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앙
핵심
한가운데
복판
센터
중추
center
d라이브러리
"
중심
"(으)로 총 4,852건 검색되었습니다.
드링크제 만능피로회복제인가
과학동아
l
199204
원기가 솟아나 '타잔'이라도 될 수 있는 것일까. 의약품드링크에 들어 있는 성분을
중심
으로 성분과 효능을 알아보기로 하자.의약품드링크라하면 말 그대로 의약품 취급을 하는 드링크류다. 따라서 약국에서만 취급하며 1백ml당 30㎎ 이내에서 카페인 성분이 들어갈 수 있다. 물론 의약품이면서도 ... ...
새봄 새싹 위에 펼쳐지는 작은 촛불잔치
과학동아
l
199204
가장 눈에 띄는 별은 반원의 중간쯤에 위치한 으뜸별 젬마(Gemma, 진주)이다. 왕관의
중심
에 박혀서 영롱한 빛을 발하는 이 별에 진주라는 이름이 붙은 것은 아주 자연스런 일이다. 하지만 별의 이름들이 대부분 아라비아 반도에서 만들어진 이유로 이 별에는 원래 알페카(Alphecca, 그릇의 반짝이는 부분 ... ...
단백질이 불임의 원인
과학동아
l
199204
동안 인디언의 영양생태조사를 계속해온 일본 영양생태학자 이즈미타니 박사는 "단백질
중심
의 현대 영양학이 불임환자를 증가시키는 원인"이라며 "18년동안 멕시코에서 근무하면서 불임으로 고민하는 부부를 한쌍도 본적이 없다"고 밝혔다.그의 말을 액면 그대로 해석하면 단백질을 많이 섭취하면 ... ...
유전학적 증거 갖고 두학파 맞서 네안데르탈인은 인류의 직계 조상인가?
과학동아
l
199204
완전히 같은 정도였다고 믿고 있다.런던 자연사 박물관의 크리스토퍼 스트링거 박사를
중심
으로 한 학파는 네안데르탈인들이 약 20만 년전에 아프리카에서 시작된 현생 인류의 조상에 밀려 사멸하고 말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미시간 대학의 밀포드 월포프 박사가 이끄는 또 다른 학파는 ... ...
티벳
과학동아
l
199204
산맥과 니얜칭탕구라(念靑唐古拉)산맥 사이에 있는 낙츄는 교통의 요지인데 칭장고원의
중심
부에 해당하는 곳이다.이곳의 수리적 위치는 북위 31˚4′ 동경 92˚로 표시된다. 해발고도는 4천5백7m다. 최한월인 1월평균기온은 -14.4℃, 최난월인 7월평균기온은 8.8℃를 가리킨다. 연평균기온은 -2.1℃ 이고 ... ...
(2) 유전병 치료의 새 시대 열어
과학동아
l
199204
spinde fiber)들이 부착되는 DNA 부위다. 동원체는 대체로 염색체의 한 가운데 위치하지만
중심
에서 약간 벗어나 있는 것도 허다하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부위가 염색체의 말단에 있는 말단소립(telomere, 말단을 뜻하는 그리스어 telos 에서 따옴)이다. 이것은 일정한 염기서열이 여러차례 반복해서 연결돼 ... ...
곤충서 힌트 얻은 여섯발 로봇
과학동아
l
199204
바닥을 쳐서 균형을 잡았다. 비틀거리면서도 넘어지지 않고 바쁘게 뛰어다니는 것은 무게
중심
을 자꾸 바꾸어 주었기 때문이다. 마치 빨리 달리는 자전거가 도리어 평형을 취해서 넘어지지 않듯이.새로운 로봇의 시대가 개막되었다. 이제 로봇은 한정된 환경에서만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 ...
돌비시스템
과학동아
l
199204
사용되기 시작해 우리에게 익히 알려진 돌비 잡음감소시스템과 80년대 이후 영화관을
중심
으로 확산된 돌비 입체음향재생시스템이 그것이다. 둘다 음향 관련시스템이긴 하지만 적용대상이나 신호 처리방법 등이 완전히 다르다.이미 우리와 친숙해진 돌비잡음감소시스템은 테이프의 녹음 및 ... ...
별은 왜 비스듬히 뜨고 지는가
과학동아
l
199203
시각을 보편적으로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자정'이란 (그림10)에서와 같이 태양이 지구를
중심
으로 관측자의 반대편에 있는 '한밤중'을 의미한다.별들이 매일 서쪽으로 1°씩 치우쳐 간다는 말은 별들이 매일 1°만큼 동쪽에서 일찍 떠오른다는 말과 같음에 유의하자. 지구의 자전을 기준으로 보면 1°의 ... ...
초대형 대합 인공 양식에 성공
과학동아
l
199203
聖水盤)으로 쓰였던 거대한 대합(giant clam)을 식용화하는 작업이 오스트레일리아를
중심
으로 진행되고 있다. 사실 그동안 대합류는 해중 생태계의 주요한 식량원 중 하나였는데 연근해의 오염으로 인해 점차 자취를 감춰가고 있는 상태였다. 환경오염 물질은 특히 대합의 좋은 먹이인 조류(algae)에 ... ...
이전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