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제2회 과학일러스트공모전 수상작 - 스마트 그린, 스마트 그리드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Warming? Global Warning! | 구도형이산화탄소 배출로 뜨거워진 지구. 몰디브나 투발루 같은
작은
섬나라들은 사라질 위기에 놓여 있다. 머지않은 미래에 바다 밑으로 사라질 땅의 비극을 그렸다.최우수상 생명의 나무를 가꾸자! | 서승환지구에 뿌리를 둔 생명의 나무는 원핵생물부터 시작해 ... ...
통증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느끼지 못한다는 것은 어디까지나 영화적 상상력에 기인한 설정이다.과학적 사실과 다른
작은
흠이 있지만 강풀은 치밀하게 설계한 현실적 배경을 그렸다. 그리고 적재적소에 영화적 재미를 주는 허구적 장치를 배치해 슬픈 사랑 이야기를 완성했다. 이 이야기는 곽경택 감독의 손을 거쳐 날 선 칼이 ... ...
탐구해서 어디에 쓰는 거야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독자 여러분도 이렇게 연구활동을 한다면 결과를 여러 분야에 응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작은
성취가 만드는 큰 울림 과학 동아리 학생들에게 먼저 보고서 쓰는 법과 과학의 탐구방법을 지도한 뒤 학교 습도 지도를 만들게 했습니다. 두 번째 과제부터는 학생들 스스로 주제를 찾았습니다. 학생들은 ... ...
Part 3. ‘가장 완벽한 이론’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훨씬 다양해졌다.“눈부시게 변한 것은 응용 분야입니다. 1930년대만 해도 휴대전화 같이
작은
전자시스템이 가능할 거라 생각하지 못했어요. 하지만 트랜지스터를 거쳐 양자역학을 응용한 반도체가 개발되면서 불가능은 현실이 됐습니다.”양자역학은 이미 완성된 것 아닌가라는 질문에는 “절대 ... ...
별 삼키는 블랙홀 봤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가장 좋은 곳이지만 하와이나 칠레의 관측소에는 미치지 못합니다. 망원경도 1.8m로
작은
편이고요.”전영범 박사는 이런 환경에서도 보현산천문대 망원경이 큰 역할을 할 수 있었던 건 물론 스케줄이나 맑은 날씨 같은 운도 따랐지만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자체 제작한 근적외선 카메라(검출기) ... ...
팔딱팔딱! 민물고기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친구들이 직접 칼납자루의인공수정을 도와 줘 볼까요? ❶ 산란기의 암컷과 수컷을
작은
수조에 담아 준비한다.❷ 20℃의 멸균된 물에 암컷의 산란관 위쪽을 살짝 눌러 알을 채집한다.❸ 알이 담긴 물에 대고 수컷의 배를 살짝 눌러 뿌연 정액을 뿌린다. ❹ 4~5회 정도 흔들어 주고 5분 동안 잘 ... ...
1953년 스탠리 밀러의 초기 지구 조건에서 아미노산 합성 실험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즉 산소가 풍부한 조건에서는 유기물질이 쉽게 분해되기 때문이다.다윈의 ‘따뜻한
작은
연못 가설’1930년 미국 오클랜드에서 태어난 스탠리 밀러는 캘리포니아대(버클리)에서 화학을 공부한 뒤 1951년 미국 시카고대 대학원에 진학했다. 그의 지도교수는 수소의 동위원소인 중수소를 발견해 1934년 ... ...
과학으로 하이킥! 애니메이션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여인영 감독님처럼 다양한 경험을 쌓아보는 것이 어떨까? 지금의
작은
경험이 멋진 어른이 되는 데 큰 도움이 될거야!특집 인터뷰애니메이션으로 미래를 꿈꾸다나중에 커서 애니메이션을 직접 만들고 싶다고 생각하는 친구들이 있나요? 그런 친구들을 위해 한국애니메이션고등학교에 다니는 2학년 ... ...
Part 3. 물 먹는 변기는 다이어트가 시급?!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내리는 변기물이 나중에 큰일을 초래할지도 모른다. 꼭 필요할 때만 변기물을 내리는
작은
실천 하나로 물 절약에 앞장서 보자.한국인의 변기물 사용량과 용변 배출량1일 변기물 사용량=1인 평균 63L×5000만 명=315만t1년 변기물 사용량=하루 평균 315만t×365일=11억 4975만t1일 대변량=하루 평균 225g×5000만 ... ...
[재미있는 숫자 이야기] 천문학적 수의 해결사 10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들어가는 숫자나 문자를 지수라고 한다.특히 10진법을 쓰는 사람에게 매우 큰 수나
작은
수는 밑을 10으로 해서 나타내면 매우 편리하다. ‘태양의 지름은 1.392×106km이다’‘감마선의 파장은 1×10-10m보다 짧다 ‘산소의 분자량이 32라는 것은 산소 32g에 6×1023개의 산소 분자가 포함돼 있다는 의미다’ ... ...
이전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