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위
선제
우위
선취권
d라이브러리
"
우선
"(으)로 총 4,489건 검색되었습니다.
「소련횡단광케이블」성사될까?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나오고 있다.혹한의 시베리아지역에 케이블을 설치 할 경우 이에 견딜 수 있는 중계기가
우선
개발돼야 하고 광케이블이 코콤(COCOM, 대(對) 공산권 수출통제위원회)의 규제품목이므로 이것이 풀려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따르기 때문이다 ... ...
학문의 맞수를 기다리며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갔다.내가 소속되어 있는 학과는 공대의 다른 과들과는 꽤 다른 성격을 지니고 있다.
우선
공대답지 않게 엄청난 양의 수학적 지식을 요구한다. 또한 여러 분야의 잡다한 지식들을 많이 요구한다. 우리에게 '만능'이 되기를 강요하고 있다.원래부터 수학을 미치도록 좋아했고 꽤 소질도 있었던 터라 ... ...
로터스의 기본적인 사용법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그런데 보다 복잡한 실습을 하기 전에 워크시트 상에서 만든 내용을 영구히 보존하려면
우선
디스크에 저장하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이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 바로 File메뉴다. 로터스에서 (그림4)와 같은 워크시트를 작성했다면 / File Save를 선택하면 파일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저장한 ... ...
공해시비 계기로 살펴본 티타늄, 가볍고 강한 재질의 첨단신소재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티타늄 기술의 기반이 약한 나라에서는 일상생활과 관련된 티타늄 기술개발을
우선
으로 하고 여기에서 축적된 기술을 바탕으로, 요구하는 규격이 까다롭고 실패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큰 항공우주 분야로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일본의 경우 아직 항공우주 분야의 티타늄 기술은 미국에 비해 ... ...
기초과학연구지원센터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전시효과에 그칠 그럴듯한 장비보다 실제 우리 수준에서 긴요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우선
적으로 구입하자."지원센터는 기초연구장비 26종 5백만달러어치를 발주해 현재 21종이 국내에 도착했다. 이들 장비는 서울지소에 설치가 끝나는 대로 올하반기부터 가동에 들어갈 예정이다.대덕연구단지에 ... ...
수지침의 원리 손을 통해 온 몸을 치료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치료 사례만을 들어 수지침이 만병통치라고 못박기에는 과학적 근거와 논리가 빈약하다.
우선
기(氣)나 혈(血)이란 용어의 개념조차도 과학적으로 규명된 바 없는 상태다. 신비가 벗겨져야신촌지역에서 수지침을 전수하고 있는 '다살이 살판'의 대표 김재훈씨는 "침의 원리는 과학적인 근거를 따질 ... ...
컴퓨터학습프로그램의 허실 현장교사들의 참여 반영돼야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특히 주변 교사들의 CAI에 대한 관심도가 아직 낮은 상태여서 일선교사들의 마인드형성이
우선
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문교부는 지난해부터 학교 교육과정에 컴퓨터단원을 설정하여 학생들의 컴퓨터마인드 확산을 기하고 있고 국공립사범대학 졸업자들에게 컴퓨터교육 과목을 이수하게 하고 있다. ... ...
원전이 온실효과의 대안?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더욱이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따질 때 개발도상국보다는 선진국이 월등히 많아,
우선
필요한 것은 선진국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방법이다.또한 이산화탄소 삭감의 대안으로서 원전은 군사용 에너지 이용(우라늄채굴과 농축을 포함)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단순한 계산으로는 ... ...
폰즈-플레이시만 발표 이후 1년 상온핵융합, 에피소드로 끝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공개적 인정과 발견자의 연구경력축적이라는 본래의 사회적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
우선
권을 향한 경쟁이 엄청난 명예나 경제적 이익과 직접 연결될 가능성이 있을때 특히 매스컴으로부터 뜨거운 관심을 받았을때 어떻게 왜곡될 수 있는가를 상온핵융합 에피소드는 잘 보여주었다. '열광과 ... ...
기술고고학이 밝혀 낸 사실들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마감됐다.고고학은 땅속에 있는 유물과 바다 속에 있는 유물들을 다룬다. 전에는 거의가
우선
파내고 건져올리는 데서 시작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고는 고증하고 복원하고 체계를 세워서 역사의 고리를 이어 나갔다. 따라서 그것은 주로 인문과학의 영역 안에 있었고 학문적인 방법도 ... ...
이전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