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4,292건 검색되었습니다.
기업혁명 일으킬 EDI 열풍
과학동아
l
198903
TDCC, Transportation Data Coordinating Committee)라는 기관이 1968년에 설립되어, 8년의 각고 끝에
최초
의 기업간 거래 데이타 교환의 표준이 완성된 그런 순간이었다. 아직 매끄럽게 다듬어지지 않았고, 단 한번도 실제적으로 운용된 바도 없는 상태였으나 이 때, 이 자리에 있던 모든 이들은 가슴벅찬 희열을 ...
어떤 기술로 가능할까 "아십니까, 정보사회를?"
과학동아
l
198903
근본적으로 바꿔놓은 것은 컴퓨터와 새로운 전기통신기술. 1946년 ‘에니악’이
최초
의 컴퓨터를 발명한 이후 현재는 슈퍼컴퓨터 내지 병렬처리컴퓨터 등이 개발돼 인공지능형 컴퓨터의 등장을 눈앞에 두게 되었다. 또한 광통신의 실현은 통신고속도로를 형성시켜 세계를 동시생활권으로 ... ...
오존감소·수질오염, 먹이사슬 약화
과학동아
l
198903
것이다. 상처 받기 쉬운 생태계남극은 많은 종이 살 수 있는 곳이 아니다. 먹이사슬의
최초
의 것은 플랑크톤이고 다음이 새우와 비슷하게 생긴 크릴, 그다음이 오징어와 약간의 작은 물고기들이다. 큰 동물로는 고래 해표 펭귄 해조류가 있는데 이들 큰 동물들은 결국 크릴에 의존하고 있는 셈이다. ... ...
인류
최초
의 발견─불의 사용
과학동아
l
198903
무서움을 알고 도망치기도 했다.인류 또는 초기 원인(原人)들은 불을 피해 달아나지 않은
최초
의 유기체였다. 그들은 불을 관리하고 사용한 것이다. 그들은 조심스레 불붙은 나뭇가지를 편리한 장소에 옮겨놓고 보호했으며 연료를 넣어 계속 탈 수 있게 했다.처음 인류나 그들의 선조들은 불을 ... ...
고압의 물로 쇠를 동강낸다
과학동아
l
198903
권오관 안영재박사팀이 물칼에 손을 대기 시작했다. 그로부터 2년여의 연구 끝에 국내
최초
의 물칼이 탄생하게 된 것이다. 가장 세련된 절단법물칼의 대강은 이렇다. 우선 물을 4천기압(1cm²당 4천kg)정도의 고압으로 올린다. 이어 이 고압수를 머리카락 몇 올 정도인 지름 0.1~0.5mm 노즐을 통과 시킨다. ... ...
형상기억합금이라는 여의봉
과학동아
l
198903
탄생할 수 있는 것이다.지금까지 개발된 형상기억합금들을 살펴보자. 대표적인 합금은
최초
로 등장한 니티놀을 들 수 있다. 니티놀은 성능면에서 아직까지 가장 우수한 형상기억합금으로 평가되고 있다. 스테인리스 정도의 강도를 가지면서 기억온도는 -50℃에서 1백50℃사이의 온도구간을 갖는다. ... ...
모스크바
과학동아
l
198903
소련 민중이 자랑하는 이 지하철은 1935년에 소콜리니키공원과 고르키공원 사이의 11.6km에
최초
의 노선이 깔렸다. 현재는 총연장 1백9km에 전철역의 수는 75개나 된다. ‘노동자의 영광을 나타내는 성전 같이 만들어 그 속의 공기는 숲 속의 공기처럼 맑지 않으면 안되고 대리석 바닥에는 먼지가 ... ...
개척분야에서 뛰고픈 욕망
과학동아
l
198903
비로소 자체 기술로 설계한 비행기를 제작할 수 있는 단계에 들어섰다. 우리나라
최초
의 항공공학 박사인 장극박사가 설계한 한국형 경비행기의 설계가 끝난 것이다. 그러나 실망할 필요는 없다. 비록 아기가 처음으로 한 걸음을 옮겨 놓은 상태이긴 하지만, 우리나라 항공사는 지금부터 시작인 ... ...
일본의 제5세대 컴퓨터 개발은 실패?
과학동아
l
198902
참여한 회의석상에서 이같이 고백한 것.그는 또 앞의 두단계에서는 성공을 거두었다고
최초
로 밝혔는데 제1단계는 '정보로 부터 추론을 할 수 있는 능력의 개발'이며 제2단계는 추론능력을 향상시키는 하드웨어의 개발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마지막 3단계는 1천개의 프로세서를 갖는 병렬처리 ... ...
온실효과아닌「엘 니뇨·라 니냐」의 복합작용
과학동아
l
198902
최근의 발달된 기후분석기술에 의해 정리한 지난해의 가뭄과 홍수의 경위는 다음과 같다.
최초
의 제1원인은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태평양의 적도근처 차가운 바닷물이다. 이 바닷물은 마땅한 이름이 없지만 '엘 니뇨'(스페인어로 소년의 뜻)에 대응하는 '라 니냐'(소녀)로 불리우는 사례가 늘고 있다. ... ...
이전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