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력
흰눈
백설
눈발
눈길
눈초리
시선
d라이브러리
"
눈
"(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도시 사막화는 죽음을 부른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덕분에 서울 주변의 해발고도 100m 이상 산악지역은 무분별한 개발이 억제됐다. 이에 따라
눈
에 보이지 않는 냉기류가 서울 도심 주변 산지에서 형성돼 서울에 공급될 수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정부의 그린벨트 해제 정책에 따라 수십 년간 억제됐던 도시사막화 현상이 서울과 인근 위성도시를 ... ...
PART 3. 진실 혹은 거짓, 진짜 연구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플라스틱 대체제를 만드려는 시도도 있지만 여전히 가능성만 타진 중이야. 그렇다면
눈
을 돌려 동물성 소재는 어떨까?경남 창원과학고 학생들은 생선 비늘을 이용해 친환경 플라스틱 대체제를 만드는 방법을 연구했어. 이들은 생선 비늘을 이용하면 전세계에서 연간 3000만t에 달하는 수산업 ... ...
그들은 왜 ‘힉스 발견’을 다시 발표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한다. 1조 개의 쌀알이 담긴 쌀가마니에 보리가 하나씩 들어 있는데, 가마니를 뜯어서 한
눈
에 보리를 찾을 확률은 지극히 낮다. 여러 가마니를 쏟아야 겨우 한 번 찾을까 말까다. 지난 해 CERN의 상태가 그랬다. “보리(힉스)를 닮은 뭔가가 있다”고 간신히 말할 정도의 데이터를 모은 상태였다 ... ...
UPDATE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완전히 지나간 뒤에 마주잡은 손에 더욱 힘을 주었다. 그 손으로 전달되는 것은
눈
으로 볼 수도 없고 언어로 심을 수도 없었으므로 그 뒤로 언제까지고 업데이트의 영향을 받지 ... ...
PART 4. 구글 in Science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2008년 구글은 ‘딥 임팩트’라 부르는 우주인터넷 테스트를 마쳤다. 행성간에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실험한 것이다.이 기술이 성공한다면 앞으 ... 보시려면?PART 1. 검색은 김수현(작가, 탤런트)을 구분할 수 있을까PART 2. Sixth Sense Mobile!PART 3. 구글의
눈
으로 보는 세상PART 4. 구글 in .. ...
엄마! 수학 잘하게 형 낳아 주세요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더뎌졌을지도 모른다.특히 야곱과 요한은 가난한 수학자의 길을 반대했던 아버지의
눈
을 피해 몰래 수학공부를 함께 했다. 형제가 함께 공부하면서 둘은 뛰어난 업적을 남긴 큰 수학자가 됐다. 이런 가정 분위기에서 큰 다니엘 베르누이가 뛰어난 수학자이자 과학자로 자란것은 당연해 보이기도 ... ...
생각의 힘으로 우주를 바꾼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확률은 1/6이어야만 한다. 그런데 실험 결과는 참가자가 준 어떤 영향 때문에 특정 주사위
눈
이 더 잘 나올 수 있다고 말해주는 것만 같았다. 라인 박사는 사람 대신 기계가 주사위를 던지게 했다. 참가자는 옆에서 보기만 했다. 결과는 같았다. 다만 사람이 던질 때보다 확률 차이가 크게 줄어들었다 ... ...
PART 2. Sixth Sense Mobile!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구글과 휴대전화.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단연 스마트폰 운영체제인 안드로이드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을 쓴다.그런데 구글 ... PART 1. 검색은 김수현(작가, 탤런트)을 구분할 수 있을까PART 2. Sixth Sense Mobile!PART 3. 구글의
눈
으로 보는 세상PART 4. 구글 in ... ...
PART 1. 잘 때 입술이 마르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없다. 나무는 작은 그늘만으로도 기온을 떨어뜨려 바람을 만들 수 있다.도시 사막화라는
눈
에 보이지 않는 변화가 서울 기후를 이미 지배했다. 피부가 건조해지고 입술이 바짝바짝 타는 서울, 10년 후에는 어떤 모습일까. ...
경미한 뇌진탕, 평생 흉터 남긴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장애와 관련이 깊은 전측 대상회와, 두뇌의 영역 간 연결을 담당하는 쐐기앞 부위에서
눈
에 띌 정도로 큰 위축이 일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전까지는 두뇌 위축이 중증 이상의 외상성 뇌손상에서만 일어난다고 보편적으로 알려져 있었다.루이 교수는 “가벼운 뇌진탕만으로도 뇌에는 평생 ... ...
이전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다음
공지사항