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을 넘어서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태도와 책임을 자세히 살펴보는 방법”이라고 말한다. 오랜 세월 동안 인간과 동물
사이
를 이어온 끈을 탐구한 결과가 최근 발표한 작품집 ‘인간을 넘어서’다. 여기에 실린 동물은 자연에서 보던 모습과 사뭇 다르다. 놀라운 표정을 보여주기도 하고, 기이하거나 우스꽝스러운 자세를 하고 있을 ... ...
아늑한 겨울을 품은 외암마을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쌓는 노하우로는 이 마을 주민들을 아무도 따라갈 수 없을 겁니다.”돌각담은 돌
사이사이
에 흙과 같은 이음새를 넣지 않기 때문에 배수가 잘 되고 동결에도 잘 무너지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방범이나 구획을 나누는 역할을 돌각담이 맡고 있지만 이러한 역할은 외암마을 돌담에게는 그다지 ... ...
과학은 문화다. 이야기다. 상상력이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가 전세계를 한창 말춤 추게 하던 작년 10월 말, 트위터에서 낯익은 얼굴을 봤다. 시쳇말로 ‘아줌마 펌’을 한 아저씨였다. 누군 ... 현미경 속 세계를 탐구한 ‘와우! 현미경 속 놀라운 세상’으로 실제 현실과 가공의 현실
사이
의 애매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 ...
우리나라 하늘에서 춤추는 UFO 웨이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지난 5~6년 전부터 UFO 목격이 북미, 유럽권에서 아시아권으로 이동하고 있다. UFO 연구자
사이
에서는 60개월 주기설이란 가설이 있다. 60개월마다 주기적으로 UFO 출현이 이동하고 있다는 것이다. 어찌됐든 UFO 출현은 현재 아시아에서 바람이 불고 있다. 이처럼 어느 특정 대륙이나 지역 또는 일정 기간에 ... ...
PART 1. 누가 뉴턴을 죽였는가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같은 별에서 오는 빛의 속도가 초속 29만 9970 km로 줄어야 한다.이렇게 관측자와 관측 대상
사이
의 상대운동에 따라 관측 대상의 속도가 달라진다는 것이 뉴턴역학의 상대론이다.문제는 이러한 광속의 변화가 실제로는 발견되지 않는다는 것이다.지구의 공전 속도와 상관없이 별에서 오는 빛의 속도는 ... ...
PART 3. 뉴턴 다시 부활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스칼라, scalar)의 상호작용으로도 생겨날 수 있다고 생각했다.스핀이 0과 2인 입자는 물질
사이
에서 인력만을 끌어낼 수 있다는 사실이 수학적으로 증명돼 있다.전자기력의 매개체인 스핀이 1인 입자 벡터(vector)는 끌어당기고(인력), 밀어내는 힘(척력)을 모두 작용하게 할 수 있다.즉, 베켄스테인 ... ...
빙하 호수 탐사 최대의 적은 보일러 말썽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척박한 환경 때문에 천공 작업은 남극의 봄과 여름에 해당하는 11월과 다음 해의 1월
사이
에만 가능하다. 또 얼음을 뚫는데 성공한다 해도 불과 24시간이면 시추공이 다시 얼어붙기 때문에 빠르게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수백만 년 동안 외부환경과 단절돼 있던 엘즈워스 호수 아래에서 새로운 생물을 ... ...
일본 오키나와 남부까지 우리 대륙붕 될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설명했다.시간이 지날수록 국가 간의 자원전쟁은 더 치열해질 것이다. 일본과 중국
사이
에서 우리나라가 준비해야할 것은 무엇일까. 한 본부장은 “정치적인 영향력이나 로비보다도 과학적인 해저자원조사 자료가 우선”이라며 해저과 학탐사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산유국의 꿈을 ... ...
동서남북 모인 데서 신약 개발 꿈꾼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김수용 박사는 “매년 식물을 300종 채집해 화학물질만 추출한다”고 말했다.1~3월
사이
에 코스타리카 정부로부터 연구 허가를 받으면 연구원들은 커다란 가방을 하나씩 메고 채집하러 떠난다. 채집지는 주로 사람의 손때가 묻지 않은 오지다. 대개 나무를 꽃과 잎, 열매 등으로 분류해 한 식물 당 ... ...
화학연의 정원이 그토록 아름다운 까닭은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거창한 국가적 논의까지 종횡무진이다. 몸담았던 한국화학연구원에는 과학기자들
사이
에도 칭송(?)이 자자한 아름다운 정원이 있다. 저자는 이 정원이 유달리 잘 가꿔진 이유를 회고한다. 설립 초창기에 들어온 시설과장은 애정을 갖고 조경을 꾸몄다. 전문가에게 조경 계획을 맡기고, 손수 서울에서 ... ...
이전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