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경주 지진 벌써 1년, 석가탑과 첨성대 큰 지진에 견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사람의 힘으로는 정확히 예측하거나 막을 수 없다. 하지만 그에 따른 피해의 유무는 우리 노력에 따라 달라진다. 필자처럼 문화재를 연구하고 지키는 사람들이 자부심을 갖고 달리는 이유다. 통일신라시대에도 큰 지진 있었다지난해 경주에서 일어난 지진은 리히터 규모 5.8로, 재현주기 500년 ... ...
- [Future] 내가 진정한 파란 꽃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원예학과 교수는 과학 학술지 ‘사이언스’에 “(이번에 개발된 파란 국화는)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가장 훌륭한 파란색”이라고 평가했다. 표피세포 모양 따라서도 꽃 색 달라져과학자들이 인위적으로 푸른색을 만들어내기까지 무려 20여 년이 걸렸다. 그 이유는 꽃잎의 색을 결정하는 변수가 너무 ... ...
- [Career] 63빌딩보다 큰 선박, 어떻게 설계할까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안내하도록 프로그래밍 돼 있다. 학부 시절부터 틈틈이 코딩을 공부했다는 노 교수는 “우리가 개발한 프로그램은 파도의 높이, 바람의 세기 등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설계됐다”며 “이제 조선해양 분야에서도 융합 연구는 필수”라고 강조했다 ... ...
- Part 2. 두 유 노우 ‘김치’?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아주 잘 아는 수학자가 있지요. 알렉산더 그로텐디크라는 수학자예요. 외국의 수학자와 우리나라 전통 음식인 김치라니, 전혀 관련이 없어 보이죠? 사연은 이래요. 그로텐디크가 프랑스 몽펠리에대학교 교수로 재직할 당시 제자였던 윤석임 전 덕성여자대학교 교수가 김치 담그는 방법을 알려줬다고 ... ...
- [핫이슈] 섭섭박사가 추천하는 어린이날 선물대잔치!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안녕! 난 16차원에서 날아온 섭섭박사야. 어과동의 실험 선생님과 솔이의 과학 선생님을 겸하고 있지. 요샌 메이커 교육까지 하는 바람에 엄청 바빠, 하하! 하지만 아무리 바빠도 모두가 좋아하는 어린이날을 그냥 넘어갈 순 없지~.그래서 오늘은 친구들에게 딱! 맞는 선물을 들고 ... ...
- [Culture] 센서티브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시작한 걸까. 오늘은 저녁에 네 방을 치웠어. 평소보다 깨끗하게 치웠어. 아마 다시는 우리 집으로 돌아오지 못할 테니까. 폭탄은 구하기 어렵지 않더라. 폭탄을 파는 사람들은 센서 같은 건 거의 없는 곳에서 만나려고 하더라구. 상당히 많은 양을 사기는 했어. 돈이 모자라지는 않았어. 평생 운전만 ... ...
- [가상인터뷰] 물 없는 육지로 올라와 사는 물고기가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호주국립대학교와 뉴사우스웨일즈대학교 공동연구팀은 남태평양 쿡 제도의 한 섬에서 우리가 육지로 뛰어오르는 모습을 발견했어요. 베도라치가 바닷물의 수위가 낮을 때 물속에 머물러 있다가, 바닷물이 밀려들어오면 물로 돌아가지 않고 근처에 있는 바위나 육지로 뛰어오르는 것을 관찰한 ... ...
- [Future] ‘작은 것’들의 반란 나노카 레이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하지만 생각해 보라. 전기모터가 개발되고 세상이 얼마나 바뀌었는지를. 분자 자동차도 우리 세상을 기가 막히게 바꿀지도 모른다. 그게 언제일지는 알 수 없지만 말이다 ... ...
- [Origin] 유전자, 게임을 하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집중해야지!”라고 외쳐봤자 실익이 없다는 말이다.ESS가 어떻게 등장했는가 추적하는 우리의 여정에서 기억할 사항이 있다. 해밀턴은 성비를 만드는 전략들이 벌이는 게임에서 어떤 성비가 ‘무적의(unbeatable)’ 성비인지 찾고자 했다. ‘무적의 전략’은 다른 그 어떤 전략보다 높은 적합도를 ... ...
- Part 2. 몸 속 생태계의 주인 - 기생충의 귀환과학동아 l2017년 08호
- 1▼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바퀴벌레, 기생충 - 동거생물의 이유있는 동거Part 1. 우리 집 불청객, 바퀴벌레Part 2. 몸 속 생태계의 주인 - 기생충의 ... ...
이전3813823833843853863873883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