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8,945건 검색되었습니다.
2. 부모 얼굴, 골라 닮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701
해부학교실 박형우 교수는 외모를 결정하는 표현형을 독립적으로 나누기 어렵다는
점
을 지적했다. 사람의 얼굴은 각 부분이 조립된 형태가 아니라 전체적인 조화에 의해 만들어진다.예를 들어 코의 높이는 코의 연골 조직의 형태, 광대뼈의 높이, 위턱뼈의 구조 등 복잡하게 얽힌 얼굴의 다른 ... ...
괴짜들이 만났다!
과학동아
l
200701
벌금 제도가 생기고 지각하는 엄마들이 더 늘어났답니다. 왜 그럴까요?”경제학적인 관
점
에서 보면 엄마들의 행동은 이해가 가지 않는다. 벌금이라는 경제적으로 불리한 조건을 제시하면 벌금을 내지 않으려고 시간에 맞춰 오는 엄마들이 늘어야 정상이다. 자신에게 최대이익을 남길 수 있는 전략을 ... ...
전쟁에 지면 달력도 없다
과학동아
l
200701
율리우스력은 1582년 그레고리력으로 바뀌기까지 달력의 춘분 날짜와 실제 태양이 춘분
점
에 위치하는 날짜가 11일이나 차이가 났다. 이때 달력의 토대가 되는 천문학 이론, 자료, 그리고 계산법을 바꿔 정밀도를 높이는데,이를 ‘개력(改曆)’이라고 한다. 세종의 ‘칠정산’도 당시에는 세계 ... ...
상상력으로 가득찬 동그라미
과학동아
l
200701
반지름을 이루는
점
들의 집합이므로 영원히 닫혀 있을 수 없다. 선으로 연결되지 않는
점
자체로는 닫힌 도형을 만들 수 없기 때문이다.현실세계에서 원은 어떤 수단과 방법으로도 존재를 확인할 수 없는 공허한 도형이다. 그래서 원 안에 무엇을 채우고 원으로 무엇을 만들지는 순전히 인간의 ... ...
주식투자에서 실패 않는 법
과학동아
l
200701
10~20일이다. 수렴기간을 이용하면 주가에 충격이 발생했을 때 그 효과가 사라지는 시
점
을 판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어떤 건설업체의 주가를 분석해봤더니 β(T)가 10% 정도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다가 5일에 걸쳐 0으로 수렴한다고 하자. 시장의 충격이 5일 동안 주가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고 해석할 수 ... ...
지금 화성에는 물이 흐르고 있다
과학동아
l
200701
마르텔 박사는 “두 주장 모두 그럴듯하지만 지하수는 온도와 기압의 영향을 받는다는
점
을 감안해야 한다”고 말했다.예를 들어 지금까지 발견된 화성의 협곡 중에 긴 것은 7km에 달한다. 화성의 온도와 기압을 고려할 때 순수한 물이 화성 표면에서 이렇게 멀리 흐르기는 불가능하다.미국 ... ...
1. 당신의 뇌가 '관상'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701
얼굴 특징을 과장해서 그린 캐리커처를 볼 때 더 빠르고 정확하게 누구인지 알아본다는
점
이다. 특히 유명인처럼 친숙한 얼굴의 경우엔 더욱 그렇다.예를 들어 이마가 넓은 사람은 실제보다 이마를 더 넓게, 눈이 작은 사람은 실제보다 눈을 더 작게 그릴 때 알아보기 훨씬 쉽다. 그래서 노무현 ... ...
3. 근육 따라 울고 웃었다
과학동아
l
200701
시간도 길고 비연속적이다.예를 들어 거짓 웃음을 지을 때는 웃음을 활짝 짓는 시간(정
점
)이 진짜 웃음을 웃는 시간에 비해 길다. 원래 감정이란 아주 짧은 순간 발생해 얼굴에 나타나기 때문에 표정은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이미 100여년 전 프랑스의 신경학자인 뒤셴 드 브로뉴는 진짜 웃음과 가짜 ... ...
우리 포옹할까요?
과학동아
l
200701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라 포옹이 갖는 의미는 다르지만 사랑을 표현하는 수단이라는
점
은 변하지 않았다”며 “오늘날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어쩌면 ‘접촉결핍증’에 시달리고 있는지도 모른다”고 지적했다.그저 사람들이 웃는 모습을 보고 싶어 프리허그를 시작했다는 후안 만. 그가 두 ... ...
암호처럼 보이는 수열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01
원래 삼각형 옆에 붙이고
점
의 개수를 세면 각 줄에 있는
점
의 개수는 모두 11개다. 모든
점
은 110개고 이 값의 반이 바로 55가 된다.”1부터 10까지의 합을 구하는 방법이 조금 익숙하지 않은가. 바로 고등학교 수학Ⅰ 교과서에 실린 독일 수학자 가우스의 에피소드가 떠오른다. 가우스가 이 계산법으로 ... ...
이전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