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갈릴레이는 손수 만든 망원경으로 목성 주위를 돌고 있는 4개의 위성을 발견했다. 지구가 모든 천체의 중심이 아니라는 브루노의 생각을 증명한 것이다.400여 년이 지난 지금, 우리는 태양조차도 우주의 중심이 아니라는 사실을 안다. 천문학자들은 다른 태양계, 즉 다른 별의 주위를 도는 외계행성을 ... ...
- 바다로 간 제돌이 “잘 살고 있어요.”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상처가 제각각 달라 사람의 지문처럼 이용한다. 고래연구소는 제주도에 있는 거의 모든 남방큰돌고래를 등지느러미로 구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2007년 11월부터 2013년 3월까지 촬영한 8000여 장의 사진을 분석했다. 지금도 매년 4회 확인하며, 총 109마리의 식별 번호가 있다. 방류된 삼총사의 ... ...
- 서울숲에는 얼마나 많은 생물이 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바이오 블리츠는 일반인들이 만 하루(24시간) 동안 생물전문가와 함께 행사 지역의 모든 생물종을 찾아 목록을 만드는 과학참여활동이다. 1996년 미국 워싱턴DC에서 처음 시작해 미국과 호주, 캐나다, 영국 등 세계 각지의 주요 도시와 공원에서 개최되고 있다.우리나라에서는 국립수목원 등이 주최해 ... ...
- 왜 세 살 기억 여든까지 못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이 글을 읽는 모든 독자들은 과거에 기억상실증을 겪은 적이 있다. 그 동안 경험한 거의 모든 기억을 완전히 망각하는 심한 수준의 기억상실증, 바로 ‘유년기 기억상실증’이다.초등학교 입학 전의 유년기를 자세히 기억하고 있는 사람은 거의 없다. 혹시 기억이 난다 하더라도 단편적으로 몇몇 ... ...
- 백년 묵은 시계를 꺼내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먼저 먼지를 털어낸 다음 원상태로 복구가 가능하도록 시계를 여러 각도에서 촬영하고, 모든 부속품의 크기를 측정했다. 그리고는 시계에서 진자와 숫자판, 크고 작은 톱니바퀴와 축들을 하나씩 떼어 수리 장소로 옮겼다. 시계탑 꼭대기에서 10여 m 늘어져 있던 체인과 와이어도 바닥으로 조심스레 ... ...
- 다람쥐원숭이 수컷은 왜 빨간 색을 보지 못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X염색체에 하나의 옵신 유전자를 갖고 있었습니다.그렇다면 신세계원숭이 중 모든 개체가 3원색을 볼 수 있었던 짖는원숭이는 어떻게 된 걸까요? 연구자들은 짖는원숭이의 유전자 서열도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특이하게도 짖는원숭이는 신세계원숭이임에도 구세계원숭이처럼 3개의 서로 다른 옵신 ... ...
- 혼수상태에서 깨어나 보니 수학 천재?수학동아 l2014년 06호
- 기적적으로 깨어났는데, 그에게는 지금까지와 다른 삶이 기다리고 있었다. 바로 세상의 모든 사물들이 수학과 연관돼 보이는 것이었다.예를 들면 화장실에서 수도꼭지를 틀면 눈에 수돗물 대신 수직으로 뻗은 수많은 선들이 보이는 식이다. 우리 눈에 평범하게 보이는 것들이, 그의 눈에는 선과 각 ... ...
- 세계 최초 개인 인공위성을 발사한 송호준 작가수학동아 l2014년 06호
- 만들어 발사한 사례를 검색하고, 다른 연구자들에게 메일을 보내 물어 보기도 하며 모든 걸 하나씩 만들어 조립했답니다. 인터넷 검색은 누구나 할 수 있잖아요? 물론 쉬운 일은 아니지만, 강력한 의지와 고등학생 수준의 수학을 이해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그가 위성을 ... ...
- 마음에 드는 옷, 2시간 만에 받을 수 있는 비결은?수학동아 l2014년 06호
- 활약한 수학자들이다. 전쟁이라는 극단적인 상황에서 정확한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해 모든 문제를 수식으로 나타내고자 했기 때문이다.실제로 당시 영국은 식량을 배를 이용해 전쟁터로 운송했는데, 독일의 공격으로 빈번히 실패해 식량 부족이 심각했다. 이에 영국에서는 되도록 적은 수의 ... ...
- 삼각형 소용돌이 스피드론 만들기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이등변 삼각형으로 쪼개고 결합하는 과정을 반복했다. 그 결과 변이 4개 이상인 거의 모든 다각형에서 스피드론을 만들 수 있고, 평면을 빈틈없이 메우는 테셀레이션도 가능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또한 1979년에는 다각형 안에서 나타나는 스피드론이 아니라 새로운 형태의 스피드론을 만들어 ... ...
이전3823833843853863873883893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