셰퍼드라고 해서 탐지견으로서 장점만 지닌 것은 아니다. ... ...
반물질을 로켓 연료로 사용하면?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입자와 반입자가 만나면 사라지면서 엄청난 에너지를 만들어낸다. “바로 이 에너지가
보통
의 화학 연소에서 발생하는 것보다 약 1백억배나 많다”고 NASA 마샬우주비행센터의 과학자 조지 슈미트 박사는 설명했다.문제는 아무도 반물질이 어디 있는지 모르기 때문에 입자가속기에서 양성자를 거의 ... ...
거미줄 인터넷에 온기를 불어넣자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보여준 분산처리라는 저비용 고성능 컴퓨팅은 이제 범세계적인 추세다. 지난 여름 정
보통
신부가 의욕적으로 내세운 국가 그리드 추진 계획도 마찬가지. 미국에서는 이미 1998년부터 대형연산이 필요한 분야에 대대적인 그리드 계획을 적용해 왔다. 인간게놈지도 작성, 항공기 통합 설계, 지진 예측 ... ...
배달된 돌덩어리는 방사성물질?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통과한다. 그러나 얇은 금속은 통과할 수 없다. 한편 γ선은 투과력이 매우 강하다.
보통
병원에서 사용하는 X선보다 강해 우리 몸뿐만 아니라 2cm 두께의 납도 통과할 수 있다.우리는 ‘방사선’이라는 말을 듣기만 해도 ‘무섭다’ 또는 ‘위험하다’는 이미지를 가진다. 그러나 우리가 매일 ... ...
수소 먹고 사는 고세균 발견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발견했고, 채플 박사팀은 이들의 DNA서열을 분석해 90% 이상이 고세균 종류임을 확인했다.
보통
지역에서는 미생물 중 고세균이 차지하는 비율이 단지 2-3%인 사실에 비하면 무척 놀라운 일이었다.영국의 천문학자이자 우주생물학자인 리차드 테일러 박사는“이들이 태초부터 극한 환경에서 자랐기 ... ...
이전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